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묘정 [1209832]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3-03-04 16:32:17
조회수 6,784

[2023학년도 수능(2022년 11월)] 40번 요약문: 매직넘버(2:2:1) 적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301214

< 악플에는 무대응하겠습니다. 저 역시 정말 바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교육과정평가원의 수능 영어 문제가 정답 논란이 없는 세계 최고의 영어 문제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의 의견도 저는 존중하고 싶습니다. 수능 영어가 아이엘츠, 토익, 토플보다 더 완성도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의 의견도 저는 존중하고자 합니다.>


수능 영어를 가르쳐 보니 문제가 너무 이상했습니다. 문항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만 가르쳐야 하고 수능 영어 대로 내신 시험을 출제해야 하는 저로서는 수능 영어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큰 걸림돌이라고 판단하고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와 폐지하면 좋은 점

1) 수능 영어는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대로 개선된 적이 없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험이다.

2) 수능 영어를 폐지해도 대학교를 입학하면 토익, 토플, 아이엘츠와 같은 영어 본고장에서 출제하는 공인 영어 시험을 평생 많이 치게 된다.

3) 수능 시험의 과목수가 줄어들어 수험생과 시험 감독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시대에 뒤떨이진 수능 영어에서 벗어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영어를 교사의 소신에 따라 가르칠 수 있다.


수능 영어는 정답 논란이 없는 좋은 문제라고 주장하는 분과의 댓글 논란이 참 힘들었습니다. 수능 영어는 정답 논란이 없는 문제라기보다는 문제 유형별로 정답이 고정된 문제입니다. 정답 논란이 없는 영어 문제를 출제하려는 교육과정평가원의 입장은 저도 이해되지만 30년 가까이 시대의 흐름에 맞게 수능 영어 문제를 개선하지 못하는 교육과정평가원의 자세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수험생, 학부모님께 여쭙고 싶습니다. 제가 악플 각오하고 수능 영어영역의 한계점을 알리는 이유는 학생들이 더 나은 영어를 배우기를 원하고 어린 영어선생님들이 더 나은 영어를 가르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저는 저처럼 25년간 수능 영어를 고등학교에서 가르쳐온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생각을 바꾸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저 역시 힘들고 바쁜 일상을 살아가야 하는 사람이기에 악플에는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습니다. 정답 논란이 없기에 수능 영어영역의 정답이 해마다 문제 유형별로 특이하게 반복되는 건 전혀 문제가 아니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고 있으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수능 영어 정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이는 공정성과도 연결됩니다. 영어 외적인 요소로 정답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가 된다면 과연 공정한 영어 시험이라 할 수 있는지 수험생, 학부모님, 영어선생님께 여쭙고 싶습니다.


제가 원하는 수능 영어 폐지가 무슨 힘이 있겠습니까? 다만 제가 제 힘든 삶의 시간의 쪼개어 수능 영어 분석을 한 자료는 우리나라 영어교육 개선을 위한 아주 작고 보잘 것 없지만 어쩌면 저보다 더 큰 힘이 있는 분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단초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5년 가까이 고등학교에서 수능 영어를 가르치면서 크나큰 좌절과 한계를 느꼈습니다. 그래서 수능 영어의 특이한 정답 분포를 알리고 있습니다.


40번 요약문 문제는 독해하지 않아도 정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요약문 문제는 ‘어휘 시험+산수 시험+상식 시험’으로 분류하고 싶습니다. 문항 개선이 필요합니다.

요약문 문제는 나온지 20년정도인데 교육과정평가원이 출제하는 안타까운 독해 문제입니다. 3등급 이상의 학생은 지문 독해 없이 요약문 문제를 30초 전후에 풀 수 있습니다.

40번 요약 문제는 독해하지 않고 요약문 내의 근거로 논리적으로 정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 또는 (B)에 [2번 등장 단어, 2번 등장 단어, 1번 등장 단어]에서 1번 등장하는 단어가 있는 선택지 탈락시키기
(2) (A) 또는 (B)에 [3번 등장 단어, 2번 등장 단어]에서 2번 등장하는 단어가 있는 선택지 탈락시키기
(3) 접속사를 최대한 이용하기
(4) 요약문 내의 중요 표현에 근거해서 대응되는 표현 고르기
(5) 더 상식적이고, 더 자연스러운 내용이 되는 단어가 정답이다. 


<홀수형/짝수형 인쇄 동일>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40번 요약문

정답 ①

매직 넘버 2:2:1과 상식을 이용하면 독해 없이 정답 고를 수 있습니다.

 

(1) (A) 또는 (B)에 [2번 등장 단어, 2번 등장 단어, 1번 등장 단어]에서 1번 등장하는 단어가 있는 선택지 탈락시키기

 

(A) 파트 persisted, persisted, evolved, diminished, diminished에서 2:2:1 비율이 성립한다. 1인 evoloved를 포한한 ③번 탈락한다.

      (A)                  (B)

① persisted …… limit

② persisted …… cultivate

③ evolved …… accelerate

④ diminished …… shape

⑤ diminished …… restrict

 

(5) 더 상식적이고, 더 자연스러운 내용이 되는 단어가 정답이다.

요약문: Craftsmanship, a human desire that has   (A)   over time in diverse contexts, often encounters factors that   (B)    its full development.

 

요약문의 키워드를 추려내면 human desire  (A)  over time에서 "인간의 욕망은 시간이 지나면 persisted(지속되다) vs diminished(줄어들다)"에서 인간의 욕망은 웬만해서는 줄어들기 힘들므로 persisted를 선택한다.

 

요약문 키워드 추출: human desire that has   (A)   over time

       (A)                 (B)

① persisted …… limit

② persisted …… cultivate

④ diminished …… shape

⑤ diminished …… restrict

 

(5) 더 상식적이고, 더 자연스러운 내용이 되는 단어가 정답이다.

요약문: Craftsmanship, a human desire that has   (A)   over time in diverse contexts, often encounters factors that   (B)    its full development.

 

요약문 키워드 추출: Craftsmanship over time in diverse contexts often encounters factors that   (B)    its full development.

        (A)               (B)

① persisted …… limit

② persisted …… cultivate

 

장인정신은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상황에서 그것의 완전한 발전을 (B) [ 제한하는(limit) / 함양하는(cultivate) ] 요소를 종종 만나다라는 내용에서 limit과 cultivate 어느 표현이 더 자연스러운가?

 

오랜 세월에 걸쳐 다양한 상황에서 장인정신을 완전히 함양할 수 있는 요소를 종종 만나기는 정말 힘들다. 그래서 (B)의 정답은 limit이다.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40번 요약문 정답 ① least …patterns
Scientific explanations can be made either by seeking the (A) number of principles covering all observations or by finding general (B) drawn from individual phenomena.


     (A)       (B)
① least …patterns ② fixed …features ③ limited …functions ④ fixed …rules ⑤ least …assumptions


(1) (A) 또는 (B)에 [2번 등장 단어, 2번 등장 단어, 1번 등장 단어]에서 1번 등장하는 단어가 있는 선택지 탈락시키기
(A) 파트 least, fixed, limited, fixed, least에서 2:2:1 비율이 성립한다. 1인 limited를 포한한 ③번 탈락한다.


(4) 요약문 내의 중요 표현에 근거해서 대응되는 표현 고르기
by seeking the (A) number of principles covering all observations에서 all과 대응되는 표현 least이다. ②④번 탈락.


(5) 더 상식적이고, 더 자연스러운 내용이 되는 단어가 정답이다.
by finding general (B) drawn from individual phenomena.에서 (B)에 assumptions보다 patters를 넣었을 때 의미가 더 타당하다.


요약문 내의 단서 만으로 ① least …patterns을 정답으로 논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40번 정답 ③ misguided …… uniform


It is (A) to understand political power in other cultures through our own notion of it because ideas of political power are not (B) across cultures.


        (A)         (B)                                       (A)             (B)
① rational … flexible                         ② appropriate … commonplace
③ misguided … uniform                    ④ unreasonable … varied
⑤ effective … objective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문제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1)번 적용
(A) 선택지에는 rational, appropriate, misguided, unreasonable, effective가 나옵니다.
It is (A) to understand~라는 문장 구조에서 다섯 개의 단어는 rational, appropriate / misguided, unreasonable / effective 세 범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라고 이해는 것이 타당하다 vs ~ 라고 이해하는 것이 틀렸다의 대결 구도입니다(rational, appropriate VS misguided, unreasonable)
effective 4개의 단어와 성질이 다릅니다. 가령 1주일에 10kg을 감량할 수 있는 다이어트약이 effecitve할 수는 있지만 건강상 문제점을 초래한다면 타당한지는 추가적으로 따져봐야 합니다.
③ (A) effective …… (B) objective 탈락


(5)번 적용
because ideas of political power are not (B) across cultures.라는 문장에 (B)의 남은 선택지인 flexible, commonplace, uniform, varied를 넣으면 ③ (B)uniform만이 보편타당한 진술이 됩니다. 더군다나 flexible과 varied는 일맥상통하는 단어라서 동시에 탈락됩니다.
③ (A)의 misguided를 요약문 빈칸 (A)에 넣으면 상식적이고 보편타당한 진술이 됩니다.
----------------------------------------------------------------------------------------------------------------------------------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40번 정답: ③


For English aristocrats, planting trees served as statements to mark the (A)ownership of their land, and it was also considered to be a(n) (B) of their loyalty to the nation.


        (A)                 (B)                                 (A)             (B)
① unstable …… confirmation                    ② unstable …… exaggeration
③ lasting …… exhibition                          ④ lasting …… manipulation
⑤ official …… justification


(1) (A) 또는 (B)에 [2번 등장 단어, 2번 등장 단어, 1번 등장 단어]에서 1번 등장하는 단어가 있는 선택지 탈락시키기: (A)에 unstable, unstable, lasting, lasting, official 이 등장하는 전형적인 2:2:1 비율입니다. 1인 official은 정답이 아닙니다. ⑤번 탈락


(5) 더 상식적이고, 더 자연스러운 내용이 되는 단어가 정답이다.
mark the (A) ownership of their land
(A)에 들어갈 표현은 unstable(불안정한), lasting(지속적인) 중에 lasting입니다. ‘그들 땅의 지속적인 소유권을 표시할’이라는 의미가 상식적입니다. 그러면 ③ lasting …… exhibition과 ④ lasting …… manipulation이 남습니다.
it was also considered to be a(n) (B) of their loyalty to the nation. 에 더 자연스러운 표현은 manipulation(조작)이 아니고 exhibition(표현)입니다. ‘국가에 대한 충성심의 표현으로 역시 고려될 수 있다.’가 자연스럽고 교육적인 가치가 있습니다^^


-----------------------------------------------------------------------------------------------------------------------------------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40번 정답: ①


Although the computer is clearly (A) at handling information in a decontextualized way, it interferes with our making (B) judgments related to the broader context, as can be seen in policy making processes.
(A) (B) (A) (B)
① competent …… comprehensive ② dominant …… biased
③ imperfect …… informed ④ impressive …… legal
⑤ inefficient …… timely
교육과정평가원이 나름 신경 써서 낸 요약문 문제이기는 하나 독해 없이 정답을 쉽게 고를 수 있습니다. 저는 독해 없이 그냥 요약문에 표현 넣어보고 30초 이내에 ①번으로 골랐습니다.
 
(3) 접속사를 최대한 이용하기: 접속사를 이용한 요약문의 골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Although the computer is (A), it interferes with (B) ~. 비록 컴퓨터는 (A)하지만 (B)를 방해한다. 즉 (A)와 (B) 모두 긍정적인 표현이 들어가야 합니다.
② dominant …… biased(편견이 있는), ③ imperfect(완벽하지 않은) …… informed, ⑤ inefficient(비효율적인) …… timely 이 탈락합니다.


(4) 요약문 내의 중요 표현에 근거해서 대응되는 표현 고르기
(5) 더 상식적이고, 더 자연스러운 내용이 되는 단어가 정답이다.


it interferes with our making (B) judgments related to the broadercontext,에서 broader과 어울리는 표현은 legal이 아니고 comprehensive(포괄적인)이며, ④ impressive …… legal 보다는 ① competent …… comprehensive을 요약문에 넣었을 때에 더 타당하고 상식적인 진술이 됩니다.
-----------------------------------------------------------------------------------------------------------------------------------


2016학년도 모평, 수능 요약문 문제 독해 없이 풀기 요령


1.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40번 정답: ②
(A) (B)
① analyze …… splitting
② analyze …… combining
③ modify …… distributing
④ assemble …… dividing
⑤ assemble …… blending
(A) analyze 2개, modify 1개, assemble 2개 → ③번 탈락
(1) business organization에서 functional managers와 project managers를 compared하고 있다.
(2) 빈칸 (A): what forms a system과는 assemble이 아니라 analyze와 어울린다.
해석: 하나의 체제를 이루는 것을 분석하다
(3) 빈칸 (B): analyze와 compared되는 combining을 선택하면 combining all of its elements라고 어울리는 표현이 된다.
해석: 그것의 모든 요소를 합치는 것


2.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40번 정답: ①
(A) (B)
① insufficient …… preserve
② insufficient …… create
③ poisonous …… purify
④ poisonous …… reshape
⑤ abundant …… clean
(A) insufficient 2개, poisonous 2개, abundant 1개 → ⑤번 탈락
(1) fig trees에 대한 내용이다.
(2) 빈칸 (B): preserve their ecosystem(생태계를 보존하다) 가능. create their ecosystem(생태계를 창조하다) 어색-아무리 나무가 대단해도 생태계를 창조할 수는 없을 것이다. purify their ecosystem(생태계를 정화하다) 가능. reshape their ecosystem(생태계를 개조하다) 어색-아무리 나무가 대단해도 생태계를 개조하기는 힘들다.
(A) (B)
① insufficient …… preserve
③ poisonous …… purify
(3) ③번보다는 ①번을 빈칸에 넣으면 더 의미가 자연스럽고 보편적이다.
①번 단어 넣고 해석: fig trees는 다른 과일이 insufficiet(불충분)할 때, 생태계를 preserve(보존한다)
②번 단어 넣고 해석: fig trees는 다른 과일이 poisonous(유독한)할 때, 생태계를 정화한다(purify)


3.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40번 정답: ②
(A) (B)
① contextual …… put aside
② contextual …… rely on
③ controllable …… put aside
④ positive …… ignore
⑤ positive…… rely on
(A) contextual 2개, controllable 1개, positive 2개 → ③번 탈락
(B) put aside 2개, rely on 2개, ignore 1개 → ④번 탈락


(1) performance eval‎‎‎uation(공연 평가)에서 we should consider(우리가 고려해야 하는) factors(요소)를 논하고 있다. rather than이라는 접속사가 있어 대비되는 개념이 되어야 한다.
(2) 빈칸 (B): eval‎‎‎uation에서 rather than put aside figures only(인물만 제쳐두기보다는)는 비상식적이다. rather than rely on figures only(인물에만 의존하기보다는)이 타당하다.
(3) 빈칸 (A): rely on figures only와 대비될 수 있는 개념은 contextual factors(상황적인 요소)다.


4.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40번 정답: ④
(A) (B)
① objectively …… weaken
② objectively …… support
③ accurately …… clarify
④ selectively …… strengthen
⑤ selectively …… disprove
(A) objectively 2개, accurately 1개, selectively 2개 → ③번 탈락
(1) information을 처리하는 lawyers와 scientists를 대조하고 있습니다. Unlike라는 전치사가 답을 찾는 실마리입니다.
(2) 빈칸 (A): scientist must include all information과 대비되는 단어는 selectively입니다. ‘정보를 선택적으로(selectively) 이용하는 변호사와는 달리 과학자들은 모든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라고 내용이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정답 후보는 ④,⑤번입니다.
(3) 빈칸 (B): 빈칸 (B)에 ④번 strengthen을 넣으면 ‘정보 중에 일부가 그들의 주장을 강화할(strengthen) 가능성이 없을지라도 과학자들은 모든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라고 자연스러운 문장이 됩니다.


5.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40번 정답: ①
(A) (B)
① successive …… unique
② successive …… valuable
③ controlled …… valuable
④ incidental …… influential
⑤ incidental …… unique
(A) successive 2개, controlled 1개, incidental 2개 → ③번 탈락
(B) unique 2개, valuable 2개, influential 1개 → ④번 탈락
(1) scientific knowledge와 artistic work를 대조하는 내용입니다. 접속사 while이 힌트입니다.
(2) 빈칸 (A): artistic work가 있는 절에 with no limitless sequence(제한이 없는 연속)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sequence와 연결되는 단어는 successive(연속적인)입니다.
(3) 빈칸 (B): limitless(무한한)와 creator(창조자)와 연결되는 단어는 unique입니다.


6.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40번 정답: ①
(A) (B)
① weigh …… dissimilar
② weigh …… common
③ weigh …… balance
④ control …… favorable
⑤ control …… conflicting
(A): weigh 3개, control 2개 → 2개짜리 control이 있는 ④,⑤번 탈락
(1) 빈칸 (B): 요약문 앞쪽에 ‘~ not ~ identically ~’(동일하지 않게)를 근거로 dissimilar(다른)을 선택하면 됩니다.


7.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40번 정답: ⑤
(A) (B)
① securing …… freedom
② sharing …… interaction
③ identifying …… exploration
④ sharing …… prosperity
⑤ securing …… survival
(A) securing 2개, sharing 2개, identifying 1개 → ③번 탈락
(1) evolutionary가 등장하고 진화와 관련 있는 생명공학 지문입니다.
(2) 빈칸 (B):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진화적인 관점에서)와 어울리는 표현은 prosperity(번영)과 surivial(생존)입니다. → ④⑤번 선택
(3) 빈칸 (A): sharing minimum resources(최소한의 자원을 공유하기)와 securing minimum resources(최소한의 자원을 확보하기) 둘 중의 선택이 매우 어렵다. rather than pursuing maximum gains(최대한의 획득을 추구하기보다)라는 표현을 판단 근거로 활용하면 pursuing maximum gains(최대한의 획득을 추구하기)와 대비될 수 있는 표현은 minimum resources(최소한의 자원)을 sharing(공유하기)보다는 securing(확보하기)가 더 맞다.


8.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40번 정답: ①
(A) (B)
① loose …… profit
② loose …… stem
③ loose …… withdraw
④ close …… profit
⑤ close …… stem
(B) profit 2개, stem 2개, withdraw 1개 → ③번 탈락
(A) loose 3개, close 2개 → ④⑤번 탈락
(1) ①,②번만 남는다. (A) 모두 loose(느슨한)다.
(2) 빈칸 (B): stem(기인하다)보다 profit(이익을 얻다)는 넣었을 때 더 자연스러운 문장이 된다.
해석: cosmopolitan networks는 더 새로운 정보와 더 넓은 관계에서 이익을 얻는다.


9.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40번 정답: ①
(A) (B)
① limit …… unexpected
② limit …… distorted
③ diversify …… misleading
④ diversify …… accidental
⑤ provide …… novel
(A): limit 2개, diversify 2개, provide 1개 → ⑤번 탈락
(1) 빈칸 (A): specialized area(전문화된 영역)으로 diversify(다양화하다)가 아니라 limit(제한하다)가 정답입니다.
(2) 빈칸 (B): less probable(덜 가능성 있는)을 근거로 distorted(왜곡된)이 아니라 unexpected(기대되지 않은)이 정답입니다.


10.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40번 정답: ①
(A) (B)
① essential …… prior
② practical …… detailed
③ useless …… relevant
④ practical …… independent
⑤ essential …… unbiased
(A): essential 2개, practical 2개, useless 1개 → ③번 탈락
(1) vertical transfer(수직 이동)과 lateral transfer(수평 이동)을 대조하고(however) 있습니다.
(2) 빈칸 (A): vertical transfer(수직 이동)에서 lower level knowledge(더 낮은 단계의 지식)은 practical(실용적인)보다 essential(필수적인)입니다. 수학을 생각해 보세요.
(3) 빈칸 (B): lateral transfer(수평 이동)에서 unbiased(편견 없는)보다는 prior(이전) knowledge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can be helpful).


11.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40번 정답: ①
(A) (B)
① transformable …… preservation
② transformable …… practicality
③ consumable …… manipulation
④ restorable …… potential
⑤ restorable …… recovery
(A): transformable 2개, consumable 1개, restorable 2개 → ③번 탈락
(1) 숲(forest)에 대한 토착민(indigeous people)과 전국적이고 전 지구적인 관점(national and global perspectives)을 대조하는(while 반면에) 내용입니다.
(2) ④번(A: restorable 저장 가능한 B: potential 잠재적인)은 같은 맥락의 단어입니다. 탈락~. while 전후가 대조되어야 합니다.
(3) ⑤번(A: restorable 저장 가능한 B: recovery 회복)은 같은 맥락의 단어입니다. 탈락~. while 전후가 대조되어야 합니다.
(4) ①번(A: transformabel 변형가능한 B: preservation 보존)은 정답입니다. while 전후가 대조되고 있습니다.


12.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40번 정답: ①
(A) (B)
① immediate …… competitive
② available …… expensive
③ delayed …… competitive
④ convenient …… expensive
⑤ abundant …… competitive
(B) competitive 3개, expensive 2개 → ②,④번 탈락
(1) 투입(inputs)과 산출(outputs) 거리(distance)에 관해 화석 연료(fossil fuels)가 재생 가능 에너지(renewable energy)보다 더 ~하다는 내용이다.
(2) 빈칸 (B): (B)는 2번 등장하는 expensive가 탈락하고 3번 등장하는 competitve가 정답이다. 이 요약문은 화석연료가 투입과 산출 거리에 관해서 재생 가능 에너지보다 더 경쟁력 있다고(more competive)하다고 주장한다.
(3) 빈칸 (A): 투입(inputs)과 산출(outputs) 거리(distance)와 관련 있는 개념은 immediate(즉시)이다.


13.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40번 정답: ①
(A) (B)
① pretended …… actualize
② pretended …… disregard
③ refused …… realize
④ refused …… idealize
⑤ attempted …… mask
실전에서는 Best(최선) 찾기보다 Worst(최악)을 배제하는 전략이 통합니다.
(A): pretended 2개, rufused 2개, attempted 1개 → ⑤번 탈락
(1) 환경 관련 내용입니다. eco-conscious(환경을 의식하는)과 pro-environmental(환경을 옹호하는)이 등장합니다. While(반면에)라는 접속사가 있으므로 종속절과 주절에 반대되는 내용이 되어야 합니다.
(2) ②번은 탈락입니다. (A) pretended(~인 척했다)와 (B) disregard(무시하다)를 요약문에 넣으면 종속절과 주절의 내용이 반대되지 않습니다.
(3) ③번(A: refused, B: realized)과 ④번(A: refused, B: idealize)을 요약문에 넣으면 종속절과 주절의 내용이 반대가 되지만 두 문장의 의미가 비슷하게 됩니다.
(4) 남는 건 ①번뿐입니다.


14.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40번 정답: ②
(A) (B)
① fixed …… share
② trapped …… activated
③ standardized …… control
④ localized …… share
⑤ underestimated …… activate
(B) share 2개, activated 2개, control 1개 → ③번 탈락
(1) 건축(architecture)에 대한 글이고, 나쁜 점을 ~하니까(so 그러므로), 노력(efforts)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2) 빈칸 (B): 우리를 변화시키는 힘을(its power to change us)를 공유하기(share)보다는 행하는(activiate) 것이 더 적합합니다.
(3) 빈칸 (A): so(접속사 그러므로) 앞에는 안 좋은 내용이 들어가야 합니다. 건축이 관습(convention)과 상업적 환경(commercialized environment)에 갇히다(trapped)가 알맞습니다. 고정된(fixed)도 빈칸 (A)에 들어갈 수도 있지만 고정되면 개선의 여지가 없기에 fixed보다는 trapped가 더 적합합니다.


15.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40번 정답: ⑤번
(A) (B)
① competitive …… disconnected
② tied …… endangered
③ responsible …… isolated
④ competitive …… united
⑤ tied …… parted
(A) competitive 2번, tied 2번, responsible 1번 → ③번 탈락
(1) 코끼리(elephants)의 진화된 인사(evolved greeting)에 대한 내용입니다.
(2) 빈칸 (A): 상식적으로 인사가 아무리 진화되더라도 사교적으로 경쟁적(socially competitive)이기보다는 사교적으로 연결된(socially tied)이 더 어울립니다. 인사는 사교적 유대(socially tied)가 본연의 역할입니다.
(3) 빈칸 (B): 멸종된 endangered를 넣으면 내용이 이상합니다. 코끼리의 인사가 아무리 진화하더라도 얼마나 오래 멸종되었는지는 알릴 수 없으니, parted(떨어진)을 넣어야 합니다. 인사를 하며 얼마나 오랫동안 떨어져 있었는지는 언급할 때가 많습니다(how long they have been parted).


16.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40번 정답: ③
(A) (B)
① experimental …… confirm‎‎‎
② experimental …… reveal
③ environmental …… clarify
④ environmental …… conceal
⑤ accidental …… mask
(A) experimental 2개, environmental 2개, accidental 1개 → ⑤번 탈락
(1) 화석(fossil)에 대한 내용입니다.
(2) 빈칸 (A): 화석화(fossilization)은 실험적 조건(experimental condition)이 아니고 환경적 조건(environmental condition)에 의해 영향받습니다(are affected by).
(3) 빈칸 (B): ① 화석 증거(fossil evidence)는 개체수 크기(population size)와 출현(appearance)과 멸종(extinction)을 ‘cannot definitely conceal(명확하게 숨길 수 없다)’는 비상식적입니다. 화석은 과거 동물에 대해서 무언가를 밝히는 기능이 크잖아요. 실전에서는 Best(최선) 찾기보다 Worst(최악)을 배제하는 전략이 통합니다.
② 화석 증거(fossil evidence)는 개체수 크기(population size)와 출현(appearance)과 멸종(extinction)을 ‘cannot definitely clarify(명확하게 밝힐 수 없다)’가 더 타당합니다. 화석이 관련 과거 동물의 모든 사항을 명확하게 밝힐 수는 없죠.


17.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40번: ②
(A) (B)
① pursuing …… unnecessary
② pursuing …… common
③ holding …… personal
④ denying …… ethical
⑤ denying …… primary
(A): pursuing 2개, holding 1개, denying 2개: ③번 탈락
(1) 미국인(Many Americans)이 물질주의(materialism)에 대한 내용입니다. but이 있으니 대비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합니다.
(2) 빈칸 (A): 거부하는 것(denying)을 넣으면 내용이 너무 꼬입니다. 추구하는 것(pursuing)을 넣으면 해석이 자연스럽게 됩니다.
해석: 물질주의(materialism)는 미국인들(Many Americans)이 사회적 가치(social values)를 추구하는 것을 막는다.
(3) 빈칸 (B): but이 있으니 대비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합니다. feel detached(떨어져 있음을 느끼다)와 대비될 수 있는 표현은 a fairly common concern(꽤 일반적인 걱정)이 보기 단어 중에서 가장 적합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