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미적 28번 접근? 사실 2년 연속 예고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3210203
처음에 보자마자 들어야 하는 생각은 '뭐야 시발'입니다. 우리는 낯설고 복잡한 상황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두려움을 느낍니다. 따라서 우리가 낯선 함수나 복잡한 함수에 대해 거부감이 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일단 a*b의 값을 물었으니 이것을 한 번에 구할 수 있도록 하거나 a, b값을 각각 구할 수 있는 상황을 설계했을 것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가) 조건은 항등식을 주었고 (나) 조건은 정보 하나를 주었네요!
일단 (나) 조건을 보고 있자니 f(0)과 f(2)를 이용해야할 듯합니다. 그래서 (가)의 식의 양변에 x=0과 x=2를 대입해봅시다. 오 그런데 우변이 둘 모두 a+b로 나옵니다! 그래서 얻은 두 식을 빼주고 (나) 조건과 연립해주면 다음을 얻습니다.
음.. 그럼 a, b에 관한 정보가 하나 더 있어야 a, b값을 결정해 a*b를 구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안 쓴 조건이 뭐가 있나 생각하며 발문을 천천히 살펴보니 f(x)가 연속이라는 조건을 주었습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할 생각을 해야합니다.
그러고보니 (가) 조건, f(x)에 대한 이차방정식입니다. 그럼 f(x) 식을 작성해볼 수가 있겠습니다.
그럼 우리는 f(x)가 둘 중 하나가 됨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이때 우리는 저 루트 안에 있는 복잡한 식의 개형을 알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a가 양의 실수이기 때문에 안에 있는 그래프 개형만 알 수 있으면 그것에 실수배해준 것임을 통해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안에 있는 그래프 개형 구할 수 있습니다. 복잡하긴 하지만 도함수와 이계도함수를 구할 수 있으니까요! 엄밀한 그래프를 그리기 위해서는 이계도함수를 조사해 볼록성을 표시해줄 필요가 있지만 대부분은 도함수 조사를 통한 증감 파악해서 끝나니 우선 도함수부터 조사해봅시다. (딱 봐도 이계도함수는 너무 복잡할 것 같고...)
그럼 우리는 부호 조사를 하고 싶은 것이니 부호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아이들을 제거하면
라고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왜냐하면 나머지 다 0 이상이고 -3+2[cos(pi*x)]^2 만 항상 음수니까요! 그럼 저 복잡한 식의 함수는 -sin(pi*x)의 부호 변동을 따르고 얘는 구간 [0, 2]에서의 모습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반복되는 아이니까 구간 (0, 1)에서 감소하고 구간 (1, 2)에서 증가하는 함수가 되겠습니다. 확장하면 저 주어진 복잡한 함수는 모든 정수 n에 대해 구간 (2n, 2n+1)에서 감소하고 구간 (2n+1, 2n+2)에서 증가하는 함수가 되겠죠!
그럼 다시 여기로 돌아와봅시다. f(x)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임의의 실수 k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따라서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입니다. 그러려면 저 루트 안에 있는 것이 항상 0 이상이어야합니다. 이는 (가) 조건을 f(x)에 관한 이차방정식으로 바라봤을 때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이 0 이상이라는 것과 같은 뜻입니다. 이때 저 복잡한 함수가 구간 (0, 1)에서 감소하여 최솟값 -1를 갖고 구간 (1, 2)에서 증가하여 최댓값 1을 갖는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어보면 a가 양의 실수이기 때문에 우리는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앞선 판별식 논리에 따라 다음이 성립해야합니다.
그리고 나서 어떻게 해볼까 생각해보니... 처음에 f(0)과 f(2)가 특수한 숫자? 상황? 이었잖아요. 그러니 다시 여기에 초점을 두어 봅시다. 근데 f(0)>-1이고 f(2)<-1입니다. 그리고 f(x)를 두 복잡한 식을 나타내어봤을 때 하나는 -1 이상이고 다른 하나는 -1 이하였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f(x)는 구간 (0, 2)의 어딘가에서 위의 함수에서 아래 함수로 갈아타야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위의 함수의 치역은 -1과 -1/2 사이이고 아래 함수의 치역은 -1과 -3/2 사이이기 때문에 위의 함수로는 -3/2에 도달할 수 없고 마찬가지로 아래 함수로는 -1/2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저 주어진 복잡한 함수가 구간 (0, 1)에서 감소하고 구간 (1, 2)에서 증가했으며 a가 양의 실수라는 점에서 함수 f(x)는 구간 (0, 1)에서 감소하고 구간 (1, 2)에서도 감소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감소하고 감소할 것인데 주어진 복잡한 함수가 연속함수이니 구간 (0, 1)에서는 f가 연속이고 구간 (1, 2)에서도 f가 연속임에 따라 x=1에서의 연속성만 조사해보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a값 결정 되었으니 b값도 결정할 수 있고 ab값도 결정할 수 있겠습니다.
28번을 보며 'n축이 중요하다'라고 설명하시는 강사 분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합성함수는 항상 합성방정식이라는 또 다른 해석 방법을 지니고 있습니다. 직접 속함수의 증감에 따른 겉함수 증감을 파악해 합성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도 있지만 겉함수가 방정식을 만족하는 x값들에 대해 그 x값들과 속함수가 일치할 때의 x값을 조사하는, 합성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풀이도 떠올릴 수 있어야합니다. 이는 작년 수능 22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설명입니다.
저 (가) 조건을 합성함수, 기울기함수로 파악해 평균값 정리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직접 수식을 정리해 g(x)에 관한 합성방정식으로 생각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제 이번 28번과 같은 g(x)에 대한 이차방정식 꼴입니다.
이후 (나), (다) 조건 적용하면 p, q값 결정해서 f(x), g(x)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더 옛날 기출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속함수 증감에 따른 겉함수 증감 예상해서 합성함수의 그래프를 그려가며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 2406미28, 231122와 같은 어떤 함수에 대한 이차방정식 꼴입니다.
나형 30번이라 그런지 식은 조금 더 단순하죠?
이렇듯 어떤 함수에 대한 이차방정식 꼴은 꽤 자주 보입니다. 사실 삼차방정식도 최근에 출제된 바 있습니다.
뭐 맨날 똑같은 이야기 하고 있긴 한데... 왜 기출 분석이 중요한지는 충분히 느낌 오시죠?
쟤는 f(x)에 대한 삼차방정식을 줬으니 마찬가지로 합성방정식 해 구하기의 관점으로 접근하시면 되겠습니다. 적당히 f(x)=1 넣어보면 주어진 관계식 만족하니 조립제법 써보면
으로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 해볼 수 있겠습니다. 이후는 위에 3문제랑 같은 방식
오늘은 이렇게 2406미28의 논리적 풀이를 231122, 221112, 1711나30에 근거하여 살펴봤습니다. 학습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제 어버이날인데 뭐 감사 인사나 선물 이런 거 아무것도 없었다고 엄청 혼이 났는데...
-
이해가안되네
-
수능이면 낮3쯤 되나요 아니라면 몇등급쯤 되나요 확통 2틀 공통 4틀이에요
-
공부하자
-
명륜진사갈비 2인 식사권을 댓글 쓴 전원에게 주는 것을 신중하게 검토해서 내부에서...
-
대통령돼서 이공계 의료계 개박살내면 됨
-
수험생 느그들이 학벌과 수험판에서 몸비틀며 뭔짓을 해봐야 586 아파트 기보유자의...
-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
-
뭐 시켜먹지 12
제육도 먹고싶고 돈가스도먹고싶고 뜨끈한 국물도 댕겨
-
5모보고 나니 느낀건데 14 15 21정도의 문제를 풀 순 있는데 한눈에 안들어와서...
-
잘래 3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
-
이 레어 너무 싫어요
-
이과는 취업이라도 잘하잖아
-
요근래 학생들 중간고사가 끝나 과외를 많이 알아봅니다!!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
221122 8
수학 교육청 2등급인데 이거 맞춤 칭찬해주세요
-
사설 컨텐츠(이감)vs교육청 국어 기출 하면 걍 이감하다가 자료 부족할 때나 교육청...
-
6번 - 각도 범위 안봄 레전드 능지이슈 30번 - 6 aa bb 나열을 잘못계산함...
-
과제밀려서 분량조절 실패 단과 있어서 오늘은 여기까지
-
지금 시작한거 자이 중등 독해력 기르기 문학,독서(배송중) 수특 문학,독서 읽고...
-
노력마저 재능이고 노력해서 얻은 학벌은 무쓸모에 존잘존예 금수저로 태어나야 인생 쉬워지는게 맞으면 8
아무것도 안하고 무기력하게 살거임? 전부터 느끼는건데 자신의 의지력과 용기가 부족한...
-
그래프를 그릴 땐 무지성으로 찍찍 긋는게 아니라 기준점과 무조건 지나야 하는 지점을...
-
10년전 페이커 뜨던 시절엔 의미가 있었음 그땐 그 시장 성장기고 성숙한 시장이...
-
3학년인데 아직도 대학은 술먹으러감
-
초코릿의 정체는 2
4시에 당 떨어지는 건 과학인가 이제 초콜릿을 까보겠오 쓱싹- ㄷㄱㄷㄱ 정답은 랏코...
-
좋은 대학 나와봤자 쓸모 없다-> 대학이 좋아도 내가 능력있어야한다 (O) ->...
-
책사러왔는데 둘다있어서 노베 먼저살까 고민중이긴해요 참고로 국어 5등급입니다.
-
10분인가 남아서 34번 이상하게 생각하다가 4번한거 3번으로 바꿔서 틀리고 4번은 의문사했네 하
-
나도 모르는 상처가 ㅈㄴ 많지?
-
멀쩡히 대학 다니는사람이 있는데 한의대노답 학벌노답 이러면 당연히 화나지
-
학벌 필요한 이유 14
거울을 보자 앞에 보이는 생명체의 얼굴로 돈을 벌 수 있을 거 같으면 공부 안 해도 됨
-
롤 티어는 좀 긁히네 ㅅㅂ 난 무얼 위해 롤을 했단말이냐
-
올해 3모 22번 미불+미불인 함수 미출제요소 맞음? 미적분에 절댓값함수에서...
-
학벌 안좋은거보단 좋은게 낫지
-
영어 빈순삽 0
만 모아져 있는 문제집 있나용 높2에서 1로 넘어가고 싶은데 ..
-
건장한 여고생장임 잘먹는편 고기제외
-
에휴 내인생아 3
-
남의 노력을 폄하하먼서 현실적인 조언을 한다고 뿌듯해하는 인간들이 많음
-
살기는 편하지만 편한만큼 추해지는 마인드
-
내 자신이 1
항상 실망스럽다
-
뭘해도 재미가 없어
-
공통 11-14 4
얘네 연습하려면 뭐풀어야하나요? 고 2 때는 킬러빼고 다맞췄는데 고3 들어와서...
-
오르비 복귀 8
반갑읍니다
-
첫째로 와꾸 >> 학벌인걸 결혼적령기 놈년들한테 다 퍼져버렸고 둘째로 저출산때문에...
-
강의 존나게 안 올려서 공부 안하는 나같은 사람들이 자기위로하기 좋음 저 대단한...
-
홍준표 "김문수 캠프 상임선대위원장 안한다…내일 미국 출국" 3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9일 자신이 김문수 국민의힘...
-
대학가서 아싸는 아닌거같음 반대도 마찬가지고
-
카이스아나토미 8
뭔대 강의가 3개밖에없음? 이제 막 개강한거임??
-
지불 금액의 수 일반화 해봤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요
-
현실: 1학년은 기본기 점검 및 고학점 폭격, 2학년부터 이론 전공 공부 주구장창,...
첨언하자면 합성방정식이 아닌 합성함수의 관점에서의 풀이는 아래를 참고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https://youtu.be/IA694_xmSm0
들어야 하는 생각은 뭐야 시발입니다 ㅋㅋㅋㅋ간만에 현웃 터졌네요
수험생 입장에서 가장 와닿는 풀이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ㅋㅋㅋㅋㅋ

첫 줄 읽고 좋아요 누름이번 28번 보고 정병호 커리 타기로 햇다 ㅋㅋ
깔끔하고 익혀두면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풀이가 정병훈, 정병호 선생님 해설 중에 많아보이더라고요! 좋은 판단인 듯
역함수 풀이도 좋아 ㅠㅠ
합성함수 해석이나 적당한 구간을 잡아 정의한 역함수를 이용하는 풀이도 깔끔하기도 깔끔한데 제대로 이해하고 나면 예술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죠!! 전 현장에서 적용하기엔 어렵길래 저렇게 '무언가에 관한 다항방정식' 상황 맞이하면 직접 식 써서 접근하는 게 마음 편하더라고요
만약 좌변이 삼차이상이였음 재밌었을것 같네요
역대급 킬러였을등
좌변에 3차 박고 삼각함수처럼 대칭성 딱 보이는 함수 말고 다른 것을 우변에 줬으면 올해 수능 30번에 냈어도 손색 없을 것 같다는 생각? 그럼 221112랑 231122 결합해서 설명할 수 있기도 하고 아님 첫 댓글 답글에 링크 걸어둔 영상처럼 합성함수 해석 묻거나 n축 심화 정도로 설명할 수도 있을테니
3차로 자작문제 만들어 봤는데
풀어 보실래요?
오 네!! 오래 걸릴 것 같긴 한데 올려주시거나 보내주시면 고민해볼게요
흠... 되게 복잡하게 푸셨네요..
복잡하지만 무조건 풀리는 풀이 vs 간단하지만 안 보이면 못 푸는 풀이
저는 둘 중에 전자를 선호하곤 합니다, 수험생 때 후자 추구하다가 몇 번 망해보고 '아무리 설명 들어도 현장에서 적용하지 못하면 아무 쓸모 없다'라는 것을 절실히 깨달았어서..
에고.. 뭐 사실 맞추면 장땡이긴 하죠
맞아요!! 저도 처음 풀 때는 주어진 f(x)에 관한 이차방정식의 해가 항상 존재해야한다는 점에서 판별식>=0 치니 a 범위가 0 초과 1/8 이하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그냥 대충 a=1/8 찍어버리고 답 냈어요
제 최신 글 ㄱㄱ
ㄹㅇ...
앗 맞아요 감사합니다! 수정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