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수능(2022년 11월)] 38번 39번 위치: 차빈 정답 ⑤번과 최빈 정답 ④번이 나란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289921
< 악플에는 무대응하겠습니다. 저 역시 정말 바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교육과정평가원의 수능 영어 문제가 정답 논란이 없는 세계 최고의 영어 문제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의 의견도 저는 존중하고 싶습니다. 수능 영어가 아이엘츠, 토익, 토플보다 더 완성도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의 의견도 저는 존중하고자 합니다.>
수능 영어를 가르쳐 보니 문제가 너무 이상했습니다. 문항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만 가르쳐야 하고 수능 영어 대로 내신 시험을 출제해야 하는 저로서는 수능 영어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큰 걸림돌이라고 판단하고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와 폐지하면 좋은 점
1) 수능 영어는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대로 개선된 적이 없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험이다.
2) 수능 영어를 폐지해도 대학교를 입학하면 토익, 토플, 아이엘츠와 같은 영어 본고장에서 출제하는 공인 영어 시험을 평생 많이 치게 된다.
3) 수능 시험의 과목수가 줄어들어 수험생과 시험 감독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시대에 뒤떨이진 수능 영어에서 벗어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영어를 교사의 소신에 따라 가르칠 수 있다.
수능 영어는 정답 논란이 없는 좋은 문제라고 주장하는 분과의 댓글 논란이 참 힘들었습니다. 수능 영어는 정답 논란이 없는 문제라기보다는 문제 유형별로 정답이 고정된 문제입니다. 정답 논란이 없는 영어 문제를 출제하려는 교육과정평가원의 입장은 저도 이해되지만 30년 가까이 시대의 흐름에 맞게 수능 영어 문제를 개선하지 못하는 교육과정평가원의 자세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수험생, 학부모님께 여쭙고 싶습니다. 제가 악플 각오하고 수능 영어영역의 한계점을 알리는 이유는 학생들이 더 나은 영어를 배우기를 원하고 어린 영어선생님들이 더 나은 영어를 가르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저는 저처럼 25년간 수능 영어를 고등학교에서 가르쳐온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생각을 바꾸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저 역시 힘들고 바쁜 일상을 살아가야 하는 사람이기에 악플에는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습니다. 정답 논란이 없기에 수능 영어영역의 정답이 해마다 문제 유형별로 특이하게 반복되는 건 전혀 문제가 아니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고 있으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수능 영어 정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이는 공정성과도 연결됩니다. 영어 외적인 요소로 정답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가 된다면 과연 공정한 영어 시험이라 할 수 있는지 수험생, 학부모님, 영어선생님께 여쭙고 싶습니다.
제가 원하는 수능 영어 폐지가 무슨 힘이 있겠습니까? 다만 제가 제 힘든 삶의 시간의 쪼개어 수능 영어 분석을 한 자료는 우리나라 영어교육 개선을 위한 아주 작고 보잘 것 없지만 어쩌면 저보다 더 큰 힘이 있는 분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단초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5년 가까이 고등학교에서 수능 영어를 가르치면서 크나큰 좌절과 한계를 느꼈습니다. 그래서 수능 영어의 특이한 정답 분포를 알리고 있습니다.
흐름과 위치 문제 비교
흐름 | 위치 | |
발문 |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45문제 중 1문제 출체된다. |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45문제 중 2문제 출제된다. |
최근 7년 동안 정답 분포 | 총 23개 문제 중 ①번 0번, ②번 2번, ③번 10번, ④번 11번, ⑤번 0번 | 총 46개 문제 중 ①번 1번, ②번 5번, ③번 10번, ④번 17번, ⑤번 13번 |
최근 7년 동안 정답 분포 차이점 | 총 23개 문제 중 ①번 0번, ⑤번 0번 특이하게도 ①과 ⑤가 정답이 된 적이 한번도 없다. | 총 46개 문제 중 ①번 1번, ⑤번 13번 '흐름' 유형과 비교하여 ⑤가 정답이 된 적이 13번이나 된다. |
최근 7년 동안 정답 분포 유사점 | 총 23개 문제 중 ③이 10번, ④번 11번으로 최빈 정답이 ④이다. | 총 46개 문제 중 ③번 10번, ④번 17번, ⑤번 13번으로 최빈 정답이 ④이다. |
-------------------------------------------------------------------------------------------------------------------------------------
참고로 6월 모의평가와 9월 모의평가는 부정행위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치러지지 않고 단일 형태로 실시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은 부정행위를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나누어서 실시되지만 문제의 특성상 홀수형과 짝수형에 동일하게 인쇄되는 문제 유형이 있습니다. 38번, 39번 위치(문장 넣기)' 문제는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에 동일하게 인쇄됩니다.
역시 이변은 없었습니다. 차빈 정답 ⑤번과 최빈 정답 ④번이 나란히 사이 좋게 정답으로 출제되었네요.
<홀수형/짝수형 인쇄 동일>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38번 위치
정답 ⑤
<홀수형/짝수형 인쇄 동일>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39번 위치
정답 ④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11)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8번 ⑤번
39번 ④번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2.11)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8번 ⑤번
39번 ④번
2022학년도와 2023학년도 수능 38번, 39번 정답이 똑같습니다. 같은 팀이 출제하신듯요~
-----------------------------------------------------------------------------------------------------------------------------
일단 ‘위치(문장 넣기)' 문제에 대해서 보고드립니다.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라는 문제 유형입니다. 문제의 특성상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에 동일하게 인쇄됩니다. 총 45문제 중 2개 출제됩니다.
(1) ‘위치(문장 넣기)' 문제는 정답이 ③번, ④번, ⑤번입니다. 수능 영어영역이 한 단락을 지문으로 문제를 출제하기에 문제 자체가 단순합니다. 한 단락의 지문에서 문장을 하나 뺐을 경우 ③번, ④번, ⑤번 위치가 가징 무난합니다.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38번: ④번, 39번: ③번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38번: ④번, 39번: ④번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11)
38번: ⑤번, 39번: ④번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2.11)
38번: ⑤번, 39번: ④번
(2) ‘위치(문장 넣기)'의 또 다른 문제점은 38번과 39번 정답이 반복이 된다는 것입니다. 굳이 두 문제를 출제할 필요가 없습니다. 1개만 출제하면 됩니다. 저는 학생들에게 수업할 때 37번이나 38번 중 더 쉬운 지문 하나만 열심히 풀라고 충고합니다.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37번: ⑤번, 38번: ⑤번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38번: ④번, 39번: ④번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38번: ③번, 39번: ③번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38번
38번: ④번, 39번: ④번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11)
38번: ⑤번, 39번: ④번 (정답은 ⑤, ④번이었지만, ⑤번과 ④번 위치는 대동소이합니다. 결국은 비슷한 독해 문제라는 겁니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2.11)
38번: ⑤번, 39번: ④번 (정답은 ⑤, ④번이었지만, ⑤번과 ④번 위치는 대동소이합니다. 결국은 비슷한 독해 문제라는 겁니다.)
(3) ‘위치(문장 넣기)’ 문제에서 ①번은 거의 정답으로 채택되지 않습니다~ 아래를 참고해주셔요~
위치 문제 홀수, 짝수형 시험지 동일하게 인쇄
최근 7년 모평, 수능 38, 39번 정답 경향: 총 46개 문제 중 ①번 1번, ②번 5번, ③번 10번, ④번 17번, ⑤번 13번
※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에는 37번과 38번이 위치 문제였습니다.
1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38번: ①번
5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38번: ②번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평가(2016년 11월) 38번: ②번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38번: ②번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38번: ②번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38번: ②번
10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39번: ③번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38번: ③번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39번: ③번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38번: ③번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38번: ③번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39번: ③번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39번: ③번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39번: ③번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38번: ③번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39번: ③번
17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38번: ④번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37번: ④번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38번: ④번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39번: ④번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39번: ④번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38번: ④번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39번: ④번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38번: ④번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39번: ④번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38번: ④번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38번: ④번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39번: ④번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38번: ④번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39번: ④번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38번: ④번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39번: ④번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38번: ④번
13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37번: ⑤번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38번: ⑤번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평가(2016년 11월) 39번: ⑤번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38번: ⑤번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39번: ⑤번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39번: ⑤번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39번: ⑤번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38번: ⑤번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39번: ⑤번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39번: ⑤번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39번: ⑤번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평가(2021년 11월) 38번: ⑤번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39번: ⑤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부산 인문계 다니는 학생입니다 11모 국수영윤리세계사 44334 박은 미친자석...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