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과 출신이 보는 기계공학 취업이 어려워진 이유.EU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765931
정확히는 기계공학 학부를 거쳐 대학원까지 졸업한 입장에서
기계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과목을 꼽자면
: 재료역학/ 동역학(물리) /(소음)진동 /열역학 /유체역학(열전달)
(소음)진동/동역학(물리)/재료역학-> 내연기관 자동차
열역학/유체역학(열전달) ->전 산업 분야
학부수준에서 다룰만한 과목 -> 재료역학/동역학/(소음)진동/
학부수준에서 다루기 어려운 과목 -> 유체역학(열전달)
자 이제 퍼즐이 풀립니다.
2015년 이전까지 기계가 넘사 취업깡패라 불리었던 이유는
2015년까지 자동차산업의 대표주자인 현대자동차가
학부수준에서 기계과 채용을 정말 많이 했기 때문, ( 소음)진동/동역학(물리)/재료역학-> 내연기관 자동차)
2016 이후로 산업트렌드가 전기차/반도체쪽으로 넘어가
기계의 전통 강호였던 내연기관 자동차 입지가 줄어들면서
현차를 필두로 산업에서 기계채용을 대거 줄이기 시작, 즉 수요가 줄어듬
하지만 여전히 유체(열전달) 전공자들에 대한 수요는 많음
그러나 열 유체의 경우 워낙 학부수준에서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학사가 아닌 석박 위주로 채용
따라서 기계 학부취업이 어렵게 됬음.
요약 -> 대학원 가즈앙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N제로 대가리 박아라 Vs 기출이나 해라
-
확실히 안 하니까 좀 까먹네 존나 겉핥기 식으로 배워서 그런지 고대 언어 기억이 지금 많이 날라갔음
-
1보다 2가잘맞는다<<<<이건 무슨말인...
-
후배 어머니께서 강은양+이감+상상을 동시에 지르셔서 지금 컨이 넘쳐난다는데 어떤...
-
개귀찮
-
Kice anal
-
시대 시즌3 0
언제 열리나요? 6모 끝나고 대충 6중순~말로 알고 있는데 이때가 서바 시즌인가요?
-
학원 빌려서 촬영하는중 16
캬
-
부탁드립니다 ㅠㅠ 사시는 곳 알려주시면 절 한 번 그쪽 방향으로 올릴게요 ㅠ
-
잘됐으면 좋겠다 15
정말 멋진 사람이다 나도 죽도록 공부해야지 서울대 경영학과 갈거야
-
서프 후기 10
14번 도형 22번 수열 감도안옴 풀이 시작을 못하겟음 20번은 왜 틀렸는지...
-
이미지T 미친개념, 어삼쉬사책 다 풀고 미친기분 완성편 나가려고 하는데 같이 풀 책...
-
오르비 수험생 분들 10
스마트폰 사용하시나요?
-
5서프 수학 1
84점. 14번 20번 22번 28번. 20번은 왜틀렸지 답이 23나왔었는데
-
육군 군수해보려고 하는데 탐구 과목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24 수능 국 수 영...
-
패드 안 가져옴
-
홈트로 대체
-
오르비는 이제 사시낭인들처럼 절규중이고 점점 좁아지다가 이제 어느순간 제로 되고
-
단순 수능때문만은 아니고 앞으로의 인생에 대해서 많은 생각이 듦
-
"XX살인데 ~~하기 늦었나요?" 드루와드루와정리해준다 4
저는 쓸데없는 말은 안합니다 결론부터 넣고 합니다 "안 늦었음" N수라는데 저 새끼...
-
수강후기가 많길래.. 독서는 김동욱 쌤 듣는데 일클에 문학 강의가 별로 없어서 ㅠㅠ
-
김범준한테 배운 쓰까뿡키한 접근들을 바로 적용해보고 싶은데 다들 스블끝나고 페메하래서 고민되는군
-
오르비 분들 19
수험생활 하시면서 하루에 운동 몇시간 하시나요?
-
www.youtube.com/shorts/KE6Dl2B5 곧 삭제될듯ㄷㄷ
-
수준이라는거 자체가 좀 말이 안 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너무 과분한 지원은 아닐까...
-
인설약 ㄱ 라고하고싶지만 한의대망한거 다알아서 지방한<<<<인설약 된지 오래네.....
-
naga 12
-
[스포가 거의 없지만 스포주의] 6모 대비 부엉이 모의고사 후기 17
우선 결과부터 말씀드리자면 저는 97분 소요, 96점(20번 틀렸습니다)입니다 저는...
-
재밌었다
-
젊은 날의 초상 0
진짜 명작ㅋㅋㅋ 재밌음 수십년전 순수재능으로 설대국문 입시에 성공한...
-
언매 질문 2
2019 고3 10월 14번 ”그곳에서는 빵을 아주 쉽게 구울수 있다.“ 에서...
-
미리미리 잡히지
-
하 비싼데 쩔수없다 질러야지
-
근래에 책읽기 시작해서 요즘 3,4일에 한권씩 읽는듯 지금 일본 소설(라이트...
-
딱 작수정도 난이도 였던 거 같은데....다양한 의견 부탁드려요
-
이감 3-1 풀어보신분 있나요?? 난이도 어땠나유??
-
잘게용 ㅂㅂ
-
다?행히 오늘 오르비는 11
어제처럼 만큼 개판은 아니네 편하게 쉴수있겠어
-
둘 중 한명이 오는데 한명 고졸 한명 설대 첨융 제발 후자 와서 내 군수 도와줘...
-
작년 경한 인문은 진짜 극악무도했음게시글 주소:...
-
약잘알 계시나여 2
낮에 타이레놀 500 2알 먹었는데 약 잘 안듣고 계속 아파서 지금 애드빌...
-
발산
-
어쩌지 4
.
-
1학년 1학기 내신이 2.35이고 2학기 내신이 2.45인 상황에서 2학년 1학기...
-
뭐했다고 6모임?
-
결막염 걸렸어 0
눈곱 ㄹㅈㄷ
-
5모 미적 27~30 다 틀인데 확통 가는 게 맞겠죠 14
재수생입니다 솔직히 처음 하는 과목이라 떨리는데 그걸 무시할 만큼 확통을 선택하는...
21세기엔 대학원이 필수가 된듯함...
놉, 전기전자/컴공이면 학부만으로 프리패스.

전 그게 아니라..."직무적합" 스토리 내놔
요즘 보면 시대의 메인스트림이 아니면 학사졸 그냥 취업이 너무 힘든 듯...
"직무적합" 스토리를 짜야죠...
전기전자/컴공 -> 직무 적합 없어도 대기업 자소서 돌려막기 ㄱㄴ
기계 화공 등등 -> 자소서 돌려막는 순간 서류탈 on
석사 후에 진로를 어떻게 설계하시나요?
글쎄요... 정답이 없기 때문에
기계학우들이 많이 힘들어 하죠.
기계공학과는 짬뽕학과라고도 볼 수있습니다.
깊이는 얕지만 범용성은 탁월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왕도가 없죠.
그래서 최근 왠만하면 학부수준으로 모두 커버되고
주어지는 기회가 많은 컴공/전자공쪽으로 쏠리는 것이구요.
학부에서 기계 하셨으면 대학원에서 전자쪽으로 짬뽕? 할법도 한데 대학원도 계과 가신건 순전히 학문적인 흥미때문 인가요?
당연히 대학원은 전통 기계계열이 아닙니다!
아 ㅋㅋ 역시 그냥 무난과 공대학부 나왔으면 석사는 수요많은 전컴쪽 가는게 맞나요?
전자공쪽으로 가는것은 사실 난이도가 상당할거에요.
학문적으로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그나마 컴공이 진입장벽이 낮은편이고
컴공의 "향기"를 접목시켜 대학원을 갈때 그 분야는
제어쪽이라고 생각 드네요.
문과랑 달리 이과 특히,
공대는 과가 다르면 인생도 달라지는게 이 때문이에요.
너무나도 다릅니다.
바이오메카트로닉스, 나노메카 뭐 이런식의 융합학과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기계,전전,나노 뭐 이런 학문들이 다 섞여있어서 특정 원전공 만큼 아주 깊게는 못 배우겠지만 어쨌거나 여러 학문의 기초적 베이스들에대해 두루두루 인지하고 여기서 더욱 특정 전공에 전문성을 갖고 싶다면 석사나 복수전공을 통해서 능력을 좀더 배양한다면 뭔가 스토리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어떻게 보시나요?
저는 괜찮다고 봅니다.
하지만... 너무 특정 산업분야에 쏠려있는게 문제라면 문제겠지요..
자동차도 문제지만 중공업,건설플랜트가 무너진게 가장 큰거 같아요. 중공업+건설엔지니어링+자동차기업들이 기계과 쓸어갔었는데
맞습니다.
열유체 cfd ptsd 오네요 ㅋㅋㅋ.. 수렴안되면 그때부터멘붕
혹시 중대 기계와 경희 전컴이 붙으면 기계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필드가 안좋을까요..? 중대가 더 높지만 글을 읽어보니 과의 to 차이가 상당한거 같아서요..
field에서 공대 평가자체는 중대가 더 좋긴 하지만
평가가 채용시켜주는것이 아니죠.
경희 전컴이 기회가 더 많을것 입니다.
진짜 좆됐구나 뭐해먹고 사냐 씨발 ㅋㅋ…
갈 곳은 많습니다.
다만
전자전기의 향을 곁들인 기계공학출신->반도체
화학공학의 향을 곁들인 기계공학출신->배터리
산업공학의 향을 곁들인 기계공학출신->공정
가 되어야겠지요..
이제는 학사에서 기계과만으로 갈곳은 설비기술쪽밖에 안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