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비문학 제재별 접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825174
오랜만에 현역 국어 97점의 칼럼입니다.
제가 기출분석하면서 느껴봤던 제재별 접근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지금쯤이면 여러분들도 한창 기출분석하실 시기인데, 여러분이 느낀 점과 비교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용 자체는 수능 직후에 써뒀던거라 음슴체입니다.
------------------------------------------------------------------------------------
인문
-주로 여러 인물의 주장 등을 비교대조하는 흐름(2109 미학, 22예시 음악)이거나 특정한 사례를 다른 관점에서 비교(2109 광고, 2106 과거제)
-주로 시대의 변화나 동서양간의 차이로 인해 주장이 구분됨
-여러 주장들이 대립될 경우, 무엇에 대한 주장인지, 대립하는 포인트는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
-보통 <보기>에서는 각 주장들을 적용시키는 문제가 출제됨
철학/논리학
-주로 한 인물의 주장이나 특정한 논증 등을 깊게 파고듦 (1911 가능세계, 1811 목적론, 2011 베이즈주의)
-하나의 주장이나 논증만을 다루기 때문에 그걸 이해했으면 쉬울 것이고, 이해하지 못했다면 어려울 것
-따라서 가급적이면 반드시 이해해주는 것이 좋으나, 논증이 너무 어렵거나 설명이 대충되어있거나 하는 이유로 이해하기가 불가능에 가까울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논리적 흐름보다는 표면적인 흐름만 잡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1711 콰인)
-최근에는 가/나 형 지문이 등장하면서, 여러 흐름이 혼재되는 경우가 잦아짐
-(가)에서 여러 주장을 비교시키고 (나)에서 그 배경을 제시(2111 북학론)
-(가)에서 특정한 논증을 제시하고 (나)에서 그와 다른 관점 제시(2206 인과, 2211 변증법)
-이럴 경우 굳이 (가)와 (나)를 연결시키는데 집착할 필요 없이, 각각의 지문만 잘 독해해주면 오히려 쉬울 수도 있음
-다만 3점 보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선 두 지문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음
경제
-주로 특정한 경제적 메커니즘을 제시해주고, 해당 메커니즘을 적용
-흐름이 다양한 편이고 문제풀이에 핵심이 되는 요소는 메커니즘의 적용이므로 거시적인 흐름보단 증감이나 인과를 정리하는 것이 좋음
-특히 손으로 써서 정리하는 것이 가장 잘 먹히는 제재
-증감과 인과를 손으로 충실히 정리해뒀다면 무지성 대입만으로도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음
-다만 이번 수능에서 기초 증감을 전혀 주지 않고 문제를 풀게 시켰으므로 기본적인 경제 개념은 이제 알아두면 좋은 수준이 아니라 필수
-비교대조를 요구할 때도 있는데(2011 BIS), 증감 및 인과 정보와 겹치면 상당히 까다로워지므로 유의
법
-특정한 법을 적용시키는 상황에 대한 이해(글에서 주어질 수도 있고, <보기>로 나올 수도 있음)가 주된 포인트
-비슷한 상황에서 적용되는 법들 사이에 비교대조를 시키는 경우도 많음
-어쨌든 원활한 문제풀이를 위해선 조건과 효과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이때 글에 예시가 주어졌다면 잘 활용할 것)
-‘뭐하는 법인가?’, ‘효력이 생기는 조건이 무엇인가?’, ‘어떤 효과가 발생하는가?’ 정도를 이해하는 것이 목표
-1911 법률효과 지문의 내용을 완벽히 이해했다면 이후 다른 법 지문을 풀 때 큰 도움이 됨 (기본적인 법률 용어에 대한 정의가 소개되어 있기 때문)
-경제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법체계에 대한 공부를 미리 해둘 것(분류, 상하관계 등등)
과학
-4가지 영역(물화생지)중 하나에서 출제..라고는 했지만 압도적으로 생명이 많음
-해당 분야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다면 유리할 수 있음
-그런데 수능에 과학 지문이 출제되려면 과탐 내용과 겹치는 부분이 메인이 되어서는 안 됨 (유불리 문제가 있기 때문에, 모의고사면 몰라도 수능에는 ‘절대’ 나올 수 없음)
-따라서 출제의 포인트가 과탐 내용과 겹쳐서는 안 되는데 너무 어려워서도 안 되고, 게다가 어려운 내용을 설명하려면 과탐 내용에 해당하는 기본 개념을 아예 무시할 수는 없으므로 출제자 입장에서는 머리가 깨짐
-결국 2011 레트로바이러스 같은 완성도 낮은 글이 탄생할 수 있음
-따라서 비교대조(생명일 때), 증감정리(생명이 아닐 때)만 잘해주면 어렵지 않음
기술
-상술한 이유로 과학이 출제되기가 쉽지 않으므로 기술이 상대적으로 자주 출제될 것
-글의 큰 구조는 기술의 ‘목적’과 ‘작동원리(순서)’만 파악해주면 장악 가능
-다만 글 중간에 뭐가 끼어들어갈 가능성이 높은데, 이를 찾아내는 것이 오히려 문제 풀 때는 더 효과적일 수 있음
Ex) 문제의 해결, 증감 정보, 비교대조 등
-결과적으로는 밀도 있는 지문을 만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힘들더라도 던지지 말고 천천히 전진하면서 독해하는 자세가 중요함
------------------------------------------------------------------------------------
여기까지가 제가 느낀 점들입니다.
요즘 개학 준비로 좀 바빠서 당분간은 칼럼 쓸 시간이 별로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아직 안뱉은게 많으니 시간나면 가끔 돌아올게요.
모두 화이팅!!
0 XDK (+11,200)
-
10,000
-
100
-
100
-
1,000
-
일단 3점 어려움.. 3점 뭐지? 11번부터 15번까지 뭘 못하냐에 따라 난이도가...
-
매월승리 0
tim하고있고 매월승리 같은거 풀어서 연계체감 좀 올리려 하는데 4호부터 풀면되나여
-
메디컬(의치한) 수입 비교 (의대, 치대, 한의대) 0
의머가 짱이긴 하네요...
-
잠오는데 피씨알 지문 읽다가 ㄹㅇ뭔말인지도 모르겟고 같은 문장에서 잠들어서 30분...
-
해설을 열심히 써야겠군
-
통곡의 영어 딕테이션 중인데 늘겠지ㅠ..?
-
점점 적응되니까 0
오르비 어떻게 해야할 지 알겠다 오르비언들이 좋아하는게 뭔지도 잘 알겠어
-
나도 그 소리에 넘어갔지만 지금으로서 넘 짜증남ㅋㅋ 진짜 약수저거나 집 잘사는거 아니면 절대비추
-
...
-
디씨 매물 나왔대
-
시발
-
점메추 15
속쓰려서 매운거말구..
-
23~27에 나오는 벡터는 다 맞을정도로 하고 28~30에 이차곡선 벡터 공도...
-
2011학년도 한양대 모의 인문논술에서 나온 지문임ㅋㅋㅋㅋㅋㅋㅋㅋ 정력왕 토끼 wwwwwwww
-
님들은 만약에 12
태어나기 전 과거로 돌아가서 자신이 이 세상에 태어날지 안 태어날지 결정할 수 있다면
-
바나나 지문(22년도 6모)을 풀었는데 이문제에서 1 2 3번은 바로 지워냈는데...
-
과탐 계속 갖고 가시는데 자기 목표가 연고 미만이라면 과탐에 힘주기보다는 국영수를...
-
점메추 24
-
왜메인에.. 5
치부를드러낸듯한.. 부끄러워서지웟어,,
-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입시설명회 안내]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
9모 대비 1
영어, 수학 9모 대비 모고 풀이 기출 vs 사설 모의고사 뭐가 좋을까요? 기출이...
-
에바임
-
현역 수학 고민 0
6평 미적 2뜨고 확통런 쳤는데 지금 아이디어 수1 수2 확통 다 듣고 기생집...
-
종이질 왜이래
-
내신 5등급대랑 정시 몇등급이랑 비슷한 대학 가나요? 9
바보같은 질문일 수도 있지만 수시가 비교적 더 높은 대학 가기 유리하단 말이 많아서...
-
빡T 펀더멘탈 맛보기로 25문제 풀어봤는데 이게 더 수ㅏ운듯뇨
-
ㅈㄱㄴ
-
형 다시간더
-
평가원 #~#
-
적중예감 3틀 실화…
-
.
-
생각도 못한 뉴스네 제발 첼시로
-
.
-
그럼 그걸 돈 주고 사기라도 하라는 말임?ㅋㅋ
-
요즘 대졸 초임 연봉은 얼마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나요? 1년차에 4천만원 정도면...
-
독학서 느낌으로 공부하고잇는데 강의 필수는 아니죠? 나중에 쇼츠는 들어볼거 같읍니당
-
문과) 서울대 vs 한의대 어디가 더 선호도 높음? 4
문과는 그래도 서울대임?
-
공부나 집중 해야겠다
-
글 한번에 싹 지울 수 있게 해줬으면 ㅠㅠ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앞으로 강평업만 딱 100회독 하고 수능들어갈 예정인데 국영수물지 다 만점가능하겠죠?
-
재수생에 화작러인데 작년 피램이랑 아수라 듣고 수능 3으로 마무리하고(원래 7등급...
-
다크모드 만들어달라고 허얘가지고 밖에서 쪽팔려서 못한다고
-
수학이랑 지구 모고를 풀어보려고 하는데 인강 강사들이 낸 모의고사와 교육청 시간이...
-
기숙학원 있다가 체력이 안좋아서 못버티고 나왔는데 스카 재수하려니까 일어나질...
-
현돌로 공부하는데 모르는 거 질문하려고 현돌옾챗 들어갔는데 다들 윤리1등급 뽕에...
-
드디어!! 시발점 수1 수2 완강했네요.. 고2인데 아직 부족하지만 그래도...
-
이미지 1
그냥 최근에 갑자기 필받아서 오르비 자주 하다보니까 궁금한건데 제 이미지가 혹시...
-
하수 : 런 중수 : 번장 or 유빈 고수 : 자급자족
선스후감
7ㅐ추

스크랩 해두고 읽을 만한 좋은 글이네요!
오 김상훈T가 그릿에서 정리해주시는 포인트랑 갱장히 비슷하네요…! 잘읽겠습니당ㅎㅎ북학론이 2211인가요 ?
21이죠
오타ㅈㅅㅈㅅ
도움 많이됐어여
와 사랑합니다 알러뷰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