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49호] 양적관계 시간, 어떻게 줄일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802890
안녕하세요! PPL 화학팀입니다.
화학 칼럼을 처음 남기게 되었는데 많은 화학1 선택자 분들께서 어려워하고 계실 양적관계에 대해 팁을 드리려고 합니다.
30분이라는 시간은 모든 문제를 완벽히 풀어내기에는 짧은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양적관계 킬러문제에서 많은 수험생 분들이 난항을 겪고 계실 것으로 생각하며, 답지를 봐도 이해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킬러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가 사용하는 방법은 가정, 소거입니다. 아래 문제를 보고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6월 모의고사 화학1 20번>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것이고, 양적관계에서 어떤 물질을 추가해주지 않는 이상 반응 전후의 질량은 동일합니다. 따라서 밀도를 주었다는 것은 부피를 줄어든 셈입니다.
반응 전 | 반응 후 | ||||
전체 기체의 질량(g) | 전체 기체의 부피(L) | A의 질량 (상댓값) | 전체 기체의 부피(상댓값) | 전체 기체의 부피(L) | |
Ⅰ | 3w | 7V | 1 | 5 | 5V |
Ⅱ | 5w | 11V | 5 | 9 | 9V |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고 표에서 준 값인 전체 기체의 부피와 제가 빨간 글씨로 적어놓은 값이 동일하므로 아보가드로 법칙에 의해 반응 후 [전체 기체의 부피(상댓값) : 5]를 V를 소거한 후, 5mol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양적 관계를 배울 때 가장 많이 본 단위는 mol일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에게 익숙한 값으로 가정을 하였습니다. 위 내용을 적용하여 표를 다시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반응 전 | 반응 후 | |||
전체 기체의 질량(g) | 전체 기체의 몰 수(mol) | A의 질량 (상댓값) | 전체 기체의 몰 수(mol) | |
Ⅰ | 3w | 7 | 1 | 5 |
Ⅱ | 5w | 11 | 5 | 9 |
실험Ⅰ,Ⅱ에서 반응 전, 후의 전체 몰 수가 동일하게 2몰씩 감소하였고 실험Ⅰ,Ⅱ의 질량, 몰 수 차이가 각각 2w, 4mol이므로 A 2w(g)은 4몰. 반응 후 A의 질량이 Ⅰ:Ⅱ=1:5이고 Ⅱ에서 남아있는 A의 몰 수는 (Ⅰ+4)mol입니다.
Ⅰ: (Ⅰ+4) = 1:5이므로 Ⅰ에서 A는 1mol 남은 것이고 생성된 C의 몰 수는 4mol이며 사용한 B의 몰 수는 2mol입니다. 반응 전 전체 몰 수가 7mol이었기 때문에 실험Ⅰ에서 반응 전 A의 몰 수는 5mol입니다. A는 처음에 2.5w(g)만큼 있었으며 2w(g)을 사용해 0.5w(g)이 남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단위(mol) | A | B | C |
반응 전 | 5 | 2 | |
반응 중 | 4 | 2 | 4 |
반응 후 | 1 | 4 |
실험 Ⅰ를 위와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계수 a는 2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양적관계 문제를 풀면서 가장 중요한 식 중 하나인 [반응질량비 = 계수비 * 분자량비]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B | C | |
반응질량비 | 4 | 1 | 5 |
계수비 | 2 | 1 | 2 |
분자량비 | 2 | 1 | 2.5 |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이고, 정확한 값이 아닌 비율만 알면 되므로 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답은 입니다. 이 문제를 풀 때 미지수가 아닌 관계를 나타내주는 문자 , 그리고 문제를 풀면서 생겼던 문자 V를 소거하였으며, 전체 기체의 부피(상댓값)을 그냥 몰 수라고 가정하고 풀면 수험생분들이 아는 조금 더 쉬운 형태의 식으로 바뀌게 됩니다. 양적관계 문제들을 풀면서 보이는 필요없는 문자들을 소거를 해주고, 미지수를 건들지 않는 선에서 상댓값들을 가정하면서 푸는 연습을 하시면 양적관계 문제에서 시간을 줄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칼럼 제작 |Team PPL 화학팀
제작 일자 |2022.08.01
Team PPL Insatagram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ㄱㄴ
-
언어이해 20/30 집에서 70분재고 풀었습니다 두번째 지문은 보자마자 넘기고 셋다...
-
미적분 92점(22,29틀) 공통:객관식라인은 쉬웠던거같고 20번에서 시간좀 썼음...
-
리트 후기 5
님들은 언어시험 밤새고 치지마셈... + 카페인으로 잠은 깨도 뇌는 안깬다는걸...
-
설레임, 설맞이 s2, 이해원 s2, 하사십 s2, 허들링 끝나면 실모만
-
김재훈쌤 문특 0
토요일 아침반 지금 들어갈 수 있나요? 만약 못들어가면 라이브반 있어여?
-
언어 아니었으면 97인데 문법에서 8점나감…
-
라인메타 탑승 6
국어(언매)98점 수학(통통)(92+4)점 (14번 찍맞) 영어 92점 경제 38점...
-
경직된사고,, 3
더이상변할수없음이.. 변하지못함이.. 두려워,,
-
오르비언들을 위한 자기관리 칼럼 피부 기초케어+베이스 편 8
일단 나는 남르비고 남르비가 보면 얻어갈게 더 많긴 하겠지만 관리 안하다가...
-
솔텍이랑 같이 시키게 대성은 배송비를 안빼줘ㅓ...
-
7덮 88 2
15 22 30틀 14 28 찍맞 첫 80점대당 꺄울~~~
-
아 아니 잠깐만 19
제 레어 어디갔어여…. 첫 레어였는데..
-
화작 98 확통 82(25,26틀…) 영어 2 생윤 44 사문 48 연고 낮과 되나요?
-
2026 LEET 현장풀이(원점수25) + 수능 연계 분석 3
1. 서 2026학년도 LEET를 응시하고 왔습니다. 2026 LEET 언어이해는...
-
너희들도 마냥 젊을것같지?? ㅋㅋㅋㅋㅋㅋ
-
32 41(매체) 독서는 개허벌이었는데 문학 좀 걸리적 거리드라....매체는 오랜만에 틀렸네
-
늙은사람님 9
나이 드시고 만학도처럼 하는건 참 좋은데 일도하시고 공부도 하시려면 엄청 바쁘고...
-
더위어게인 대성공 ㅅㅅㅅㅅㅅㅅ 습한것보다 백배낫다 기분도그렇고
-
다 풀긴 귀찮은데 29~40만 30?25분만 잡고 풀까요
-
김범준은 대성1타 확정 아닐까나 N티켓이랑 하사십이 강해서 안 될 거 같기도 하고
-
6모 10분컷 50 7서프 20분컷 50나왔는데 7덮 시간다쓰고 44 나옴...
-
일단 점수는 84(21, 22, 28, 30틀) 21은 y=x 대칭 잘못봐서 틀리고...
-
모고는 한번 3나오고 다 2인데 여름방학때 수2, 확통, 생1, 화1, 언매 이렇게...
-
잠을 너무 많이 자네 13
이러다가 신생아 되는거 아닌가 모루겠네여
-
언매 83 미적 98 영어 3 생윤 47 사문 50 성적표 나오는거 못기다리게씀...
-
오늘 쉬는 시간에 개시끄러웠음
-
14 15 22 28 29 30 틀(찍맞x) 인데 미적 스테이 해도 되는건가요 14...
-
스카7덮 라인좀 8
어차피 스카에 비평가원이라 무의미하다만 언매93 미적92 영어3 생지5050
-
자기 자신을 아끼고 사랑하는 아이 자존심과 자존감이 강한 아이 귀엽고 멋진 아이...
-
고전오르비짤투척 4
.
-
다이소에서 5천원 이하로 파는 폼클렌징 토너 세럼 정도밖에 안씀 나갈땐 썬크림 쓱쓱...
-
평가원 기출 문제 뽑아서 풀면 거의 13번까지 다 풀고 20번도 맞을때 있는데 더프...
-
그냥 풀로 살까 아님 하반기만 살까
-
이번 7덮은 47점... 14번 틀림 . 무지성으로 1번보고 어 맞네? 하고 넘어감...
-
드릴5,6 이해원s1,2 4규s1,2 설맞이 지인선 문해전s1,2 하사십 샤인미
-
14 22 28 29 30 남기고 35분인가 남아서 미적 쭉 풀고 22 푸니까...
-
예열지문으로 딱이겟죠
-
더프 후기 0
언매 86 미적 84 영어 2 생명 50(19번 찍맞) 지구 42 그래도...
-
7덮 라인 좀 5
언매 89 확통 100 2 1 경제 45 (백분위 98? 97? 뜰 듯요) 사문 50
-
프로모터를 벅벅 0
오케이 9모전에 프로모터 어댑터 시놉시스 다 끝낼게요
-
6모 기하 백분위 99 -> 7덮 기하 84점인데 나만 하강곡선인듯 ...
-
농담이 아니라, 이 사람은 거의 반인반신 수준이었습니다.
-
화 72 수 96 영 3 생 37 지 42 진짜 국어 때문에 죽고싶다.. 탐구는...
-
꽂혀있겠구만ㅋㅋㅋㅋ
-
언매 확통 영어 생윤 윤사 6평: 4등급96점 88점 50 50 7모 교육청 언매...
-
이젠 내년까지면 미적,기하,과탐,사탐 수 많은 과목이 역사속으로 사라진다니... 1
그 수많은 정리서,스킬들이 사라지는게 뭔가 아쉽기도 하네요
-
무보 1 ㄱㄴ?
-
ㅈㄱㄴ
부피가 d1,d2로 따로 주어졌는데 그냥 같다고 가정할 수 있는 이유는 뭔가요?
작성자님의 댓글을 두 가지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1. d1, d2는 처음에 부피로 바꿀 때는 반응 전후의 부피가 각각 7:5, 11:9를 뜻하나 문제에서 준 반응 후 전체 부피(상댓값)과 값이 같아 그 값 그대로 mol수로 가정했기 때문에 d1, d2는 처음 부피비를 표현해주기 위한 상수1,2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문제를 풀다보면 실험I,II 모두 생성물의 몰 수가 같아 실험 I,II의 차이가 한계반응물이 아닌 A를 더 넣었냐 안 넣었냐의 차이라서 같은 값으로 볼 수 있습니다.
만족하실만한 답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칼럼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