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부 [1076785]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2-10-17 12:46:58
조회수 3,081

지1 2단원 o/x 퀴즈 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838296

1) 관측소에 온난 전선이 접근하는 동안 관측소 상공에서 측정한 적외 영상의 밝기는 밝아진다. o/x


2) 남위 65도 지역에 위치하는 해역에는 남극 중층수 아래에 남극 저층수가 흐르고 있다. o/x


3) 위도에 따른 에너지 수송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고위도 지역의 지구 복사 에너지 방출량은 감소할 것이다. o/x


4) 동일한 어느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 저기압의 영향을 받은 날은 고기압의 영향을 받은 날에 비해 낮에는 기온이 더 높고 밤에는 기온이 더 낮다. (단,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 양은 두 시기 모두 같다고 가정한다.) o/x




저녁때 대댓글로 정답인지 오답인지 알려드림+최초로 맞추신 분 댓글에 해설 쓸게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냥실모를벅벅 · 1078564 · 22/10/17 13:09 · MS 2021

    xxox

  • 시노부 · 1076785 · 22/10/17 17:36 · MS 2021

    댓글이 하나밖에 없는데..그 댓글이 정답이네요ㅠㅠ
  • 자무 · 1007821 · 22/10/17 17:55 · MS 2020

    해설 대충 적어주실 수 있음? 확인하고싶은데

  • 시노부 · 1076785 · 22/10/17 19:00 · MS 2021 (수정됨)

    1) 온난전선에 다가갈수록 구름의 높이는 점점 낮아져서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적외 영상으로 관측하면 점점 더 어두워집니다.

    2) 남위 60도 해역에서 남극 중층수가 침강하기 때문에 남위 65도 해역에서 남극 중층수는 확인할 수 없고 북대서양 심층수와 남극 저층수가 흐릅니다.

    3) 지구 복사 에너지는 열이 많은 지역일 수록 많이 방출되기 때문에 적도에서 제일 높고 고위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집니다. 이때 위도에 따른 에너지 수송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적도지역은 다 뜨거워 질것이고 고위도 지역은 더 추워질 것이기 때문에 지구 복사 에너지는 적도 지역에서 점점 더 증가하고 고위도 지역에서는 점점 더 감소하게 됩니다.

    4) 저기압이 영향을 미치는 날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구름이 형성되어 낮에는 태양빛을 구름이 차단하기 때문에 기온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밤에는 지표면에서 올라오는 열을 구름이 가둬서 상대적으로 기온은 더 올라갑니다.

  • 자무 · 1007821 · 22/10/17 19:19 · MS 2020

    헉 자세한 해설 ㄱㅅㄱ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