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샘 [441190] · MS 2013 · 쪽지

2015-03-21 17:02:45
조회수 2,732

'슈퍼문' 지문 해설의 문제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20574

2015학년도 수능 국어 B형 과학 지문인 소위 슈퍼문 지문’ 26번 문항에 대한 기출 해설서들의 문제점에 대해 몇 마디 적습니다. 제가 검토한 해설서들은 ‘EBS 수능 특강’, ‘EBS 수능 기출 플러스그리고 지학사에서 나온 기출의 고백입니다. 이외의 기출 해설서들은 제가 확보하지 못한 관계로 그 해설들을 보지 못했습니다. 갖고 계신 분이 댓글로 제시된 해설을 올려 주시면 검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설이 지나치게 간략하다는 문제점이 있기는 하지만 ‘EBS 수능 특강의 해설이 가장 정확합니다. 따라서 수험생 여러분은 ‘EBS 수능 특강의 해설을 바탕으로 슈퍼문 지문을 분석하는 것이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EBS 수능 기출 플러스의 경우, 선지 1에 대한 해설은 명백한 오류로 판단되며 선지 4와 선지 5에 대한 해설도 다소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기출의 고백은 선지 2를 제외한 나머지 선지들에 대한 해설에 모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합니다.

 

‘EBS 수능 기출 플러스의 해설은 EBS 홈페이지에 탑재되어 있는 수능 해설에서 거의 그대로 가져온 것인데(문단 표시가 잘못된 것 정도를 수정했더군요), 선지 1에 대한 해설 3줄의 [7월보다는 1월에 달과 지구의 거리가 더 가깝고]라는 진술은 ‘EBS 수능 특강’ 114쪽에 제시된 [1월과 7월에 ~ 지구와 달의 거리는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라는 진술과 명백히 모순됩니다. ‘EBS 수능 특강의 해설이 적절한 해설입니다.

 

기출의 고백원지점, 근지점원일점, 근일점의 개념을 혼동한 것이 부적절한 해설을 낳은 주된 원인으로 보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샘 · 441190 · 15/03/24 09:23 · MS 2013

    지금 막 '미래로' 해설을 봤는데, 이 역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지 4가 정답인 이유를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더 커지면 A 지점에서의 달의 근지점은 더 가까워지므로]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설명으로 보입니다. 달의 근지점이 더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더 커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더 커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선지에서는 달과 지구의 최단거리인 근지점은 다른 모든 조건에 변화가 없다고 했으므로 고정된 값으로 봐야 합니다.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변했으므로, 변화한 것은 달과 지구의 거리가 아니라 지구와 태양의 거리입니다.

  • 학샘 · 441190 · 15/03/24 09:23 · MS 2013

    지금 막 '미래로' 해설을 봤는데, 이 역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지 4가 정답인 이유를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더 커지면 A 지점에서의 달의 근지점은 더 가까워지므로]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설명으로 보입니다. 달의 근지점이 더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더 커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더 커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선지에서는 달과 지구의 최단거리인 근지점은 다른 모든 조건에 변화가 없다고 했으므로 고정된 값으로 봐야 합니다.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변했으므로, 변화한 것은 달과 지구의 거리가 아니라 지구와 태양의 거리입니다.

  • 학샘 · 441190 · 15/03/24 09:23 · MS 2013

    지금 막 '미래로' 해설을 봤는데, 이 역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지 4가 정답인 이유를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더 커지면 A 지점에서의 달의 근지점은 더 가까워지므로]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설명으로 보입니다. 달의 근지점이 더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더 커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더 커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선지에서는 달과 지구의 최단거리인 근지점은 다른 모든 조건에 변화가 없다고 했으므로 고정된 값으로 봐야 합니다.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변했으므로, 변화한 것은 달과 지구의 거리가 아니라 지구와 태양의 거리입니다.

  • 학샘 · 441190 · 15/03/24 09:23 · MS 2013

    지금 막 '미래로' 해설을 봤는데, 이 역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지 4가 정답인 이유를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만이 더 커지면 A 지점에서의 달의 근지점은 더 가까워지므로]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설명으로 보입니다. 달의 근지점이 더 가까워지기 위해서는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더 커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더 커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선지에서는 달과 지구의 최단거리인 근지점은 다른 모든 조건에 변화가 없다고 했으므로 고정된 값으로 봐야 합니다. 지구 공전 궤도의 이심률이 변했으므로, 변화한 것은 달과 지구의 거리가 아니라 지구와 태양의 거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