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2 풀때 선지 해석 질문ㅠㅠ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30953
문제 풀때요 선지에서 광합성이 작용할 때, 스트로마의 수소 농도는 틸라코이드 내부의 수소 농도보다 낮다. 라고 할 때 헷갈리는 게 있어요. 이게 바로 작동하고 나서 인지 아니면 결론을 얘기 하는지 뭐를 기준으로 잡아야하는지 모르겠어요ㅠㅠ 1. 광합성이 작용할려면 > ATP가 생성되야함> ATP가 생성되려면 수소의 능동수송이 되고나서 생성됨> 따라서 틸라코이드 내부의 수소 농도가 훨씬 더 높음. 2. 광합성이 작용할려면 > ATP가 생성됨> 이미 반응이 끝난 것이니> 스트로마의 수소 농도가 더 높음 또 헷갈리는 거는, 세포호흡에서 산소저해제를 사용하면 TCA회로가 돌지 않는 다고 하는데 이것도 생각해보면 회로가 돌다가 나중에 멈춘거니까 잠깐동안은 TCA회로가 돌 수 있는거 아닌가요? 그래서 약간의 ATP를 생성 할 수 있다고 볼 수 도 있는 거 아닌가요? 어떤식으로 기준을 잡고 해석해야되는지 모르겠어요.ㅠㅠㅠ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 교재 기존 국치독 샀는데 2023도 해야하는건가??ㅜㅜ 유대종 유대종T 윾머벨
-
ㅜ 이거를 왜 지금본거지!??!?
-
오늘 도착한다는데 이거 배송비도 안받고 그냥 주시는거였음,,? ㅠㅠㅠㅠㅠ역시 갓대죵,,,
-
개멋있네..
-
머벨센세.... 11
죄송합니다..히끅..
-
네 라이브로 하신다네요.
-
독치독, 문치독하다보니까 고전, 현대문학도 정리해야하는데...언제해야하지..하는...
위에 질문은 무조건 1이에용 광합성 반응을 이미 했다하더라도 촉진확산된것이라 수소이온농도는 무조건 틸라코이드 내부가 높아요(예를 들면 틸라코이드 내부에 10개 스트로마에 3개 있엇다면 틸라코이드 내부에 8개 스트로마에 5개 같은 방식으로 변해요)
밑에 질문은 님이 생각하신 논리가 맞는거 같은데요, 잠깐동안의 ATP조차 산화적 인산화는 바로 중지됐고 기질수준의 인산화정도만 생성됬을겁니다
아 처음 질문은 해결됐어욯ㅎㅎ
그런데 두번째 질문은 선지에서 문제에서 무조건 생성되지않는다라고 보고 풀어야되더라고요ㅠㅠㅠㅠ
암튼 감사해요!
예? ㄷㄷ 그거 아니어도 해당작용+발효 때문에 ATP는 만들어질텐데.. 제가 직접 보기를 보진 않아서 모르겟어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