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기출 선지 분석'의 필요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330594
"지문은 어느정도 이해되는데, 문제는 왜이리 안 풀리지?"
19수능, 21수능을 기점으로 평가원의 국어 트렌드가 바뀐 거는 다들 아실 거임.
예전에는 지문을 읽을 때 '대충 무슨 말인지 파악'만 해놓으면 문제가서 '눈알 굴리기'로 대충 비빌 수가 있었음
근데 지금은 아님. 지문을 잘 이해해도 선지 자체가 '뭔 개솔?'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음.
그 이유는 지문과 선지의 성격이 조금 달라졌기 때문임.
"정보량 폭탄 지문, 내용 일치 수준의 선지"
--> "짧은 지문, 고난도 추론형 선지"
고난도 추론형 선지들을 뚫어내려면
지문 자체를 깊게 이해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선지가 묻는 포인트 자체를 명확하게 아는 것도 몹시 중요함.
그 방법은?
간단함.
평가원이 선지를 출제하는 원리를 알고 있으면 됨.
그리고 그 원리로 기출 선지를 섬세히 분석하다 보면,
그 선지를 판단하려면 어떤 정보(=지문의 단서)를 활용해야 할지가 보임.
평가원이 선지를 출제하는 원리는 대충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음.
(1) 패러프레이징:
지문의 a라는 표현을 선지에서는 b라고 표현. (또는 아예 없던 표현을 추가 ex - 부정 표현) a와 b의 의미가 이어지는지 여부가 선지의 적절성을 결정
(2) 표현 삭제하기:
지문의 a라는 표현을 선지에서는 삭제. 삭제하는 정보가 필수적인지 여부가 선지의 적절성을 결정.
(3) 짝짓기
지문에서 'a이면 b, c이면 d'라고 했는데, 선지에서는 'a이면 d'라고 하는 경우. 비교/대조형 서술이 나올 때 자주 나오는 선지.
(4) 순서 바꾸기
지문에서 'a 다음에 b, b 다음에 c'라고 했는데, 선지에서 'a 다음에 c'라 하거나 'c 다음에 a'라 하는 경우. 순서 축약은 적절하지만, 앞뒤 순서를 뒤바꾸면 부적절.
(5) 여러 개 묻기
한 선지에서 판단할 정보가 여러 개인 경우. 하나씩 차근차근 따져서 '하나라도' 틀린 말이 있으면 틀린 선지임.
난 과외 학생들을 가르칠 때 틀린 문제 오답 정리할 때,
반드시 선지마다 위 5개 중 어떤 원리를 써서 만들어진 건지 분석하라 함.
(물론 하나의 선지에 두 세개의 원리가 동시에 쓰일 수 있음.)
그래야 '어떤 지문의 단서'가 '논리적으로 어떻게 변용'된 건지 명확히 알 수 있기 때문임.
그리고 이걸 반복하다 보면 반드시 언젠가
<지문의 정보 - 고난도 추론형 선지> 간 연결이 매우 자연스러워지는 때가 옴.
'아 이거 지문의 a라는 걸 좀 꼬아 b라고 표현한 선지네ㅋㅋ'
'아 이거 <a이면 b이고 b이면 c>인데 중간 생략하고 <a이면 c>라고 순서 축약(or 삭제)한 선지네ㅋㅋ'
이 때쯤 되면 고도의 추론을 거치지 않아도, 추론형 선지의 난이도가 현저히 내려갈 것임.
당연히 문제를 푸는 속도가 정확성 면에서 큰 이득을 보겠지?
평가원의 선지 출제 원리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열심히 썼는데 '좋아요' 부탁드려요 ㅠㅠㅠ
유성's 2023학년도 칼럼 모음
평가원의 선지 출제 원리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수능 국어 1년간 해야 할 것들 총정리
비문학을 읽는 기본 자세
국어, 실력이 곧 성적일까?
의외로 잘 모르는 국어 공부법
수능 국어 - 배경지식이 깡패인 이유
https://orbi.kr/00056181415
0 XDK (+1,000)
-
1,000
-
6모배틀뜰사람 0
이제 공부좀 열심히 해야할거같아서 사람마다 밸런스조정 들어가겠습니다
-
설대식으로 5모 내기하실분 07만 받아요 선택과목은 언미물화입니다
-
과잠내놔 0
꺼드럭해볼래
-
삼수종철이랑 두종철님이 같은분인지 모르겟네
-
나 예뻐해주는거좋잖아 ㅇㅈ?
-
자러감 인사해줘 10
-
3모 해설 강의 0
문학 해설 들었는데 쌤들마다 해석?이라고 해야되나 문제풀이에서 여기가 잘못됐다 하는...
-
저 사실 99임 7
백분위99 흐헤헤
-
귀엽지가 않아서 3
대화에 못끼겠네요 그냥 멀리서 어버버
-
07 다들 귀여움... 10
신기하게 08보다 07이 더 귀여움
-
춥네 3
으스스
-
내 동생이 귀여우니까 암튼 그럼
-
학교다니다가 맘 바껴서 지금이라도 시대 재종 다니려하는데 대기걸면 오래걸리나요?
-
가고싶은 대학 축제 무대 보면서 수학문제 풀기 스트레스 해소 + 공부자극 +...
-
[3차]6월 학평 대결에 참여할 08년생 분들을 구합니다 7
안녕하세요, 중의적 표현입니다. 지난 3월 학력평가에서 강해린08님과의 대결이...
-
영광입니다..!
-
동아동아ㅠㅠ
-
연대가는법? 0
연세대 어ㄸㅎ게가염? 너무 가고싶은데
-
2년 전엔 07을 손으로 셀 수 있었다 이 말이야
-
닉네임이 많아요 2
유동닉이에요
-
동접하면 안되는 줄 모르고 오늘 처음 동접했는데 이거 걸리나요? 책 배송지는 같은...
-
솔직히 힘든데
-
수능 국어, 수능 수학, 입시 등 밤 12시까지 질문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금 이시기에 많이 늦었지만 정시를 할지 수시를 할지 아직도 모르겠어서...
-
으흐흐흐ㅡ 볼을 그냥 칵하고 잡아 뗑기고 싶네
-
원래 조금 어색한가요? 맞추긴했는데 좀 기네요
-
내 프사가 젤 귀여운데 10
-
나 귀엽지 않음? 12
ㅇㅅㅇ
-
개같은 물리 8
진짜 씨플 받을까 진짜 못해먹겠음 그냥
-
06이 미안해 5
그래도 우리 덕분에 너희가 더 빛나는거 같다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
3/30 공부기록장 12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
그러자 연의생이 화를내며 말했다 "이 씨발연의???" 고의생이 답하기를 "미안 고의야" 깔깔
-
상담좀 해주실분 2
쪽지좀..
-
영어 질문드립니다 고3이고 중3때 학원에서 고1 모의고사 보면 1등급이 나왔어요...
-
심심한 고3기원 imna 미적마구마구정복하기 다 개 커엽노
-
다들 비문학 연계 수특으로만 할거임? 뭘로 할거임? 0
나중에 변형문제 푸는 거 제외하고..
-
커뮤에 글쓰면서 2
문제발상하기
-
울었어 ㅠㅠ 나 T인데...원샷의 영향인가
-
생명 시간단축 0
생명 시간단축은.. 도대체 어떻게하는걸까요 모고볼때 평소보다 더 허둥거리는 느낌도...
-
ㅈㄱㄴ
-
속초야
-
호빵.
-
난 너가 싫어 24
츄릅츄릅
-
스토리 좋아요 21
의미부여 가능? 다들 보통 어떨때 이성 스토리 좋아요 누름(본계 기준)
-
안녕하십니까. 첫 칼럼을 써보는 시발비갤입니다. 오르비에는 고2 학생분들보단...
-
국어 응시자수가 한국사 응시자수보다 많음
-
친구만 잇엇어도 4
바로 친구 폰으로 리셋햇는데친구가 -3명이네 ㅋㅋ
정말 의미 있는 원리...
기억하자 게이들아

좋은 글!
훈제청어.. 허위적 인과.. 3원칙..이원준은 신이다
기출분석하면서 이런걸 얻어가야하나보군요 독서는
와 이건 진짜 지린다
좋은글 감사감사!
이런 양질의 글을…작성자분 복받으세요!!
감사합니다!
짝짓기에 미시독해 발동하는 옵붕이들 정신을 차리시길 바랍니다 사실 제가그럼 아 ㅋㅋ
와 글 진짜 잘쓴다 눈만 가져다댔는데 술술 읽히네
독서 선지 분석 방향성을 잡았습니다 ㅎㅎ 감사해요
파이팅하십쇼 ㅎ.ㅎ
형님 쪽지 가능하신가요
얍
강민철이랑 비슷하네
ㄹㅇ
A이면 b이고 b이면 c이다 일때 a이면 c이다는 틀린건가요?
아뇨 맞는 겁니다!
이원준!!!
상의어 하의어 오답선지는 어느거에 속하는건가요??
대체로 페러프레이징에 속하겠죠?
문학에서도 선지오답원리 알려주실수있나요...?
수특 문학, 독서는 어느정도로 학습해야 하나요..? ex)강사분들이 집어주시는 주요 지문만 본다, 수록된 지문을 모두 학습한다, 수특 문제까지 모두 풀어본다 등등
일단은 연계교재 1회독이 기본중의 기본이 아닐까싶습니다! 그 이후에는 강의나 변형문제, 선별집을 활용하구요
문학도 적용되나요?
저 5가지는 독서 영역에 한한 거고, 선지분석 자체는 문학에서도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