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칼럼]1등급 되기 위한 출제심리 파헤치기 ep1.문제는 주제에서 파생된다(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416676
기출문제를 겉핥기하며 낭비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이 보여 칼럼을 제작합니다.
시간 날 때마다 제작할 생각이며 이 공간을 통해 필수 기출 대부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선택지를 살펴보니 조선 VS 중국으로 구도를 만들었네요.이러한 구도는 기출을 조금만 살펴보면 굉장히 자주 보이는 패턴입니다. 이러한 패턴으로 출제자가 출제하는 단서 또한 지문에 심어져 있습니다. 다만 여러분께서 출제자의 신호를 간과하고 계속 넘어가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뿐이죠.
이러한 신호를 미리 캐치하기 위해 기출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부단히 연습하면 지문을 읽음과 동시에 문제가 예측이 되는 것입니다.
첫 문장에서는 당연히 필자가 위 지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소재를 먼저 잡습니다. '유서'를 잡을 수 있겠네요. 그렇다면 우리는 유서의 '어떤 측면'에 대해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인지 구체적으로 잡아내야 합니다.
아래로 내려가니 '편찬 방식은 책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았다' 라는 문장이 보입니다.
이 문장을 보며 반드시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유서의 편찬 방식이 어떻게 다를까' [매우중요]
위와 같이 질문을 던지는 순간 글의 목적성이 분명해집니다 앞으로 글의 전개 양상은 유서 편찬 방식 몇 가지가 나열될 것입니다. 물론 뒤에서 내용의 흐름은 또다시 바뀔 수 있습니다.
지문으로 다시 돌아오니 '중국에서는'이라는 표현이 보입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표현은 보조사 '는' 입니다 (굉장히 자주 등장합니다)
독해를 위한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겠습니다. 보조사 '은/는'은 '비교'의 기능을 합니다 (물론 강조 기능도 있습니다) 비교라는 것은 두 개 이상의 대상에서 가능하므로 뒤의 내용에서는 분명 중국 이외 국가의 유서 편찬 방식이 나올 것임을 예측할 수 있고 국가 간 유서 편찬 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밑줄 긋는 것이 비교의 핵심입니다.
지문 아래를 보니 '조선에서는' 즉 중국 VS 조선 유서 편찬 방식 공통점/차이점 찾기를 하면 되겠습니다.
이를 출제자가 물어보기 위해 5번 문제가 만든 것이고요.
지문을 이어 읽겠습니다. 문단이 바뀌네요.문단이 바뀌면 반드시 글의 소재 변화에 민감해져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유서의 '편찬 방식'을 이야기 했습니다.
위 글의 첫 줄을 읽어보니 유서 편찬 '변화'에 대해 이야기하네요. 즉 글의 논의 범주가 변화된 것입니다. 다시 말해 글의 주제가 변화된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유서 편찬의 '변화'라는 말을 봤면 어떤 질문을 던질 수 있을까요? '유서 편찬이 어떻게 변화했을까?' 질문을 던져 독해 목적성을 명확히 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 지문에서 밑줄 그으면 됩니다.
그럼 아래 문제에서 이렇게 활용이 됩니다. 즉 문제는 지문의 핵심적 내용을 묻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러감 며칠~한달이따 재밋는썰들 뒤지게많이 갖고올게 딱대라
-
오르비 첫글 0
킬캠 80점이면 백분위 몇정도 가능할까요? 좋아요 0, 댓글 0
-
안경 잘바꾸신듯
-
이투스 정승제들으려고 해서 개때잡을 구매하였는데 아는 지인이 한완수 2025를...
-
당장의 감정에 너무 휩쓸리지 않아도 됩니다
-
나 매웠구나? 3
순해진거임 이게
-
이런거 알아도 되는 사람만 남았나 봄 걍 옆에서 하기도함
-
수2 적분 문제 4
1. 188 2. 191 3. 194 4. 197 5. 200
-
오르비에서 친구사귀고 남친/여친사귀는거 나쁘지않음 생각보다 외모도 다들 준수함
-
님들 그거 앎? 2
소화 안됐는데 자야될때는 왼쪽으로 누우면 배 덜불편함
-
내 첫글은 4
-
전부다 계삭하고 손필기 다 지워야지 시머인재가 고소때리기 전에 예전엔 개별적으로...
-
님들한테 얘기함 0
나 오르비 초창기때 여기서 이름털린적있음
-
기억이 안남 ㅅㅂ 진×*...
-
신상 털린거 3
이름 학교 반 동아리 사는곳 얼굴 나이 등등
-
사실 오르비가 부끄럽긴해
-
내첫글은 2
물리 질문글이었는데 고인물들이 막 몰려와서 알려주고감
-
한 명은 유튜버고 나머지는 다들 알거 같고 선배도 금테있고 참 인생 ㅈ됐노!
-
연재희 Evolved slave ll 절대현주해 강풀화1 힘들어하지마
-
왔을때부터 젖지대머리라고 씨부리진 않았구나
-
고고고고고
-
이상한 질문글이였음 호구지 호구
-
오호 0
지구과학 꽤 재밌네 근데 2단원은 너무 노잼인데
-
근본.
-
옯바 2
오늘은 정말 일찍 자야해요 내일 새벽 4시에 일어나야해서 흑흑
-
암산? 계산력?은 전보다 훨 좋아진거 같음..
-
맞팔구 10
-
'오르비'라는 커뮤가 부끄러운건가요? 지금까지의 활동이 부끄러운 건가요?
-
몰라 안세봄 일단 무한대발산쌉가능같음
-
이거 아시는 분 있으려나
-
진짜 ㄹㅇ 젖지프사보고 저건 뭐하는사람이지 프사 뭣같이 생겼네하고 오르비 들어왔는데...
-
나 알고있으면 오르비 한다는건데 ㅋㅋ
-
다음 그림과 같이 질량 2kg인 물체 A는 3m/s의 속력으로, 질량 1kg인 물체...
-
졸라슬프네 1
난 전썸녀도 없고 현썸녀도 없고 전여친도 없고 현여친도 없고 ㅅㅂ 인생 헛살았노…
-
이건 쉬운듯 보이지만 막상 답답하네
-
작년에 단과학원같은거 없이 잇올에서 하루종일 생재수 했는데 현역때랑 비슷한 점수...
-
황제 화반 포부 스터딘 홍다희
-
현실은 인터넷과 다름
-
댓글로 ㄱㄱ
-
이걸 가 말아 잇올에 이미 신청을 해두긴 함
-
내 오르비 첫 글 13
기억이 새록새록하다 벌써 옛날 일 같네....
-
요즘들어서 더 심해지는 것 같음
-
아침 오르비 정독하면서 등교 점심 학교에서 아이패드로 가재맨,랄로,도파 시청 저녁...
-
뭔가 자기가 그것도 못해주는 아빠인가라는 생각이 드는가봄 전에 pdf 얘기했더니...
-
마음 쓸 일도 없고 좋아요
-
하고 기침했어 카약카약카약카약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문제로부터 평가원이 독자들에게 보내는 신호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변하지 않은 것도 있고 변한 것도 있을까요?
또한 기출 분석을 통해 제제별로 문제를 통해 어떤 신호가 있고 이를 토대로 지문을 어떻게 빠르게 독해할지를 정리를 하는 것이 기출 분석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중요한 질문인 것 같습니다. 94학년도 기출부터 최근기출까지 40회 이상 검토 분석하며 오로지 기출로 승부를 보는 제 개인적 입장에서 평가원이 전하는 문제 속 메시지는 일관되어 보입니다. 당연히 껍데기 트렌드는 변화하지만, 그 속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음을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 스스로 분석하여 금년의 선생님과의 평가원에 대한 생각이 동일히 됐음 합니다.
진실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평가원 관점에서 최대한 생각하여 분석 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모르는 것 있으면 언제든 질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