[칼럼] 9월 전까지의 수학 공부 방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899821
안녕하세요 ㅎㅎ
이제 7월도 거의 다 가고 8월이네요
9월 전까지의 수학 공부 방향에 대해 얘기하려 합니다.
· 재수 과기대 → 오반수 의대
· 21수능, 22수능 국어 백분위 100
· 수학 현역 4등급 → 23수능 미적 96점
1. 기출문제를 끝내자
지금까지 기출문제를 아예 풀지 않은 분들보다는 풀긴 풀었는데 남는 게 없는 것 같다고 느끼는 분들이 더 많을 겁니다.
기출문제에서 남는 게 있으려면 풀이지침을 적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못 풀었던 기출문제가 있습니다.
해설을 보면 내가 막혔던 A라는 부분을 B라는 발상/방법 으로 풀어냈습니다.
이 경우에 이해하고 다시 한 번 풀어보고 넘어가는 게 아니라
풀이지침을 정립하셔야 합니다.
<A 가 나오면 B 를 한다.>
이런 식으로요.
이런 풀이지침은 사람마다 모두 다릅니다.
사람마다 막히는 문제가 다르고 같은 문제더라도 막히는 부분이 다르니까요.
자기가 막히는 부분에 대해서 풀이지침을 적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본인의 약점을 하나씩 메워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중에 기출문제를 복습한다는 건 모든 문제를 다시 풀어보는 게 아니라 적어놓은 풀이지침을 보면서
'아 이 문제는 이 부분에서 막혔었고 이렇게 풀면 됐었어'
이렇게 상기하는 것이 복습입니다.
이러면 복습시간이 아주 많이 단축되죠.
제 풀이지침 중 하나는 <조건식이 나오면 이항하고 나누자> 입니다. 기출문제를 풀면서 많이 나왔거든요.
(원래 조건식 => 변형식)
여러분들이 풀기 힘들었던 기출문제들에 대해서 풀이지침을 적어놓으면 얻어가는 것들이 많을 겁니다.
2. 문제를 많이 풀자
기출문제를 끝내신 분들은 이제 많은 문제풀이를 통해 실력을 끌어올려야 합니다.
많은 문제풀이를 통해 얻는 효과는 크게 두 가지 입니다.
(1) 기출에서 얻은 풀이지침 연습
(2) 새로운 풀이지침 습득
(1)
기출에서 A가 나오면 B를 한다. 라는 풀이지침을 습득해도
다른 문제에서 A가 나올 때 B를 떠올리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본인의 사고를 교정한다는 것이 한순간에 되지는 않으니까요. 그래서 많은 문제들을 풀면서 A가 나오는 상황을 많이 겪어야 점점 B를 떠올리는 것이 자연스러워 집니다.
(2)
N제와 실모 같이 사설문제들을 풀면서도 막히는 문제들에 대해
풀이지침을 정립하시면 됩니다.
기출에서 봤던 풀이지침일수도 있고 기출에서 보지 못했던 새로운 풀이지침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기출에서의 풀이지침은 수능전날까지 계속 복습해야 하는 존재입니다.
반면 사설에서의 풀이지침은 복습할 중요성이 크게 떨어집니다.
많은 문제를 풀기 위해선 복습보다는 새로운 문제를 푸는 게 더 효율적입니다.
9월 전까지는 기출문제로부터 풀이지침들을 정립하고, 사설문제들을 풀며 풀이지침을 적용하는 연습을 하는 기간입니다.
이 두 가지가 잘 되어야 9월부터 수능까지 2개월의 기간동안 아무런 걸림돌 없이 마음껏 문제만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
9월부터 수능까지의 기간은 1월부터 8월까지 만큼, 혹은 그보다 더 중요합니다.
그 기간 동안은 쉼없이 전력질주를 해야 합니다.
본문의 2가지 작업은 일종의 스트레칭 입니다.
스트레칭을 끝내야 마음껏 달릴 수 있듯이
9월 전까지 해당 작업을 잘 마치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궁금한 게 있으시다면 쪽지나 오픈카톡(프로필에 링크)으로 질문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험생 여행] 11/30-12/1 보홀 사우스팜 리조트 저렴하게 양도합니다 0
제가 실수로 다른 사이트와 중복예약하는 바람에 양도합니다. 저도 29일부터 이...
-
좋은글 내편 0
이기적인 것 같지만 무조건적인 내편이 한명쯤은 필요한것 같아요 잘했다 잘못했다를...
-
시험기간이라 정신줄을 한 번 놓아보았지 뭔가 최대한 복숭아스러운게 없을까 하다...
-
안녕하세요! 저는 성균관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현재 대학생활을 주로 담은 유튜브...
-
학교 끝나고 독서실 10
추천해주세요 방학 때는 학교 도서실 다녔는데 학교 다니면서 도서실 다니기에 잇올,...
-
인터넷 보다가 위에 영어 cmd에 쳤는데 노트북에 인터넷이 많이 느려진것 같은데...
-
서강대 농어촌 경제학부 10
합격했음 ㅠㅠ 서강대식 533.35 였어요
-
왜케 삐딱하신지 7
참...
-
ㅇㅇ예전에 일할 때 쓰던 DSLR 주섬주섬 꺼내,아파트 베란다에서 한 장 찰칵...
-
하트캔들 2
심쿵용
-
자목련 5
휴대폰 카메라 (갤4) 로 찍고 포샵보정했는데 사진 괜찮은거같아서 함 올려봐요@목동...
-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카톡 프사용으로 쓰셔도 괜춘할듯
-
무제 21
이 사진 제목좀 붙여주실래요? 생각없이 찍어본건데 은근 느낌있게 나온거같아요
-
5m 16s~~
-
대학생들이 직접 만든 캠퍼스 드라마 !! 대학생들의 힘으로 직접 제작한 로맨스...
-
밤의 제왕. 1
은 치느님. 치멘 치렐루야 Canon400d
-
강아지. 2
우리집 멍뭉이 Canon 400d, 1/100, iso1600.
-
강민성 한국사 6
이거 개념 강의 들으면 한국사능력시험 준비도 같이 되는건가여? 따로 준비해야되나요?
-
.
-
취미긴 하지만 사진을 좀 더 전문적으로 찍고싶은데요 카메라 뭘로 시작할까요.,? 4
잘 아시는분 추천좀해주세요., 바로 dslr로 시작하는게 좋나요? 아님 미러리스?...
-
은 치킨ㅋㅋ
-
DSLR 부왘 0
-같이 게시판을 살려용
-
-아이스포인틐
-
-제가 찍은거나 투척하고 갑니당.........여기좀 활성화되었으면 좋겠음..
-
고양이찡. 0
길에서 만났는데...부끄러워서 도망감ㅋㅋ
-
날 울리지마~~ 0
ㅎㅎㅎ 뭐가 그렇게 무섭니? 울지마 뚝
-
엉엉
-
얼음나무! 1
-
무제 0
-
무제 7
-
알코올 3
-
시선 0
-
양평역 0
미놀타 x-300코닥200첫롤
-
여름이나 가을에가면 정말 멋있는데, 하필 겨울에가서.. 그래도 멋있는데, 제...
-
담양 죽녹원 2
내일로여행 갔을 때 찍은 사진입니다.그리고 DSLR게시판이지만 제가 사용한 카메라는...
-
블링블링 1
-
철판볶음밥 3
출사다녀와서 배고파서 먹었어요 ㅎㅎ
-
겨울 0
-
생명력 0
-
기다림 1
-
데롱데롱 0
-
그 곳 0
-
누군가의 다리 1
-
7번 정류장 0
-
H의 회상 0
-
연탄재 함부로 차지마라
-
♥ 0
-
벽화 0
홍재동 개미마을
깔끔하네요.
감사합니다!
글쓰신 내용 처럼 공부하고 있었네요 ㅎㅎ
좋아요 ㅎㅎ 지금 하시는대로 앞으로도 쭉!
기출문제에 대한 풀이지침은 19~24기출 정도면 충분할까요?
적어요. 몇개년만 수록된 문제집 보다는 전개년을 대상으로 모두 수록 or 선별 수록한 기출문제집으로 진행하는 게 좋아요
N제실모에서 틀린문제 복습하셨나요?
틀리고 해설 보고 이해 하고 다시 한 번 풀어보며 풀이지침 정립해서 적어놓고 다시 보진 않았어요
풀이지침을 보통의 학생이 정립하기는 어려우니까 (그게 된다면 극상위권) 강의를 통해서 큰 틀을 완벽하게 체득하면 된다 생각
보통은 강의를 통해서 배우기 시작하고 이제 본인이 문제 풀면서 약점을 메워나가죠 ㅎㅎ
6모 미적 백분위 98맞은 재수생입니다 근데 요즘 문제를 풀수록 제가 감에 의존하는 풀이가 많다는걸 느껴서 8월동안 수1,2미적 마더텅을 모르는 문제 없이 간결한 풀이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끝내보려고 하는데 좋은 방법일까요?ㅠㅠ
백분위 98 맞을 정도의 실력이신 분이 굳이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풀이 교정을 마더텅으로 하시는 것보단 N제나 실모 계속 푸시면서 조금씩 교정해나가는 것이 더 좋아보여요.
근데 요즘 실모 푸는 족족 60 70점대가 나와서요...ㅠ
이 시기에 마터덩을 계속 파고 있는 건 별로 좋지 않고, 6~70점대 나오더라도 그 점수가 나온 실모의 풀이를 분석하며 교정 작업을 진행하시는 게 좋아요. 그리고 시간 날 때 기출 다시 봐주는 게 좋겠네요. 지금은 사설과 기출을 동시에 하더라도 비중이 사설이 더 높은 게 좋아요.
딱 글에 쓰여진대로 공부하고 있었어요 기출은 다시푼다기보단 다른 풀이방향은 없을지 일관된 논리로 풀고있는지 점검,, 확신을 얻고가네요 감사합니다
제 글이 도움이 돼서 좋네요 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