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질문) 저기압 중심부에서는 용승이 일어나잖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678026
용승이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해수면 높이가 내려가잖아요,
근데 왜 태풍의 중심부에서는 해수면의 높이가 상승한다고 배우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678026
용승이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해수면 높이가 내려가잖아요,
근데 왜 태풍의 중심부에서는 해수면의 높이가 상승한다고 배우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용승보다 압력에 의한 영향이 더 커서 그런데 지1에선 자세하게 다루지 않습니다 그냥 암기 ㄱㄱ..

감사합니다원래 지구가 그런과목이에요 ㅋㅋ
1hpa 하락할때마다 해수면 1cm씩 상승합니다
아ㅋㅋㅋㅋㅜㅜㅜ감사합니다
이거 암기해야 해용 그냥 ㅋㅋ
ㅜㅜㅜ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에크만 수송에 의해 용승이 일어는 나지만
그것보다 기압이 해수의 표면 높이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서 그래요
아 뭔지 알거같아요 감사합니당
용승이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해수면 높이가 내려가잖아요
이거 첫 번째 줄 잘못 적으신것 같아요 인과순서가 바뀐 듯
용승의 종류는 연안용승 적도용승 저기압용승과 고기압침강이 있고
저기압용승은 에크만수송때문에 용승이 발생하는것이고, 태풍 중심 저기압은 기압이 매우 낮기에
에크만수송으로 빠져나가는 물 보다 저기압으로 해수면이 오르는 게 더 커서 해수면이 오르는 거에요 (지1 지식상에선)
에크만 수송이 일어나 용승이 발생하기 까지는 저기압성 바람이 24시간 가까이 불어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기압감소로 인한 해수면상승은 즉각적이고요
그래서 태풍이 가까이오면 일단 즉각적으로 해수면이 기압이 감소함에 따라 상승하고 밑에선 에크만 수송이 계속일어고 태풍이 지나가면서 시간이 좀 진행 되면 용승이 일어나는 겁니다 라는 소설이 있죠
끄덕거리면서 읽고있었는데 소설 ㅋㅋㅌㅌㅋ
이래서 춘식 T 수업을...
아 대성살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