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수능(2022년 11월)] 20번 주장 정답: 최빈 가장 긴 선택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073387
수능 영어를 가르쳐 보니 문제가 너무 이상했습니다. 문항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만 가르쳐야 하고 수능 영어 대로 내신 시험을 출제해야 하는 저로서는 수능 영어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큰 걸림돌이라고 판단하고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와 폐지하면 좋은 점
1) 수능 영어는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대로 개선된 적이 없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험이다.
2) 수능 영어를 폐지해도 대학교를 입학하면 토익, 토플, 아이엘츠와 같은 영어 본고장에서 출제하는 공인 영어 시험을 평생 많이 치게 된다.
3) 수능 시험의 과목수가 줄어들어 수험생과 시험 감독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시대에 뒤떨이진 수능 영어에서 벗어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영어를 교사의 소신에 따라 가르칠 수 있다.
5) 내신 성적 영어로 대입에 소량 반영해도 대입 전형에는 큰 지장이 없다.
수능 영어영역에서 선택지 길이는 정답에 대한 결정적인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한 단락 길이의 지문에서 중심 생각을 묻는 유형인 목적, 주장, 주제, 요지 문제의 정답 선택지는 비교적 긴 길이의 선택지입니다. 그 이유는 한 단락 길이의 지문에서 중심 생각을 추출하기가 쉽지 않고 정답 논란을 피하려면 단서가 붙게 되어 정답 선택지는 자연스레 길어집니다.
<홀수형/짝수형 선택지 배치 순서 다름>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20번 주장
정답 ③번
배치 순서가 달라져도 선택지 길이는 유지됩니다.
참고로 6월 모의평가와 9월 모의평가는 부정행위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치러지지 않고 단일 형태로 실시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은 부정행위를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나누어서 실시되지만 문제의 특성상 홀수형과 짝수형에 동일하게 인쇄되는 문제 유형이 있습니다. 20번 ‘주장’ 문제의 선택지는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에 따라 배치 순서가 달라집니다.
----------------------------------------------------------------------------------------------------------------------------
이번에 보고 드리고 싶은 문제는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주장’입니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 미출제
2016학년도부터 ‘주장’ 문제는 총 23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총 23개 중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 3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번, 가장 긴 선택지 11번으로 정답으로 출제되었고 3번은 5개의 선택지 길이가 동일했습니다.
(1) ‘주장’ 문제는 세 번째 길이의 선택지가 정답으로 출제된 적이 단 한 번도 없습니다.
(2) ‘주장’ 문제는 가장 긴 선택지가 정답으로 출제될 비율이 50%정도나 됩니다.
-----------------------------------------------------------------------------------------------------------------------------------
주장 문제 최근 7년 모평, 수능 counting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홀수형)
1
1.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 미출제
3
1.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20번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0번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3.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0번 ③번 가장 짧은 선택지(①,②,③,④,⑤ 선택지 길이 거의 동일)
2
1.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0번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0번 ①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3
1.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20번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20번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③번과 길이 동일)
3.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20번 ③번: 두 번째 긴 선택지(④번과 길이 동일)
11
1.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0번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20번 ①번: 가장 긴 선택지
3.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20번 ①번: 가장 긴 선택지
4.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20번 ⑤번: 가장 긴 선택지
5.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20번 ①번: 가장 긴 선택지
6.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20번 ①번: 가장 긴 선택지
7.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20번 ①번: 가장 긴 선택지(②과 길이 동일)
8.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20번 ⑤번: 가장 긴 선택지
9.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0번 ①번: 가장 긴 선택지
10.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0번 ②번(①,② 선택지 길이 동일)
11.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0번 ①번(①,②,④,⑤ 선택지 길이 거의 동일)
3
1.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20번 ①번(①,②,③,④,⑤ 선택지 길이 거의 동일)
2.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20번 ②번(①,②,③,④,⑤ 선택지 길이 거의 동일)
3.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20번 ①번(①,②,③,④,⑤ 선택지 길이 거의 동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현역땐 수시러여서 과탐 개념 기출 처음부터 돌려야하는 상황입니다 목표는 의대구요...
-
스투는 성적순 최초합인데 높반은 못 들어갈 것 같고 대치시대는 오늘 2차 합격 와서...
-
둘다 낮반일거같긴한데 전자가 대충 오십에서 백 더 깨져요.. 꼭 재수로 끝내고 싶내요 ㅜㅜ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