썬칩 먹는 박선 [1123891] · MS 2022 · 쪽지

2022-07-28 18:32:02
조회수 671

[지학] 7월 28일 목 D-11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747447




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람이 불었음. 저게 뒤집혀 있으면 역전된거.


ㄷ. 점이층리가........ 아님. 


     #심해 저탁류, 저탁암. 입자의 크기에 따른 퇴적 속도 차이. 대륙대. 깊은 깊이. 




 


정답 4번








'표층' 염분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증발량 - 감수량 : 적도 저압대, 아열대 고압대, 한대 전선대, 극 고압대. 이 중 아열대 고압대가 증-강이 제일 높음. 


2. 연안, 대양 여부. 연안은 대륙의 민물이 들어와서 밍밍함 


3. 빙하가 녹냐 안녹냐. 


4. 난류, 한류 (같은 위도에서 비교). 난류가 염분이 더 높다. 







두 마그마 모두 SiO2의 비율이 제일 높다. 현무암질이라 하더라도 SiO2가 가장 많다. 


Ca, Fe, Mg. 이 중 Fe. Mg 으로 현무람질은 어두운 색을 띠고, 무겁고, 밀도가 커진다. 그래서 고철질이다. 


Na, K, Si. 유문암질은 이것들이 많다. B를 보면 A보다 그것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우리 우주는 암흑에너지가 0.7   암흑물질+보통물질이 0.3인, 가속팽창하는 평탄우주다. 


허블 법칙은 등속팽창을 전제로 한다.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은 대폭발 우주론, 정상 우주론 이전에 밝혀진 사실이다.


즉, 대폭발 우주론, 정상 우주론도 허블법칙은 만족한다. 


가까운 은하는 서로 끌어당긴다. 가까워서 그렇고, 암흑물질의 인력으로 그렇기도 하다. 그래서 가까운 은하는 청색편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는 시선속도를 관측한다. 시선속도. 시선속도다. 삐딱하면 쪼개줘야 한다. 벡터의 분해를 한다고 보자. 


ㄱ. A에서 관측한 B의 속도. B가 후퇴하는 동시에 A도 후퇴하고 있다.


      B의 시선속도 - A의 시선속도. A 역시 후퇴한다는 사실에 주의.


 

태양복사E : 0.5 에서 최대 파장. 주로 가시광선. 

지구복사E : 10에서 최대 파장. 적외선. 


우주(지구). 대기. 지표. 이 셋을 구분. 각각은 복사평형을 이룬다. 


태양 복사 E는 대기에서 약 25만큼 흡수된다. 자외선은 오존에 흡수되고 , 적외선은 온실기체(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테인..)가 흡수한다. 0.3은 알베도라고, 튕겨나간다. 빙하가 많으면 더 많이 튕겨나간다. 빙하가 녹으면 더 적게 튕겨나간다. 대기가 25, 지표가 5 정도 튕켜낸다. 


ㄱ 선지는 0.45로 고쳐야 한다. 


ㄴ. 작수 20번이 생각난다. 역제곱 법칙이라고, 거리에 제곱해서 줄어든다. 


ㄷ. 빈의 변위 법칙! 태양의 표면온도는 5800K. 지구의 표면온도는 약 300K. 

      20배 차이. 


     태양은 약 0.5에서 최대 파장. 지구는 10에서 최대 파장.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