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황님들 이거 어떻게 생각하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419100
이번 2024 6월 모의평가 한국지리 5번문젠데,
신문 기사 내용이랑 선지 내용에서 오류가 있는것 같은데
이 의견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to. 개발팀누나 43
아름다우신 개발팀누나 ... 저 옹박사에요... 몇일전 너무나도 관심을받고싶은...
잠만
1번
보기의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 하더라도 정답을 도출하는 데에 이상이 없으므로 정답에 이상이 없음.
이 맨트 예전에 17년도 생명II에서 이러다가 소송당하지 않았나요 ㅋㅋㄱㅋㄱㅋㅋ
근데 이건 보기 내용은 겉치레라 전혀 의미가 없어서 소송 걸어도 의미 없을 듯
근데 이런 디테일 하나 안챙겨주면 서운한데 평가원.. 202O년이라서 미래에는 쌀이 생산량이 더 많으려나요 ㅋㅋㅋㅋ
이번 6모 뭔가 초보 출제자가 낸것같음요 통계도 못찾는건지 개허접한 구성이라
아 생각해보니까 애초에 채소가 식량 작물이 아니네. 수능 본지 개 오래돼서 헷갈렸네 나도
식량 작물은 쌀, 맥류, 두류, 서류, 잡곡 이런 거네 생각해보니
3번
하천 주변의 자연 제방에서도 과수 농사가 이루어지기도 하나, 주로 재배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정답에 이상이 없음.
3번 선지, 정답에 이상이 없음이 뜰 것 같은 건, '주로'+'하천 주변'이라는 안전 장치를 이미 만들어 놓았음.
자연 제방에 주로 과수원이 있다는 본문의 설명은 전혀 의미가 없음.
전체 과수 생산량에서 자연 제방에서 생산되는 양이 '주로'여야 의미가 있는 거지.
근데 경북, 제주 생각해보면 아닐 듯 아마도?
”주로“ 때문에 애매하긴 하네요..
3번은 과수가 생산되는 지형이 얼마나 많은데, 자연 제방이 과수로만 쓰는 것도 아니고 밭 등등 여러가지로 사용될 수 있는데 내가 봤을 땐 무조건 틀렸음.
출제위원은 그냥 주는 선지로 던진거 같은데, 그래서 선지에서 조건을 빡세게(주로, 하천 주변, 충적 평야) 잡았잖슴. 학생들이 이 정도는 당연히 아니라고 판단하겠지~ 생각한 거 같음
216학파신가
강성 216학판데 요즘 수능 메타때문에 슬픔요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