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수능 영어 총평by 신동훈T(+리플릿)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511764
2024학년도 신동훈T 리플릿 인터넷 업로드용.pdf
안녕하세요. 대치동에서 수능 영어 가르치고 있는 신동훈 강사입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수능 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올해 입시에서 좋은 결과 있길 진심으로 기원하겠습니다.
■ 총평
소신 발언을 하자면 언론에서 (혹은 학생들은) 어려운 시험이었다고 이야기를 많이 할 것 같지만 시험의 “전체적인 밸런스”를 봤을 때 평이한 시험이었습니다.
킬러 문제(34번, 37번)의 난이도는 매우 높았으나 준킬러 문제들은 평이하게 출제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평가원 시험들에 비해서 “시간 압박”이 덜했을 것입니다. (1등급 비율이 16%일 만큼 역대급으로 쉬웠던 올해 9월 영어와 비교는 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킬러 문제(34번, 37번 “총 6점”)의 난이도가 매우 높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1등급을 받은 학생들의 숫자는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꾸준히, 그리고 열심히, 영어 공부를 해온 학생들은 90 중반의 점수를 받기 상대적으로 수월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영어 공부의 “효율성”을 추구한 학생들의 경우 89점의 함정에 많이 걸렸을 것 같습니다.
ex) 오답률이 가장 높은 문제들인 빈칸 1문제(34번), 순서 1문제(37번), 삽입 1문제(39번), 어법 1문제(29번)를 틀리면 귀신 같이 89점이 나옵니다...(절대평가 영어에서 딜레마 같은 부분이죠...ㅠ.ㅠ)
1등급 비율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2등급 비율을 받은 학생들의 비율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쉽게 1등급을 놓친 학생들도 많을 것이고, 준킬러 문제들이 평이했기 때문에 영어 기반이 조금은 부족하더라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영어 공부를 한 학생들은 충분히 2등급을 쟁취해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영어 공부를 해온 상황이 아니라면 2등급 진입 역시 쉽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특히, “아는 단어, 낯선 의미”가 발목을 많이 잡았을 것입니다. 영어가 절대평가로 전환되면서 1~2등급 구분을 짓고 싶은 만큼 2~3등급의 경계도 확실하게 나누고 싶어하는 평가원의 의도가 엿보입니다.
■ 문항별 분석(준킬러 파트)
□ 듣기(1~17번) : 기존의 시험과 다르게 듣기에서 어려움을 겪은 학생들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기존의 평가원 시험에서는 정답률 90% 미만 듣기 문제가 거의 없는데 이번에는 정답률 80% 언저리의 문제가 3문제나 존재합니다. 평가원에서 “집중력 지속 기간”이 짧은 요즘 학생들의 약점을 철저히 공략한 것 같습니다.
9번(77%) : 내용 일치를 “꼼꼼히 확인”해야 하는 문제
10번(83%) : 내가 좋아하는 것 VS 내가 원치 않는 것 “정확하게 구분”해야 하는 문제
13번(81%) : “성급함을 주의”해야 하는 문제 (3번 선지도 그럴듯 하지만 4번 선지가 정답! 끝까지 집중하지 않았으면 틀릴 수 있는 문제)
□ 기본유형(18~20, 25~28, 43~45번) : 대체적으로 평이하게 출제 되었으나 20번을 주목해봐야 합니다.
20번(80%) : suboptimal라는 영어 단어를 “차선의”라고 각주로 뜻을 줬지만 “최선의”라는 뜻과 혼동한 학생들이 일부 존재했던 것 같습니다. (한국어 어휘력 역시 공부의 범위입니다.)
□ 대의파악(21~24, 40~42번) : 지문이 쉽게 읽히는 편은 아니었지만 지문에서 대략적으로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는 파악하기 수월했습니다. 다만, 정답 선지의 “어휘력”이 결정적이었을 것 같습니다.
21번(68%) : 쉬운 21번 / reflect “반영하다”라는 뜻 뿐만 아니라 “성찰하다”라는 뜻인 것을 아는지?
22번(78%) : 무난한 난이도
23번(69%) : 무난한 난이도 / publicize “공개하다”라는 뜻인 것을 아는지?
24번(78%) : 무난한 난이도
40번(76%) : 쉬운 난이도
41~42번(57%, 62%) : 무난한 난이도
■ 문항별 분석(킬러 파트)
□ 어법어휘(29~30번) : 가뜩이나 효율성이 중요한 영어 학습 환경에서 어법의 디테일한 포인트를 물어봤기 때문에 오답률이 높았을 것 같습니다. (“어법 문제를 굳이 이렇게 디테일하게 출제 해야하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 오답률 TOP3 29번(40%) : 문법의 중요 포인트를 출제한 것이 아니라 “재귀대명사”라는 조금은 구석진 테마를 출제하였습니다. 출제 의도를 파악하지 못해서 “의문사”한 친구들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89점을 만드는데 어법 문제가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30번(59%) : adapt라는 단어가 “적응하다”라는 뜻 뿐만 아니라 “change”라는 뉘앙스를 가진 것을 아는지?
□ 빈칸(31~34번) : 34번에서 엄청난 힘을 주고 나머지는 무난한 난이도로 출제되었습니다.
31번(47%) : 정확한 근거를 잡지 않고 “대충” + / - “뉘앙스”로 풀었으면 틀리기 쉬운 문제.
32번(69%) : 쉬운 빈칸
33번(47%) : 선지를 구별하는 능력이 중요한 문제. (1번과 3번이 헷갈렸을 수 있음. 2번 찍은 친구들은 잘 모르겠음...)
★ 오답률 TOP1 34번(21%) 최고난도 빈칸 문제 / 소거법으로 푸는 것 외에는 현실적으로 방법이 없을 듯합니다... 실전에서 정답을 맞추기가 쉽지 않았을 문제...
□ 간접쓰기(36~39번) : 최근 변화한 간접쓰기의 트렌드를 여실히 보여주는 문제들이었습니다. 간접쓰기 유형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너무나 절실합니다.
36번(61%) : 쉬운 순서
★ 오답률 TOP2 37번(33%) : 최고난도 순서 문제 / 순서 문제 풀이에 대한 일관된 원칙이 매우 중요, 그냥 읽고 그냥 풀었으면 틀리기 쉬운 문제.
38번(55%) : 쉬운 삽입 / 박스 안의 단서로 쉽게 풀 수 있음.
39번(56%) : 최고난도 삽입 문제 / 대략적인 느낌으로 풀 수 있어서 정답률은 생각보다 높지만 문제 풀이의 단서가 부족해서 채점할 때까지 답을 확신하기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 정답률은 메가스터디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입시에서 영어가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지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지만
영어라는 과목을 챙겨야 한다면
결론은 “꾸준히 하면 됩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수능 보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작시-그럼에도 0
처음 시를 쓸 때는 낙서에 불과했는데, 요즘은 그나마 구색이라도 갖춘거 같아서 마음이 기쁩니다
-
연속 다 맞은 거면 이제 노베 벗어난 거 맞져? 맞음 당신들은 내가 원하는 대답을 하면되
-
ㅈㅐ종얘기;; 같은재종다닌사람들만나면 어디홀린듯이그얘기만2시간동안햇슴...
-
구라아님 광고글 아님
-
보통 컷 몇점이에요? 평백
-
[수학] 왜 나는 이 기출을 한 번도 풀어본 적이 없지?? 5
♤: 오늘 태어나서 존재 자체를 처음 알았네 ㄷㄷ ☆: 드릴드1에 이런 유형 개...
-
작수도그렇고 더프도그렇고 정답률은 100프론데 30분넘게 걸림… 맨날 독서...
-
난존나어려운거같은데
-
미친틀딱가형응시자들 13
-
뭐가 좋음
-
빌보드 95퍼가 의치한약수 갔다는데 이유가 있었구나
-
온라인 상에서도 착함이 느껴지는 사람들이 잇슴 그런 사람들 힘들어할때마다 속상함...
-
평가원 기준 높2~1컷은 돼야 소화가 가능하지 않나 싶은데
-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낮았으나 정답률 1% 241122 존재 vs 20번, 21번...
-
솔직히 압도적인 재능을 몇 번 봣던 본인으로써 재능,노력보단 부모의 케어가 더...
-
일단 나는 팬티 안입고 나가봄
-
스벅깊티로 교환하려고
-
편의점에서 구할 수 있는 마이너한 거요.
-
난 수험생때 가형틀딱킬러기출 전부 걸러서 몰랐는데 사설풀면서 내가 태어나서 처음보는...
-
현정훈 수특 0
현정훈 수특 관련한 컨텐츠도 있나요? 없으면 수특 사야할까요?
-
점수가 60후반에서 90대중반까지 진동을 미친듯이 침 사실 하방이 실력이라 생각해서...
-
사탐은 선지 구성 상 단순 5지선다건, ㄱ~ㄹ multiple choice건 모두...
-
좌석배정이 선착순인 현강인데 7시부터 시작하는데 보통 몇시쯤 들어가야 하나요? 동네...
-
살 좀 뺄까 싶어서 아침 거르는데 별 차이없는것 같은데 오히려 덜졸려서 좋음...
-
무물보 받음 7
선넘질도 ㄱㄴ 설거지하고 답변해줌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ㅈㄴ올만이야 그리고 아주옛날에 달팽이 핸드폰고리주는 음료수도 있었는데
-
개념이야 공부하면 되고 도표는 진짜 전국 1타 먹을듯 말그대로 그리고 사문은 안락사당함
-
이재명 '대북송금' 재판부 "객관적 사실로 공소사실 정리해달라" 5
검찰에 "법률적 평가 부적절…30쪽 이상 전제사실 필요 있나" 李측 "수사보고서...
-
드디어찾았다 1
-
미적을 왜 하시나요? 부족하다 싶으면 빠르게 돌립시다 시간이 없습니다
-
물2에서 질량중심좌표계로 토크평형 문제를 풀다 보니까 이거 화학에도 쓸 수...
-
공통에서 두개씩 틀리는 사람이면 걍 미적 stay 해야되나 미적은 두개정도 틀리는데...
-
수분감하는중인데 틀딱기출까지 있어서 문제 개많음 수분감이 아니여도 통상적으로 수학기출 몇월쯤 끝냄?
-
여시 말투 공부 시작 16
친구를 괴롭히기 위함
-
근데 밤양갱말고 같이낸노래가 sugar rush라고있는데 이게 진짜임 개좋음
-
알텍 해줬는데 잘 못 해준건가...? 알텍 듣고 너무 좋았던 기억에 그만...
-
도형 상황을 알게되면 걍 거기서 끝인 것 같음 어려운 도형문제는 또 다른가…?
-
보기싫음 이상해
-
다 안맞던데
-
연락 주세요~~
-
2511
-
텁텁해지는 느낌 나면 펜을 못 쥐겠어서 1-2시간 주기로 계속 화장실 가서 씻고 옴 나만 이럼?
-
기하 >>> 공간지각능력 장애라 못함 확통 >>> 중학교 확통도 잘 못해서 포기함...
-
실력을 압도적으로 만들어서 어떤 시험지가 와도 이겨내는 게 답인 듯 물론 현실에선...
-
미적 처음에 싫었는데 하다보니까 좋아지기도 하고 ㅈ같기도하고 걍 애증의 과목인듯
-
오늘 먹은 것 9
핫식스 1캔 초코파이 하나 핫바 둘 좀 이따 먹을 것 짜장면 고기튀김 이과두주
-
개념의 양이나 문제의 난이도 측면 모두 미적이 압도함 일단 개념부터 좀 짜증남...
짝수형 34번문제 5353535353535353 계속 고민하다 3 갔는데 틀렸네요 ㅠㅠ 그래두 95맞아서 만족힙니다 ㅎㅎ
이번 짝수형에 그런 비밀이 있었군요...ㅎㅎㅎ 시험장에서 멘탈 잡기 쉽지 않으셨겠습니다. 1등급 축하드리고 입시에서 좋은 결과 있길 빌겠습니다.^^
아무래도 듣기에서 영향을 많이받은거 같아용..ㅠㅠ
평가원에서 듣기를 이렇게 노리고 낸 적이 없었는데... 듣기 속도도 그렇고 문제의 함정 포인트들도 작정한 것 같네요... 고생많으셨습니다^^
34번이 it is not that과 it is that의 병렬 비교 구조로 나와서 많이들 풀 거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많이 틀렸네요 의외였습니다.
그냥 딱 답만 고르겠다고 들어갔으면 조금은 수월했겠으나 전체적인 시험 상황에서는 쉽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34번은 학생들 입장에서 정말 어려웠겠더라구요...
저 맨날 80점대이다가 수능에서 처음으로 95점 맞았어요
축하드립니다^^ 어차피 수능 점수만 기억하는거 아니겠습니까ㅎㅎㅎ 입시에서 좋은 결과 있길 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