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분석칼럼]1등급 되기 위한 출제자 심리 파헤치기 (6) 새먼의 과정이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500247
안녕하세요 강남역에서 조용히 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강사입니다.
어제에 이어 2021.06 평가원 새먼의 과정이론 지문 및 문제 분석하겠습니다.
먼저 해당 지문 최선을 다하여 읽고 문제까지 풀어본 후 이 분석을 읽으시면 많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을겁니다. 지문 분석을 통하여 도구들을 정리하겠습니다.
1] 핵심 소재 파악이 최우선 과제이다.
설명) 지문에서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할 것은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 소재이다. 이는 1문단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줄에 대부분 위치한다. 핵심소재 파악이 되어야만 주제를 찾을 수 있다. 주제는 항상 '핵심소재 의 [ ]' 으로 파악된다. 핵심소재는 곧 잘 파악하나 주제 찾기는 못하는 학생들이 많다. 반드시 핵심소재 의 [ ] 구조로 주제를 파악하는 연습을 부단히 해야 한다. 주제까지 파악했다면 비로소 글의 목적이 보이기 시작한다.
적용) 위 지문의 핵심 소재는 '인과'이며 주제는 인과의 '문제점(해결책)'이다.
[문제점] '인과 관계' 그 자체는 직접 관찰이 불가능함.
[해결책] 새먼의 과정이론.
↳ [글의 목적] 새먼의 과정이론을 통하여 인과 '관계'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2]가장 중요한 것은 개념의 정의와 그들 간의 관계이다!
설명) 출제자는 주제를 만들어 내는 핵심 개념에 대해 반드시 정의를 해준다. 개념의 정의는 보통 '-란 ~이다/-은 ~이다' 등의 형태를 보인다. 만약 그 개념이 지문 이해에 필수적 요소가 아니라면 출제자는 이를 정의하지 않는다. 또한 개념이 하나가 아닌 두 개 이상이라면 이 개념들 간에는 관계를 가지기 마련이다.
적용) 새먼의 과정이론을 설명하기 위하여 과정/ 표지 /인과적 과정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있고 이들을 정의하고 있다. 각 개념의 정의를 활용하여 개념들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관계를 정의에 따라 간략히 살펴보면 인과적 과정 = 과정 + 표지[연속]
문제 접근 알고리즘)
개념의 정의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보여주는 소중한 문제이다.
① 시공간적 궤적은 우리가 아까 살펴봤었던 '과정'의 정의이다. 다시 말해 바나나 이야기와 그림자 이야기가 서로 다른 '과정'인가를 물어보는 것이다. 바나나는 과정1이고 그림자는 과정3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시공간적 궤적을 그리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②물리적 속성이 다르다는 말은 결국 '표지'의 정의를 말하는 것이다. 재해석하면, 과정1과 과정2가 교차하며 '표지' 도입이 되었는지 여부를 물어보는 것이다.
③과정 1과 과정2가 '인과적 과정'인지 물어본다. 인과적 과정의 정의에 따라 과정1,3에 표지[연속] 가 있는가 확인하면 된다.
⑤'표지'의 '전달'을 물어보고 있다. 이는 '인과적 과정'의 정의일 뿐이다. 다시 말해 과정 3,4가 인과적 과정인가 물어보고 있는 것이다.
모든 선택지에서 정의를 활용하여 문제를 만들어 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출제자가 개념의 정의를 얼마나 소중히 생각하고 있는가 확인할 수 있는 문항이다.
3] 지문 서술의 대원칙: 추상적->구체화
설명) 이전에 살펴봤던 '인과적 과정'의 개념은 표지 도입 이후 모든 지점에서 표지가 연속적으로 도입되는 것을 뜻한다. 이 정의만 살펴봤을 경우 무슨 말인지 이해가 도통 가지 않는다. 너무 추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점이 평가원 글의 특성이다. 항상 추상적 내용을 먼저 던지고 뒤에서 예시 등을 통하여 구체화 해준다. 이 뿐만이 아니라 문장 또한 마찬가지로 항상 추상적 문장에서 구체적 문장 순서로 배열이 된다.
적용) 우리에게 친숙한 소재인 '바나나' 등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를 들어주고 있다.
문제 접근 알고리즘)
출제자는 추상적 내용을 예시를 통하여 이해할 것을 우리에게 요구한다. 따라서 문제 또한 예시 자체를 활용하여 문제를 출제한다 (위 6번 문제 동일)
4] 문제풀이의 스킬: 배타적 대립어휘 '안/밖'
설명) 평가원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출제 오류입니다. 따라서 오류 시비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정답의 근거가 지문 속에 뚜렷이 존재해야 한다. 출제자는 이를 위해 특정 단어를 활용하기도 한다. 기출 문제를 통하여 제가 직접 정리를 하여보니 정말 자주 활용되는 단어 패턴이 있다. 이 지문에서 제가 설명할 단어는 '안/밖' 이다. '안'과 '밖'은 서로 대립적이며 단어 자체의 경계가 매우 뚜렷하다. 우리는 이를 재해석해야만 한다.
적용) 마지막 문단을 살펴보면 과정이론은 '물리적 세계 바깥(밖)' 측면은 해명하기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다시 말해 '과정이론은 물리적 세계에서만 사용되는 이론'으로 재해석 한다. 재해석은 반대로 해주면 된다.
문제 접근 알고리즘)
[5번 문제]
선택지도 전체를 보시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보아야 빠르게 문제 접근이 가능해진다.
①'안' 이라는 말이 보인다. '안/밖' 활용하여 문제 출제한 것이다.
②과정이론은 물리적 세계 안에서만! 이라고 재해석 했다. 사회규범이나 처벌 등은 물리적 세계가 아니다.
안/밖 등 경계성 어휘는 반드시 재해석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나 더 보겠다.
[8번 문제]
덕은 물리적 세계가 아니니 '바깥' 이라는 표현이 맞겠다. 따라서 새먼의 과정이론으로는 설명이 안되겠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방사는 현재랑 비슷할수도..?
-
시간이 없네요 22번 건들 시간이!
-
큰일났다
-
삼류는 생각없이 그냥 글자만 읽는단계 눈만 움직이고 머리는 전혀 반응하지 않음 고로...
-
동파접 0
동파육 먹어 보고 싶다
-
미친소년 줄여서 미소년 이라네요?
-
미쳤네 ㅋㅋ
-
난 왜 떳떳할수가 없을까
-
일단 본인 OZ모 치기전까지 한 지과공부가 OZ개념 2회독 기출 2회독 교과서로...
-
아빠가 형이 피자를 먹고 싶어 한다고 형 집에 피자를 주문하라는데 이걸 왜 사 줘야...
-
6평 5
파이팅
-
옛날문학 3
17 18 19년도 문학이 요즘나오는문학에비해 지문당 소요시간이 긴 편인가요?...
-
아니 동사 파생 접미사랑 서술격 조사랑 구별 어캐함 4
둘다 -이다 가지고있는데글썽이다는 동사 파생 접미사 결합이라는데 이거 어떻게 구별하나요
-
작년에 흉년이였어서 올해 풍년인데 행복하지 못한거,, 공부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
진짜 날짜 개살벌하네. 어떻게 저 둘이 나란히..; 갑자기 의욕이
-
(속도 변화량*평균속도)=(가속도*변위)
-
뭔가 애매한 2-3등급이고 엔티켓은 수월하게 풀렸고 4규는 좀 막혔는데 그래도...
-
여기 오도기합짜세 대 공군 848기 형님들 있나요 11
잘해봅시다 ㅜㅜ
-
1. 펼친다 2. 푼다 3. 마킹한다 4. 검산한다
-
제곧내입니다아
-
내말듣고 다 화학하면 응시자 20만명돼서 개꿀임
-
6평 답 예측 1
수학 22번 60 미적 30번 대칭수(ex. 121 343) 확통 30번 300이상...
-
걍 이틀전부터 감만 유지하면됨ㄹㅇㅋㅋ
-
저메추 3
ㅇㅇ
-
배고푸다 0
-
원격수업 한자 3
일본 한자 창작 대회에서 나온 한자라네요
-
로입 준비해서 리트 얘기나 할까 해서 시도 했는데 동생: 그거 있잖아 그거 우주?...
-
반수 과탐 2
물리 노베고 생명은 작수 3(백분위85)인데 안정1맞고 싶고 생명 수능 끝나고...
-
장마조이고 2
오옹~ 나이스
-
어떻게 나올지 기대되는 과목들 하나씩 있지 않음? 전 국어랑 생윤 국어는 올해...
-
하지메마시떼 2
-
민지가 잘된데
-
전날에 늦게자면 스카에 앉아있어도 얼마안가 결국 집중력 폭파되네요 두시간동안 소설읽음..
-
시험공부도 안 하고 수능공부도 안 하고 면접공부도 안 하는 나란 도태된 인간같다...
-
공부하기 싫어서 겨울방학 계획을 지금 미리 짜보는 허수지만 평가부탁 겨울방학 안에...
-
다시 나가셈 미소년이아니면 용납못한다.
-
생명과학 1
부신이랑 이자랑 같은거임?
-
강해져서 돌아온다 11
폐관수련 하고윰
-
라면 부숴 먹기 5
부숴 먹고 남은 거엔 끓는 물 부어서 먹음
-
계속 시끄럽다고 말했고 그래도 저번에 합의 봤고 주말이니까 1시간 30분 참았으니...
-
둘 중에 하나만 봐야하면 올해는 다들 독서에서 연계될 것 같다고 하니까 독서...
-
제곧내
-
노천명-싱가폴 함락
-
삶은 왜이리 힘든가
-
하아 참아야지 어쩌겟니
-
작년에도 하나도 안봤었는데… 일단 올해 연계 체감 높인다고 했으니 작년보다는 확실히...
-
지금도 소아온 브금 들으면 가슴이 웅장해지고 그러네 2
GOAT
-
휴르비 10
중독 오져서 앱 지웁니답 6모 치고 만나요 차피 곧임 ㅋㅋㄹㅋㅎㅋㅎㅋㅋ
글의 길이와 정보의 가치가 비례한다는 것은 성립하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글이다.
즉,분석의 결과물의 핵심을 보여주신 것이다.
다음 칼럼에는 무엇일 지 너무 기대된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진행하겠습니다. 알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모든 기출 해설 진행할테니 열심히 공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