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210916 사회문화 인구부양비 풀이 연구 (feat. 이지영T와 문서연T 풀이의 차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939378
안녕하세요? NMMM입니다.
오랜만에 찾아뵙네요.
최근 오르비에 사회문화 과목의 과거 평가원 기출문제 풀이에 관해 올라온 글이 하나 있어 이 풀이에 관한 이야기를 다른 오르비 회원분들과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 2가지 풀이 방식을 함께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사회문화 수험생이 아니시라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되시지 않을 것이니 뒤로가기를 꾹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이 글은 두 강사님의 갈등을 조장하기 위해서 적은 글이 아니며,
객관적으로 어느 풀이가 수험생에게 도움이 되는가를 점검해보고 또 알리고자 적은 글임을 명시합니다.
(그래서 EBS 박봄T께서 촬영하신 해설강의를 함께 첨부한 것입니다.)
(0) 오르비 글 원문
여기에서 확인이 가능하십니다. 저는 이지영T 방식으로 푸는 것만 생각했었는데, 이 글에서 비판하신 부분을 보고 그렇다면 다른 풀이에는 무엇이 있을까를 좀 고민해보다가 문서연T 방식을 알게 되었습니다.
(1) 이 기출을 통해 가져가야 하는 것!! (시간 없으시면 이거라도)
하나. 부양비 문제를 풀기 위해선 유소년 부양비, 노년 부양비, 노령화 지수를 '매우' 유연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 이 문제에선 그리 효율적인 풀이가 아니지만, '부양 인구 100 설정'을 통한 '부양비-실제 인구 수 연동 풀이'는 꽤 많은 문제에서 유효한 풀이이기에 이 풀이도 알아두셔야 합니다.
둘. 문제에 따라서(=발문 확인) 자료보다 선지를 먼저 보는 게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 특정한 유형의 문제에서 이런 배울 점이 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셋. 다양한 강사의 풀이를 보고 가장 효율적인 풀이가 무엇일지 고민하는 것도 나름대로 필요하다.
=> 사실 시간 효율상 좀 비효율적인 말이라는 점은 인정합니다. 다만 '내가 듣는 강사의 강의가 무조건 효율적이고 좋은 강의이다.'라는 식의 생각은 조금 지양해야 하지 않을까합니다. 비판적 사고는 언제나 필요한 법이니까요.
※ 풀이 사진 글씨가 좀 작네요. 눌러서 확대해서 보시면 더 잘 보이시리라 생각합니다.
(2) ETOOS 이지영T, EBS 박봄T 방식
- 이지영T와 박봄T께서 사용하신 방식은 '부양 인구를 100으로 설정'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부양 인구를 100으로 설정한다고 해서 이 문항을 풀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이 방식은 발문에서 '부양 인구 수가 같다', 혹은 '특정 인구 수가 같거나 N배이다' 등, 특정 인구 수에 관한 구체적인 조건이 제시되었을 때 더욱 효과적인 풀이법이라고 봐야 합니다. 실제로 기출을 분석해보면 그렇습니다. 제 풀이를 담은 풀이 사진 하나 올려드리구요, 박봄T의 풀이 영상 하나 올려드리니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듯합니다. (다만 저는 근사치로 풀지는 않았고, 분수 값을 그대로 활용하여 문제를 풀었습니다.)
하나. 풀이 사진
둘. 박봄T 해설 강의 영상
https://youtu.be/3Ge0T3CuweU?t=3642
(3) 시대인재 문사탐(문서연)T 방식
- 문서연T가 사용하신 방식은 '을국의 유소년 인구가 증가'하였다는 발문 조건을 활용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문서연T께서는 앞서 말씀드린 조건을 활용하여 자료를 먼저 해석하지 않고 선지를 먼저 확인, 구체적 수치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선지를 소거하여 빨리 답을 찾아가는 방식을 활용하셨습니다. 이 방식을 활용한 제 풀이 사진 하나 올려드리구요, 문사탐 채널에 올라온 해설 강의 영상도 올려드리니 참고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듯합니다.
하나. 풀이 사진
둘. 문서연T 해설 강의 영상
https://youtu.be/MlDm5ofkcdk?t=1321
(4) 무엇이 더 효과적인가에 관한 개인적 의견 & 마무리
- (1)번을 소개드릴 때에 살짝 언급을 드리긴 했습니다만 제 생각에 더 효과적인 것은 문서연T의 방식인 듯합니다. 현장에서 '75/2'와 같은 숫자를 근사치로 잡고 계산하는 것이 그리 쉬운 방식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좀 더 현장에서 풀 수 있는, 실전적인 해설 방식은 문서연T가 보여주고 계신 것 같습니다. // 쓰다보니 문서연 선생님의 알바(?)같은 느낌이 약간 나는 것 같아 좀 염려스럽습니다만, 오르비에 이지영 선생님 풀이에 관한 비판적인 글이 올라왔길래 오르비에도 그저 단순한 비판보다는 수험생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좀 더 발전적인 논의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수험장에서 문제를 푸는 것은 문서연 선생님도, 이지영 선생님도 아닌 수험생 본인이기에 제 의견과 상관없이 이 글을 보시는 분께서 제 글을 쭉 읽어보시고 필요하신 부분만 취사 선택해가시길 당부드립니다. 두 강사분을 비교해서 불편하신 부분이 있으셨다면 미리 사과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좋아요 0
-
유튜브 좀 봐야지 이제 아 관리자 나타나라 얍
-
사탐으로 약대 붙을 성적이면 한의대가 되니까 안 갈 것 같긴 한데.. 대깨약이면...
-
피곤하다 12
졸려!!!
-
대영 1 입갤 0
아 에타 핫게 올라감 흐흐이
-
계산연습도 경제공부가 맞지 않을까
-
기분 줫같아서그냥
-
덕우빌딩에는 지하2층이 있다는 썰이 있다
-
눈물의 반수행
-
시간표 다시짜야되네 ㅅㅂ..
-
화2할거같긴함... 물1화1은 임종하셨고... (올해 빠져서 24투과목처럼 되는거...
-
연치니까
-
문법이 망했네...
-
ㄱㄴ 한거임? 자취 절대불가 미친대학교가 정시추합은 기숙사 안붙여줌 이러면 대학 어떻게 다니지
-
하.....................
-
748 갈것 같은데
-
난 음악 잘 모르지만 이건 표절인 거 같다 (같은 코드인 거 싹 다 모아서 억지논란...
-
애들이 하자해서 억지로 하는중
-
//물2문제가 궁금하신 분들은 간단히 문제만 체험해 보시고, 그래서 나는 물2로...
-
입시 공정 0
모두가 불만을 가지지 않도록 수시는 모의고사 평균, 정시는 수능100 해서 통합사회...
-
제발료.. 집이 9호선라인이라서 통학은 중대가 많이 편하긴한데 경희대가 높공이다...
-
너무 오랜만이라 ㅠㅠㅠㅠㅠ
-
[인하대 신입생 필수 확인 리스트] 이것 만큼은 꼭 확인해주세요!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인하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인하대생, 인하대...
-
한 번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번 말고 1번만 읽어주셔도 무방해요,, 0....
-
제목 어그로 ㅈㅅ 아주예전에 유툽에서 어떤 공부방법알려주던 유투버가 했던 말이...
-
DK는 모르겠고 5
XDK는 앎.
-
1004.52 입니다ㅠㅠ
-
벌써부터 힘들면 어떡하니 운동좀해야겟다
-
굳이 다른거 풀어볼 필요없을까요???
-
실화임
-
그나마 여지있는게 에리카 약대였던거같은데
-
수원대 컴공 vs 한국공학대 전자공학 임베디드시스템 둘 중에 어디가 더 좋을까요?...
-
리젠이 죽다 못해 썩어버린 어젯밤에는 ㅇㅈ을 올린지 1분이 지나도 5회 8분이 지나도 24회 ㄷㄷ
-
커피마시기 4
-
예비 2번입니다 ㅠㅠ 전화추합 계속 기다리고있는데 안와서 하루종일 우울하네요......
-
500점대임... 고영들어야하네
-
기숙사에서 반수 0
기숙사에서 반수하는거 많이 민폐일까요?
-
정확히 말하자면 헷갈린다기 보다는 문제에서 ~~ 인 재정정책을 고르시오 했는데...
-
비교우위랑 절대우위 작년 경제학원론의 기억을 되세겨서 풀어보자
-
그래도 설수리갔잖아
-
평가원에선 난해한문제 안낸다 했지 등비급수를 안내겠다 라는 말을 안햇지만 평가원...
-
정치,사회 3
오르비 입시커뮤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정치나 사회적인 글이 뜨네요 ㅋㅋ
-
작년 미적 3틀 88 2등급 과탐 원과목 등급컷 이거 보고 입시 접기로 결심했옸음
-
어디가 나을까요 딱히 화공 꼭 가고 싶은건 아닌데 자유전공은 내 과가 딱 있는 편이...
-
점수 어느정도 받아야됨?
-
중대뽕보다 10
푸앙이 뽕이 더 지린다 푸앙푸앙!!!
-
몇번까지 돎?
-
퇴학원 제출완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