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차수열 잘 하시는 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905012
등차수열 합 공식이
n(2a+{n-1}d)/2 이잖아요.
혹시 저기 n-1에
( n ) -( 1 ) 을 대입하는 게 아니라 (항의 개수 - 1)
n - 1을 대입하는 건가요?
그니까 예를 들어
m+1/2 에서
-1을 하면 m-1/2 이고
m 에 m-1 을 대입하면 m/2 가 돼서
뭐가 맞는 건지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등차수열 합공식 아무도 안외우는듯(아마도?)
내가안씀 일단 무조건 중항*항수(그게합공식이긴한데)
저도 등차중항 쓰는 걸 많이 쓰긴 하는데 갑자기 궁금해져서요 ㅠㅠ
n 대신에 대입하시면 돼요!!!
아 감사합니다!
괄호 안에 들어 있는 게 a+{a+(n-1)d} 로, 첫째항이랑 마지막항을 더한 거에요
마지막항이 a+(n-1)d 이니까 예를 들어 2m+1항까지 더한 다고 하면 n 대신에 들어가야 하니까 a+{(2m+1)-1}d 로 바뀌는 거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