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3,4번으로 찍는 그럴듯한 이유 고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25134
왜 3,4번으로 많이들 찍는 거지???
그 이유는 들어 봤나요??
수능 국어는 긴 지문을 읽고 해석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 조절실패 하면 몇 문제는 아예 읽지도 못하고 찍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런 경우 여러분들은 어떤 방법으로 찍고 있는지 궁금하다. 단 선지나 지문의 내용을 약간이라도 고려하지 않고 약 1 초 만에 찍는 경우를 말한다.
5개의 선지 중 그냥 아무 생각없이 찍었을 때, 그 문제의 정답을 맞출 확률은 20%이다. 10문제 찍으면 두 문제정도 맞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역대 수능의 정답 분포를 살펴보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각 선지별 정답 확률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6년간의 수능 선지별 정답 개수를 살펴보면,
최고 ④와 최저 ②는 정답 갯수가 무려 14개나 차이가 난다. 흔히들 모르면 ③ 혹은 ④로 찍으라고 하는데, 그 이유를 설명해 주는 이는 없었을 것이다. 정답의 분포가 ①,②보다 ③,④,⑤ 쪽이 많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통 수험생은 선지를 ①~⑤로 차례대로 읽어 나간다. 정답을 ①, ②쪽에 만들어 놓으면 수험생이 정답을 빨리 찾기 때문에 ③,④,⑤을 볼 필요조차 없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력오답으로 정성껏 만든 ③,④,⑤가 수험생이 보지도 않고 지나간다면 출제자는 허탈해 할 것이다. 그래서 출제자는 의식적으로 ③,④,⑤쪽으로 정답을 설정해 놓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점이 높은 문제일수록 너무 빨리 문제 푸는 것을 막으려는 출제자의 심리 때문에 더욱 ③,④,⑤에 정답의 분포가 높다. 과거 3단계의 점수 분포(1.5점, 2.0점, 2.5점)를 보였던 수능 시험에서 2.5점의 고 배점 문제는 선지 ①, ②쪽에 정답 분포가 ③,④,⑤쪽보다는 확연히 상대적으로 낮다.
둘째, 보통 선지는 ①에서 ⑤로 갈수록 점점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말이 많은 사람일수록 말실수가 많은 것처럼 선지도 그 길이기 길면 적절하지 못한 것을 찾는 부정 발문 형에서 정답이 될 여지가 많기 때문에 정답이 ③,④,⑤쪽에 분포가 높다. 이에 따라 수험생은 선지를 ①부터 ⑤까지 차례로 읽는 것보다 ③④⑤를 먼저 읽는 것이 정답을 좀더 빨리 찾는 데 효율적이다. 사소하고 별거 아닌듯한 것 같지만 1초라도 아껴서야 하는 수능에서 이는 매우 중요하다.
전개 방식 풀이 노하우: http://orbi.kr/0005707766
지문 먼저 읽기 VS 문제 먼저 읽기: http://orbi.kr/0005690231
정공 독해법 VS 문제 풀이 기술: http://orbi.kr/0005666450
팁도 쌓이면 실력: http://orbi.kr/0005646997
기출은 과연 진리인가? http://orbi.kr/0005617619
습관화된 출제자의 심리: http://orbi.kr/0005594451
비문학 감각 충전: http://orbi.kr/0005570969
문학 감각 더하고 가자: http://orbi.kr/0005555609
서술상의 특징 문제 해결: http://orbi.kr/0005518786
2015 수능 현대시 모두 적용: http://orbi.kr/0005489483
정답과 부정형은 75%이다: http://orbi.kr/0005469384
선지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느낄때: http://orbi.kr/000544667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질문 1
나 조건에서 양변 0-1정적분을 걸어주는 것은 많은 경험닐까요..? 척보면척인가요?...
-
물개물개 물개물개 물개물개 물개물개 물개물개
-
비문학은 읽을 때 최대한 머릿속에서 구체적으로 언어화하고 선지 들어감 문학은 그냥...
-
행복하고 싶음 내소망임
-
남르비와 여르비.
-
환급 받을 수 있는거였나요? ㅠㅠ
-
여기서 말하는 수능 백분위 평균이 (국+수+탐평균)*3인가요?
-
어느정도하면 감 찾으시나요..?? 25 기출 거의 다 풀어가고 있어요
-
호감과 비호감
-
국어 재능과 수학 재능중에 수능에서 더 유리하게 작용하는 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현강러 인생 최대업적 미적선택, 김범준 현강 듣기
-
알바 질문 1
가족여행으로 일본 가서 알바 빠지려고 물어보니까 알바 사장님이 "야 그런건 나한테...
-
가방 0
자라에서 시티백 사려고 하는데 화이트 vs 블랙 추천좀 옷을 좀 어둡게 입으면...
-
재밌는거 잇으면 알려줘//!!
-
와 근데 확실히 학교에 학벌 관심있는 애들 많으니까 11
에타 새내기 게시판에서 수능이야기하거나 반수이야기해도 시비거는 애들 하나도 없이...
-
그냥 전문 용어인줄 알았는데...
-
올1컷이면 가능한가요??
-
하루하루 나한테 충실할 땐 오히려 내가 자랑스럽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보이고 대단한...
-
저메추해주세요!!
-
연대가 이렇고 고대가 이렇고 이러는 건 바람직 하지 않아보임 사실 어떤 위치여도...
-
흠
-
이거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자기보다 객관적으로 떨어지는 다른 사람 알게모르게 많이...
-
쿠키주고 아이스티타주고왓다 힘들구만...
-
솔직히 7
연대는 모르겠는데 고대는 자리가 ㄹㅇ 좀 아슬아슬하지않냐?
-
현실은 둘 다 군대 가지만 차은우는 나보다 대학도 잘갔고 돈도 많고 잘 생겼다는 거임
-
노베입니다. 고3개념강좌가 있고 수특 강좌가 있는데 책이 수특이랑 기해분만...
-
내가완벽한상태가되는날은오지않음 그냥감수하고더나은내가되려고 노력하면서사는거지
-
결국 한번도 못갔음... ㅠㅠㅜ
-
뚜껑이 열려 내 외제차 11
사실내껀아니고
-
성균관대 의대 논술 2년 연속 봤는데 갈때마다 진짜 학교 자체가 시스템이 명문임
-
작년처럼 술먹고 남자선배한테 고백만 안박으면됨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가천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가천대학생들을 돕기...
-
과탐라이브히고싶은데 너무부담되네..
-
07년생 08년생 보면 그거마려움
-
재밋는거해죠.. 20
응응
-
미친 수강평 정상화좀 해봐 범바오야
-
대학은 0
비시대인재와 시대인재로 나뉜다
-
안녕하세요. 04년생 공부 계획으로 몇 가지 여쭙습니다. (2022년...
-
얼굴 잘생겼다고 군대를 뺄수는 없는거니까.. ㅅㅂㅅㅂㅅㅂㅅㅂ
-
혹시 관심 있는 분 있나요?
-
난 스카이를 밑에 대학이 무너 뜨렸으면 좋겠음 그래야 더 건전해짐
-
ㅇㅈ 3
시로코 ㅇㅈ
-
전 본계로 간다니까요!?
-
= 캬루룽
-
ㅇㅈ) 8
이따구로 생김 ㅎㅇ
-
코코로카라이토시이히토
-
그냥 무지성으로 사는듯
-
결혼을 하고 일반적인 가정을 꾸려서 아이도 낳고 배우자와 행복하게 살고 싶은데...
1 2번에 쉬운답있는데 3 4 5번의 매력적오답때문에 말릴수도 있는거 아닌가요ㅠ 1,2번읽는데 얼마안걸린다면 차례대로 읽는게 좋은듯 물론케바케지만ㅎ
물론 1,2번을 먼저 읽는 것이 더 빠르게 정답을 만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통계상으로 그 반대의 경우가 더 많다는 것입니다.
이거 평가원 도표 풀때 개꿀인데
도표 풀 때 더 유익하게 활용되고 있었군요
룰7이라는 책이 있나요? 찾아봐도 안나오네요ㅠㅠ
네이버에 국어 시험의 법칙으로 검색해보세요
아ㅎ 꿀같은 칼럼 항상 감사함니다! 칼럼 읽다보니 책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기출분석을 끝내고 8-9월달에 책 구입해서 공부해도 괜찮을까요?
기출에 잘 적용되기 때문에 기출 보기 전에 먼저 보시면 더 효과가 좋을듯 합니다.
이런 걸 알아도 모평이든 수능이든 1번부터 보게되서...
습관 한 번 바꾸기 쉽지 않죠.
수능 이틀전에 님 게시글 싹다 복사해서 읽은덕에 수능에서 찍은거 다맞고 국어만 건졌습니다 딴과목망해서 삼수하긴하지만 그래도 꿀팁 감사합니다
국어에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올해는 꼭 국어 뿐만 아니라 다른 과목도 좋은 성적으로 원하는 대학 합격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