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실력이 늘었다고 생각한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70544
안녕하세요.
수능이 점점 다가오는 시점이라
이제는 남은 기간을 어떻게 보낼지에 대한 이야기들을 주로 써보려 합니다.
오늘은 실력이 점점 향상될 때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한지 들려드리려 합니다.
저는 이걸 간과해 현역 때 원하는 바를 이루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며칠 전에 '추석에 하면 좋을 것들'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었는데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특정 파트에서 실력이 향상될 때, 학생들은 그 부분에만 집중하게 됩니다.
가령 한 학생이 문학을 못하다가 갑자기 문학 20분 컷의 경지에 올랐다고 생각해볼까요.
그 학생은 계속 해서 문학 공부를 할 겁니다.
수능특강 문학 사용 설명서도 여러 번 읽어보고... 고난도 문제도 풀고, 심지어 연계에 대비하겠다고 작품의 전문까지 뽑아서 학습하죠.
원래 비문학은 잘 안 틀렸기 때문에, 문학 실력이 향상된 것에 대해 어느 때보다 기쁜 마음일 겁니다.
이 학생은 높은 확률로 수능에서 비문학 파트를 풀다가 울고 싶어집니다.
다른 예를 들어볼까요.
어떤 학생은 공부를 하다 보니 머리가 깬 느낌을 받으며
수2 고난도 22번 문제를 맞힐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른 문제들이야 늘 잘 풀었다고 생각하며 22번 문제만 미친듯이 풀겠죠.
풀면 풀수록 22번을 관통하는 '고난도 개념'이라는 게 뭔지 알게 되고
문제를 보자마자 10분 내외로 풀이를 마무리 지을 수 있는 실력을 갖게 됩니다.
이 학생은 수능 시험장에서 준킬러의 벽에 막혀,
그토록 잘 풀던 22번 문제에는 가까이 가보지도 못하고 수학 시험이 끝나는 경험을 하게 되죠.
제 주변에서 봤던, 아니면 제가 직접 겪었던 사례 중에서 몇 개만 뽑아봤습니다.
이런 게 무서운 이유는
수능 시험장에서 좌절한다 하더라도, 본인이 간과한 부분을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작년에는 취약점도 잘 찾고 보완했는데 잘 하던 부분에서 틀린 거니까 올해는 괜찮겠지?"
정말 무서운 이야기입니다.
잘못된 생각인 줄 알았다면 현역 때 이미 대학을 가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요.
상위권으로 가면 갈수록, 자신이 잘 한다고 생각하는 파트는 아예 배제하고 공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수능이 다가올수록, 모든 부분을 매일 공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문학 사용설명서를 회독할 때도
고전 시가 1~12 -> 현대시 1~12 이런 순으로 한 파트씩 통으로 공부하지 않고
고전 시가 / 현대 시 / 고전 소설 / 현대 소설 / 극 수필
각 2지문씩 골라서 공부했던 기억이 있네요.
완전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원래 어느 정도 잘했던 부분에서 점점 더 좋은 결과를 내게 될 때 일어나는 일 중에 하나인데
바로 자신의 취약점이 있음에도 보완할 생각을 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생각을 하지 않는다.. 보다는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표현이 좀 더 적절할까요?
분명 나는 삼각함수 잘 모르는데, 수열 고난도 문제 잘 못 푸는데
그래도 미분이 재밌으니까 수2만 맨날 붙들고 있습니다.
이건 제 이야기입니다.
다행히 막바지에 가서 겨우 정신을 차리고
삼각함수 가형 기출까지 다 보고 갔습니다. (21학년도 수능 대비)
그런데 가10 = 나28 을 보여주더군요. 솔직히 당황했습니다.
위에서 썼던 두 가지 케이스는 모두 해결 가능합니다.
내가 진짜 약한 부분이 뭔지, 무의식적으로 제쳐두고 있던 부분이 뭔지 생각해보면 됩니다.
누가 감시하고 있는 것도 아니니 솔직하게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마무리 단계에서 이 구멍을 찾아 잘 메울 수 있다면
수능 때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DF 모음은 일주일 안에 올려보겠습니다.
그동안 쓴 글이 많아 편집할 게 꽤 많네요 ㅠㅠ
유익하게 보셨다면 좋아요 +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완전 독학으로는 공부하기 힘든가요?
-
언제 열리지
-
이제 고3 올라가는 문과임 고1때까지는 나름 수학? 열심히 했었는데 고2때부턴 그냥...
-
박석준은 신임 0
ㄹㅇ
-
예비 고2 정시파이터인데 수학 기출을 지금부터 해놓으면 나중에 이점이 있을까요??
-
선생님 181130 풀어주세요
-
08 정시파이터 1
내신 5.5인데 학교는 그냥 일반고이고 목표는 인서울인데 정시할까요? 내신 챙기라는...
-
의대 고점매수 한 이유 10
의대 매도하고 뭘 살지 알아야 다른걸 사지 내가 의대 물렸다는건 이미 아는데 그래서...
-
자살하고싶다 1
왜되는일이없을까
-
제목 그대로 2025 울산의대 정시 컷라인 점수 아시는분 부탁드립니다
-
이주 만 기 다리면 개 강이!!!!!!!!!!!!!!!!!!!!!!!!!!!!!!!!!!!!!!! 1
앞?으로!!! 2주일만 더더ㅓㅓ더ㅓㅓㅓㅓ더더 기다리면!!~ 개 강이라니!! 정말 기...
-
IQ75 나왔었음
-
서울대 내신반영 8
일반고 기준 3.5 1.6 2.5 2.8 5 평균 3.08 서울대 내신반영bb 되나요??
-
알러지 4급공익 0
친구가 알러지로 4급 공익 받았는데 원래 가능한건가요?
-
시대인재 라이브 잘 아시는 분 쪽지 부탁드려요
-
이번에 정시로 지방의 붙었습니다 조금 안정적으로 지원했는데 알고보니까 탑급...
-
비만갤 눈팅중 3
도파민 터지는 떡밥이 또
-
아 몰라몰라 1
그냥 와바박 뛰어다녀
-
그게낭만있으니까.
-
의대 25학번들 33
의대 망했다고 그렇게 말할 때는 말 안듣더니 왜 들어와서 고점에 물리는지 참 애석하다
-
독학으로하는 독재기숙학원 다녀보신분들 질문좀요..도와주세요 ㅜㅜ 12
잇올몰입형 독재 기숙학원 자리남앗다해서 들어가려하는데 기숙도데 독재로할거면 차라리...
-
전화할려고하는데 막 전화햐도 되나요? 뭐 바쁜 수업중이나 강의즁이시면 어카지
-
김동욱T 독서 인강질문 11
방학 동안 다른 강사님의 인강을 들었는데 구조 독해 방식이 저와 잘 맞지 않는 것...
-
춤추는 2
작은까탈레나
-
옛날부터 문제를 감으로 푸는 습관이 있었는데 고1까지 쭉 1등급 뜨다가 고2...
-
오랜만입니다. 8
안녕하세요 Team BLANK 입니다. 2026 BLANK 기출문제집 출간을 목전에...
-
내폰이 이상한건가
-
열등감 덩어리인거 같다 16
학벌,지능,키,외모,재력 다 열등감 느낀다
-
2년 쉴줄은 몰랐음 20
나의 무지를 탓하고싶구나
-
스시집 알바
-
독재 가야겠다 1
ㅜㅜ
-
방금에타 ㄹㅈㄷ 기만글 14
남잔데 이거보다 작은데 ㅋㅋㅋㅋㅋㅋㅋㅋ
-
세개 어케 병행하는게 좋아여 님들
-
으흐흐 0
왜클릭
-
생윤 사문 하고있는데 생윤은 리밋 진도맞추서 들으면서 기시감도 열심히 풀고있고...
-
빅포텐 받았는데 7
생각보다 얇네요 아 왠지 다행같기도 하고요ㅋㅋㅋ
-
교시사이에 이동시간 17
10분이면충분???
-
샤브 입니다
-
ps 유툽에서 나온거 빌린건데 한화는 짜장면에 탕수육까지 야무지게 쳐먹고 있는데...
-
서울대(동대문캠)
-
뭐임?
-
옯쓱 1
-
밥먹고 공부 ㄱㅈㅇ
-
시발
-
그냥 부러워서요
-
중앙대 약학대학 신입생 카페 가입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제 41대...
-
중경외시 공대에 입학했는데 무휴학으로 연대 인문논술만 준비가능할까요..? 연대...
-
60대이상은 뭐가 더 대단하다생각함?
-
보통 다른학교보면 수학과가 엄청 높은과는 아니잖음 공대가 훨신높지 근데 설수리는...
맞아요. 본인한테 솔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사실 여기 모두가 본인이 뭐가 부족한지 이미 다 알고 뭘 해야할 지 안다고 생각해요 ㅎㅎ 이런저런 상황들로 실제로 실천하는 수험생이 일부라서 그렇죠 ㅠㅠ

아는 걸 실천하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죠..!예전에 공부하다 영어 지문에서 본 내용이랑 비슷하네요. 전투기가 전투에 나가서 총을 맞고 부서진 부분만을 고쳐야할 게 아니라 안 맞은 부분을 더 보완해야한다..

정확한 표현이네요저도 6평 2등급 받고 수1 다맞췄으니 14 22번을 뚫겠다는 마음으로 수2를 열심히 공부했는데, 이번 9월에는 수1 부분에서(13번에서 멘탈이...) 실수연발하면서 22번까지 가지도 못하고 성적이 급하락했네요... ㅠㅠ 정말 공감이 많이 됩니다

수능 때는 잘하실 수 있을 거에요!완전,,,제가 생각한거랑 같네요,,
저도 분명 처음엔 모든부분을 동등하게 챙기고 자만하지 말자 생각했는데 자꾸만 실력이 붙어서 재미있다고 느끼는 것만 해대고 있네요
더 빡공 해야겠어요..ㅜㅜ
공감. 상위권 입장에서는 이제 지금까지 못 맞출만한 건 찍어서 맞출 생각하고
원래 잘 풀던걸 수능 때도 빠르고 정확하게 풀 준비 하는게 좋을 듯
그냥실모존나풀면 되는거아니노?
고수시네요
독서가 너무 큰 취약점이라서 매일 4시간 정도 투자하는데 실모 풀 때 발전이 없다고 느껴지면 어떡하죠ㅠ
리트나 간쓸개 풀면 과학 기술이나 논리학같은 약한 주제는 20분 가까이 걸려서 정말 눈물이 나네요ㅠ
이번 9평도 아도르노 10분 컷 내고 좋아졌다고 느꼈는데 남은 두지문에서 하나도 못맞춰서 2걸치지도 못했는데 마땅한 방법을 모르겠어요ㅠㅠ 국어만 오르면 되는데 정말 쉽지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