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ui [1132478] · MS 2022 · 쪽지

2022-03-20 00:09:58
조회수 68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620409

DP의 길이가 최소일때 ODP가왜 한직선위에 있어야하는지 이해가 안가요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Tyui [1132478]

쪽지 보내기

  • Tyui · 1132478 · 22/03/20 00:11 · MS 2022

    이것도 기출의 아이디어라면 어떤기출인지 같이 첨부해주시면 너무너무감사할것같아요

  • 편안한마음 · 1130904 · 22/03/20 00:47 · MS 2022

    O, D, P가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으면 OD, DP를 이으면 조금 꺾여서 가겠죠. 그러면 OD, OP를 직선으로 이었을 때보다 그 길이의 합이 커질 거고요.
    당연히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한 점까지 잇는 것이니만큼 OD+OP는 O, D, P가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반지름의 길이로 가장 작습니다.
    이제 D는 고정된 점이라 OD의 길이는 일정하니 OP의 길이는 세 점이 한 직선 위에 있을 때 가장 짧겠네요.

  • 저능아 71호 · 951051 · 22/03/20 00:48 · MS 2020

    와 말로 어케 설명할지 고민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올라오니까 신기하네요 ㅋㅋ
  • Tyui · 1132478 · 22/03/20 00:50 · MS 2022

    근데 호위에두점 A B인데 얘네가 움직인다는소리는없지않나요??

  • 저능아 71호 · 951051 · 22/03/20 01:08 · MS 2020

    맞아요 이 분은 A, B가 움직인다고 얘기하신 게 아니라 선분 OD, OP만 움직이면서 얘기하신 것이에요
    점 A, B는 가만히 있어요

  • Tyui · 1132478 · 22/03/20 01:11 · MS 2022

    아 잘못말했어요 PQ요

  • Tyui · 1132478 · 22/03/20 01:12 · MS 2022

    점 p 점q요

  • 저능아 71호 · 951051 · 22/03/20 01:16 · MS 2020

    잘 보시면 세타는 0부터 파이/2 사이라고만 주어져있고 정해진 값은 아니에요
    그러면 세타가 변수니 C도 세타의 값이 주어짐에 따라 그때그때 정해질 뿐 늘 일정한 건 아니겠죠? 마찬가지로 선분 BC의 길이도 계속 달라질 거고(B만 고정이고 C는 움직여서요) 거기서 파생되는 D와 E, 그리고 또 여기서 파생되는 P와 Q는 고정된 점이라고 말할 수는 없어요 각각 세타가 변함에 따라 다들 변하는 점들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