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라몬 [1159823] · MS 2022 · 쪽지

2023-01-07 21:54:29
조회수 1,174

누가누가 잘 찍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159468

제주 방언 '수웨기'의 뜻은?

'수웨기'의 뜻은?

최대 1개 선택 / ~2023-01-14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히키니트 · 1192573 · 23/01/07 21:54 · MS 2022

    동해 바다의.. 수웨기! 그것이 우리 한국의 목표다

  • 쉬라몬 · 1159823 · 23/01/07 21:56 · MS 2022

    정답은 돌고래. 솔직히 '수웨기' 이 단어는 중세국어랑도 대응이 되는 게 없고 몽골어 차용이라기에도 말이 안 되는 형태임. 진짜 어떻게 이런 형태가 제주에서만 나타났는지는 조사해 보고 싶음

  • Schrödinger's Cat · 1099284 · 23/01/07 21:57 · MS 2021

    水자랑 관련있으려나

  • 쉬라몬 · 1159823 · 23/01/07 22:02 · MS 2022 (수정됨)

    문제는 현재 형태가 '수웨기'라는 것. 만약 '수웨기'가 水라면 '슈웨기'로 표기되었을 것인데 제주 방언은 중세 시절 기록이 없어서... 물론 '슈'가 '수'로 단모음화되는 거는 근대국어로 넘어갈 때 일어난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한데 그렇다 하더라도 뒤의 '웨기'가 설명이 안 됨. 만약 '웨기'가 고유어라면, 그닥 경쟁에 밀리지도 않던 순우리말 '물'이 굳이 한자로 대체되서 고유어와 함께 조어되었단 건데 이게 그닥 흔한 일은 아닙니다.

  • Giancarlo Stanton · 1116550 · 23/01/07 22:03 · MS 2021

    글쓴이님이 써주신대로 특이한 단어가 상당히 많아서 과거 사람들이 사용하던 언어가 지금 제주도 사투리로 남아있다고 추측되어 역사적 사료의 가치가 있다고 들었던 것 같네요

  • 쉬라몬 · 1159823 · 23/01/07 22:05 · MS 2022

    맞습니다. 후기 중세 국어 시절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지요. '곧다(말하다)'나 '무사(므스-의 변형)', 등이 있는데 웬만해선 몽골어나 중세국어에서 그 어원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가끔 일본어에서 차용된 말도 있지요. 근데 '수웨기'는 이 세 가지 다 아닌 거 같아서...

  • Giancarlo Stanton · 1116550 · 23/01/07 22:06 · MS 2021

    정말 특이하긴 하네요 ㅋㅋ

  • 쉬라몬 · 1159823 · 23/01/07 22:08 · MS 2022

    제주에서 '하다'는 '많다'의 의미로 중세 시절 '한새(>황새)'나 현대 국어 '하도'에서 보이는 '하-'입니다. 중세 국어의 '하다'가 그대로 제주도에는 유지가 됐죠. 또 '꽃'을 뜻하는 '고장'은 어두경음화를 겪기 전인 중세 국어 표기 '곶'에 접미사 '-앙'이 붙은 표기입니다. 이처럼 중세국어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어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