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와왈왈 [456488] · MS 2013 · 쪽지

2015-06-30 18:23:27
조회수 1,973

사회문화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91887




지위획득의 공평한 기회라는게 왜 관료재에 해당되는 거예요ㅠㅠ?

16번 에 3번 보기가 상대론적 관점인지 납득이 안가요 비교론적 관점 같은데요ㅠㅠ

10번이 문화융합이라는 것도 애매하게 느껴져요 남은 문자가 있으니까 또 새로운게 생겨난게 아니니까 문화공존같다고 생각하거든요
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규퉁 · 552488 · 15/06/30 21:33

    10번 같은 경우에 치 라는 몽골어와 우리나라 말이 결합했으니깐 문화융합이라고 하는거죠
    문화공존 같은 경우에는 우리나라 말과 몽골어가 섞여있으면 안되고 따로따로 존재해야 해요

  • 규퉁 · 552488 · 15/06/30 21:34

    몽골어의 '치'를 붙혀서 만든 벼슬아치 같은 경우를 보면 순수한 고려말도 아니고 몽골말도 아니잖아요 그러니깐 새로운 언어가 탄생했다고 보는거죠 A+B=C

  • 왈와왈왈 · 456488 · 15/06/30 21:47 · MS 2013

    아ㅎㅎ넵 알겠습니다!

  • 규퉁 · 552488 · 15/06/30 21:3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주먹불끈쥐고 · 466365 · 15/06/30 22:28 · MS 2013

    관료제는 대표적으로 경력별 승진 즉 연공서열을 통해서 승진하는데 이러한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승진을 보장하기때문에 공평한 거죠.
    님이 의아하게 생각하시는 것은 탈관료제에서의 능력별 승진이 합리적이고 공평한 것아닌가 이렇세 생각하시기 때문인데 관료제가 대표적이였던 산업사회에서는 경력이 능력을 의미했기 때문에 모두에게 연공서열은 공평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