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래추천 봇 · 995773 · 22/06/06 01:55 · MS 2020

    그쵸 허블쪽 가면 계산 문제 있어서..
    근데 사람마다 어려운 파트가 다 달라서

  • 노래추천 봇 · 995773 · 22/06/06 01:55 · MS 2020

    근데 막 머리 터지는 계산도 아니라 전 우주가 제일 쉬우ㅗㅆ어요

  • 우기​​ · 1069955 · 22/06/06 01:55 · MS 2021

    근데 천체 어렵ㄷㅏ는것도 옛말인듯,, 전 유체가 훨씬 어려워요

  • 내화수언 · 1112301 · 22/06/06 01:56 · MS 2021

    계산 말고도 특이은하 이런거에서도 오답률 70프로 나오던데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1:57 · MS 2021 (수정됨)

    가속팽창우주같은거나 허블상수같은거 개념이 난해하긴해서...
    허블상수가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 이런거 처음 듣고나면 대가리 폭발해버려서그런듯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04 · MS 2022

    그럼 거리에 따라 허블상수도 달라지는거임?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2:06 · MS 2021

    ㄴㄴ 등속팽창우주를 기준으로 어디를 관찰하든 허블상수는 같은데
    10억년 뒤에 우주를 다시 관측했을때 측정되는 허블상수는 작게나오게되는 그런거임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07 · MS 2022

    ? 뭐가 그렇죠
    우리가 10억 광년 떨어진 곳을 보면 10억 년 전을 보는거니 허블상수는 더 커야되는거 아닌가요?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2:15 · MS 2021

    안그래서 이런거 들으면 머리가 꼬이는듯
    허블상수가 작아지는거 애초에 모르거나 이해포기한애들도 많음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19 · MS 2022

    게다가 우주의 나이에 따라 팽창 속도 또한 변하므로 이러한 효과까지 고려한다면 허블 법칙은 먼 거리에 있는 은하들에 대해서는 전혀 맞지 않게 된다. 다만 근거리에 있는 은하들에 대해서는 은하들이 단순히 운동한다고 생각해도 오차는 크지 않기 때문에 쉬운 이해를 위해 이 방식으로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해석은 완전히 틀렸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ㅡ 킹무위키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20 · MS 2022

    아마 가속팽창까지 고려하면 너무 어려워지니까 그냥 안가르치는듯...?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2:24 · MS 2021

    이거임
    T1때 허블상수가 100, 이때당시 1Mpc 떨어져있는 지점 X가 100km/s로 멀어지는데
    T2때는 X가 2Mpc 떨어져있다 하면 이때도
    100km/s로 멀어지고있으니 허블상수는 50으로 계산되고
    왜 속도가 같아야되는지가 이해안되면 지점X를 지평선으로 이해하면 쉬운듯
    지평선 끝의 점은 계속 c로 멀어지는데 우주의 반지름을 r이라 하면 c=H×r이니 r이 증가함에 따라 H가 감소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27 · MS 2022

    엥 아니지않나요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2:24 · MS 2021

    ㅇㅇ 가속팽창 같이고려하면 그런데 등속팽창이 맞다고 가정했을때도 허블상수는 줄어듦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2:29 · MS 2021

    등속팽창이 맞다하면 성립함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30 · MS 2022

    등속팽창이 맞으면 t2에서 200으로 멀어져야되는거아닌가요?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2:36 · MS 2021

    ㄴㄴ 그 풍선 실험 뭔지 알죠?
    그거처럼 생각하면되는듯
    현시점에서 거리가 xMpc인 지점을 모은 원 이랑 지평선이 닮음을 유지한다 이느낌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41 · MS 2022

    그냥 강의 듣고 올게요... 이건 등속팽창우주니 쉬운 내용이겠지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2:41 · MS 2021

    일단 오지 매개완에선 설명안했어요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56 · MS 2022

    아니 님 아무리 생각해도 등속 팽창우주면 허블상수가 일정해야될거같은데요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58 · MS 2022

    등속 팽창이라는게 정확히 뭔가요?
    모든 공간이 일정한 속도로 커진다는거아님?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02 · MS 2022

    아 찾아봤는데 등속팽창일때는 허블법칙이 아예 성립이 안된다는데요?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02 · MS 2022

    우주는 지수형으로 커지는거라서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3:04 · MS 2021

    하나의 지점이 멀어지는 속도가 계속 일정한거죠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05 · MS 2022

    엥 근데 우리 우주는 안그렇지않나요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3:06 · MS 2021

    그죠 애초에 등속팽창이 성립하지않으니까요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3:05 · MS 2021

    그거 송원학원갤러리 그글 아님? 댓글보면됩니다 걔도 모르면서 말한거임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13 · MS 2022

    아 그러니까 등속 팽창이라는게 공간 자체가 팽창하는게 아니라 그냥 물질이 폭발하듯 등속운동할때를 가정한거죠?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3:17 · MS 2021

    공간이 팽창하긴 하는데
    운동만 놓고보면 그런셈이라고 할수있는듯?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14 · MS 2022

    근데 그러면 허블법칙이 의미가없어지니까라고 자꾸 생각이 나서 그렇게 생각못한듯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16 · MS 2022

    아니구나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16 · MS 2022

    으아아악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3:16 · MS 2021 (수정됨)


    저도 그쪽은 개념 다버리고 공부하고 하면서 10번넘게 반복함..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14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19 · MS 2022

    아 완전히 이해함 ㅇㅇ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3:21 · MS 2021


    근데 그랬다가도 한 3주지나서 다시생각해보면 멘탈나갈수도 있음ㅋㅋㅋㅋ
    제가 딱 그랬음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25 · MS 2022

    ㅇㅅㅇ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30 · MS 2022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3:21 · MS 2022

    그러니까 공간이 등속도로 팽창할때 속력은 같은데 시간이 지날수록 거리는 멀어지니 허블법칙이 나온거군요 ㅇㅇ; 근데 이거 그냥 개념인거 같은데요?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3:26 · MS 2021

    개념 맞는데 그걸 처음엔 납득을 못함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3:26 · MS 2021 (수정됨)

    멀리 보면 과거를 보는건데 이때 허블상수가 더 컸다? 그럼 허블법칙 성립 안하는거 아닌가 이생각때문에 꼬일수밖에 없음

  • 닥마 · 994443 · 22/06/06 04:12 · MS 2020 (수정됨)

    허허허허 송원학원갤러리에 댓글단게 저인뎈ㅋㅋㅋ 허블법칙에 대한 자료 찾다가 듣도보도 못한 개소리를 하길래 리플달아놨는데 달아놓길 잘했네요.. 인터넷발 자료는 항상 비판적으로 받아들이셔야합니다. 허블 법칙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새 댓글로 달아놓을게요.

  • 흐르는​ 물 · 1071435 · 22/06/06 04:15 · MS 2021

    킹오브어스사이언스입갤ㄷㄷㄷㄷ

  • 마로마 · 1144353 · 22/06/06 01:59 · MS 2022

    난 오히려 해수가 젤 어렵던데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2:02 · MS 2022

    저도 해수가 어려워보임

  • 토미。 · 1060542 · 22/06/06 02:22 · MS 2021

    신비한 우주니까요
  • 데카메론 · 1124612 · 22/06/06 04:04 · MS 2022

    개념이 이해가 안되는게 많음 따지기 시작하면 끝도 없이 말림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4:06 · MS 2022

    이럴줄 알고 책과 유튜브로 예습을 해뒀지...

  • 닥마 · 994443 · 22/06/06 04:57 · MS 2020

    전공자로서 허블 법칙에 대한 이야기를 좀 드리고자 합니다.
    1. 등속 팽창 우주란?
    전공 용어로 말씀드리자면 척도 인자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이 상수로 일정한 우주입니다. 지구과학1 수준에서 말씀드리자면 우주의 모든 지점이 관찰자로부터 일정한 속력으로 멀어지며 우주의 반지름이 일정하게 커지는 우주입니다. '관성 우주' '텅 빈 우주' 가 이러한 우주를 의미하는데, 우주의 반지름이 이와 같이 일정하게 커지려면 우주가 텅 비어 암흑 에너지도 작용하지 않고 물질에 의한 중력도 작용하지 않고 대폭발에 의한 관성만으로 우주가 일정하게 커져야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닥마 · 994443 · 22/06/06 04:57 · MS 2020

    2. 허블 법칙
    현행 교육과정 자체가 허블 법칙을 완전히 이해하는게 애초에 불가능하게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허블 법칙이 나타나는 근본적인 이유는 우주 팽창 때문이라는건 다들 알고 있는데 그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고 있는 수험생은 많지 않아요. 우주 공간이 팽창하게 되면 우주 공간을 진행하는 빛의 파장도 따라서 길어지게 됩니다. 이를 '우주론적 적색편이'라고 하며 우주 배경 복사의 파장이 시간에 따라 길어지는 원인을 이것 때문으로 학습하죠? 허블 법칙이 나타나는 은하들의 스펙트럼이 적색 편이를 보이는 원인도, 그리고 사실 거리가 먼 은하일수록 적색편이가 크게 나타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어떤 은하에서 빛이 출발하여 우리은하에 도달하는 상황을 생각해볼게요. 만약 그 은하와 우리은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다면, 그 은하에서 출발한 빛이 우리은하에 오기까지 시간이 '금방' 걸릴겁니다. 이는 빛이 우주 팽창의 영향을 받아 파장이 길어지는 기간이 '짧다' 라는 의미이고, 따라서 은하의 적색 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납니다. 만약 그 은하와 우리은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다면, 그 은하에서 출발한 빛이 우리은하에 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겁니다. 이는 빛이 우주 팽창의 영향을 받아 파장이 길어지는 기간이 '길다'라는 의미이고, 따라서 은하의 적색 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나죠. 아~ 은하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그 은하의 적색편이는 더 크게 나타나겠구나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게 결국 허블 법칙의 본질이에요.
    만약 우주의 팽창 속도가 일정해서 빛의 파장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길어졌다면, 어떤 시점에서 관측되는 빛들의 적색편이는 오로지 그 빛이 우주 팽창의 영향을 받은 기간의 길이에 의해서만 결정될 것이고, 빛의 속력은 일정하므로 결국 빛이 진행하는 거리에 의해서만 결정됩니다. 따라서, 우주의 팽창 속도가 일정하다면 특정 시점에서 관찰되는 은하는 아무리 멀리 떨어진 은하라도 거리에 비례하여 적색편이가 나타납니다.(물론, 더 깊게 전공으로 들어가면 공간 팽창으로 인한 빛의 도착 시간 지연효과와 광자의 밀도가 달라지며 나타나는 효과로 인해 아주아주 멀리 떨어진 은하는 적색편이가 거리와 비례하지 않습니다만, 무시하겠습니다.)

  • 닥마 · 994443 · 22/06/06 04:57 · MS 2020 (수정됨)

    그래서, 등속 팽창 우주에서는 일부 요인을 무시했을 때, 먼 우주까지 허블 법칙이 성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우주의 팽창 속도가 시간에 따라 달랐다면? 빛이 진행하는 거리 외의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거리와 적색편이가 비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우주가 가속 팽창을 했다면, 과거에는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을테니 아주 멀리 떨어진 은하의 적색편이는 등속 팽창 했을경우 해당하는 거리에서 예상되는 적색편이보다 작을 것입니다. 적색편이는 거리가 멀수록 큰 경향이 있으므로 이는 다르게 표현하면 특정 적색 편이를 갖는 은하의 거리가 등속 팽창했을 경우 예상되는 거리보다 멀다는 의미가 되지요. 하지만 우주가 가속 팽창을 했든, 감속 팽창을 했든, 등속 팽창을 했든, 속도의 변화폭이 크지는 않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운 우주에서는 어쨌든 허블 법칙이 근사적으로 성립합니다. 문제를 풀 때 '~~은하는 허블 법칙이 성립한다.' 라는 조건을 굳이 주는 이유는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은하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 허블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함입니다.

  • 메구밍。 · 1132617 · 22/06/06 05:03 · MS 2022

    감사합니다 네 정리가 되네요

  • ■YMOWS■ · 1149612 · 22/06/06 07:04 · MS 2022

    오개념이 무섭다 봅니다 솔직히 수학 통합 미적분 기준 2등급 정도 받는 실력이면 수리추론 측면에서 막힐 일은 없거든요

  • 트립토판 · 879143 · 22/06/06 07:56 · MS 2019

    이부분 원래 좀 이해하기 어려운게 많음 ㅋㅋ 말끔히 정리할려면 굉장히 많이 고민해야함

  • 연치생 아이유 · 1074075 · 22/06/06 08:10 · MS 2021

    강사들도 잘 몰라서
    얼렁뚱땅 넘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