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곰달편 [518827] · MS 2014 · 쪽지

2014-12-18 23:16:00
조회수 424

(사진) 가정법 과거/현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293417


(해석이론 수능편4 155p)

5번

the talent you may never ( ) you possessed

재능인데 무슨 재능이냐면

네가 아마(가능성 있음)

절대 (부정)

가지고있었다는(과거)것을


be realized
깨닫지 못하게될

have realized
깨닫지 못했었을


1번은 왜 안되는것인가요?

둘다 의미상 맞지 않나 싶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영웅샘 · 544502 · 14/12/19 19:38 · MS 2014

    젠장 중간에 전화가 오는 바람에 댓글이 날라갔네^^

    이건 앞에 질문과 다르게 완전 실망이다!!!

    be + p.p가 오면 뮌지 모르는 있는 건 절대 아닐텐데....

    그래서 구문이나 문법 공부에서 제일 중요한 <발견의 논리>, <문법적 판단력>이야...

    수동태와 완료형의 차이를 묻는거잖아...

    realize가 깨닫다는 뜻으로 사용될 때는 3형식 문장구조를 취하잖아...

    그렇다면, be realized 로 수동태를 구사할 경우에는 뒷부분에 목적어가 남을 수 없는거지

  • 백곰달편 · 518827 · 14/12/20 00:58 · MS 2014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백색왜성 · 426271 · 14/12/19 21:10 · MS 2012

    우리말로 '깨닫게 되었다'라고도 많이 쓰여 더 혼동이 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또 be realized, have realized 형태가 비슷하여 헷갈리시는 것 같은데
    수동태냐, 능동태냐를 묻고 있는 문제네요..

    realize가 '깨닫다', '인식하다'라는 뜻으로 쓰일때는
    주어(인식의 주체)+realize (타동사)+목적어(인식한 대상)의 3형식으로 쓰입니다.
    수동태로 쓰일 경우, 주어(인식한 대상)+be realized인데
    위 문장에서 수동태가 올 경우, 인식한 대상은 you가 되고
    문장구조상 talent가 들어갈 자리가 없습니다.
    능동태로 쓰여서 you가 talent를 인식했다고 해야 문장구조가 설명이 되네요.

    앞에 talent라는 명사가 있기 때문에
    뒤에는 불완전한 절이 와서 앞에 talent를 수식해 줘야하는데
    수동태가 오면 문장 성립이 안되잖아요..
    능동태가 오고 목적어 자리가 비어있는 타동사가 와야 문장구조가 설명이 되네요.

    다른 질문에 댓글 단 문제와 같은 형태네요..
    N N be p.p (x)
    N N Vt (o)

  • 백곰달편 · 518827 · 14/12/20 00:59 · MS 2014

    자세한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