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II 8번에 관한 국내,해외 과학자들 의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076659
이번에는 한겨레에서 심도있는 취재를 해주었군요.
내용이 길어서 요약을 좀 하자면
1. 일부 언론보도와 달리 교과서에는 정확하게 서술되어 있음. 우리 교육현장에서의 문제도 아님.
2. 8번 문항의 오류는 오타 같은 단순 실수에서 온 것으로 보임.
3. 국내,해외 생명과학자 의견
국내 생명과학자
"고교 교사들 가운데 이해도가 최소 대학 수준은 되는 사람들이 출제를 하게 하거나 해야지... ㅠㅠ"
"전에 트윗에도 적었던 기억이 나는데, 한국의 고등학교 생물학은 실제 생물학이 아니고, “저들만의 이상한 학문”인 것 같더군요. ㅠㅠ 어떻게 하면 바로 잡을 수 있을까요? ㅠㅠ"
"보기 ㄱ은, 논리학이나 수학에선 맞는 문장일지 몰라도, 생물학에서는 틀린 문장입니다. ^^"
"...조절유전자에 결합한다는 표현도 엉터리 소리이긴 하죠. 조절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것이니...그렇지만 젖당의 존재 유무와는 무관하게 결합을 한다는 점에서 <보기 ㄱ>에서 “젖당이 있을 때 결합한다”는 설명도 틀린 거죠."
"그러니까, 출제자가 잘못 출제한 문제가 아닌 겁니다. 그냥 워드프로세서 입력 오타인 거죠. 이해 부족으로 잘못 출제한 문제도 아님. 그냥 오타임. ㅠㅠㅠㅠㅠㅠ.. 오타설은 설이 아니고 명확한 사실인 것 같습니다."
해외 생명과학자
"하여간 문제가 좀 이상하다고 말할 밖에요. 젖당이 있을 때 안 붙는 건 아니니까 (논리적으로는) 틀린 문장이 아니거든요."
"유전자에 중합효소가 붙는다는 표현도 저한테는 참 어색하게 들리네요. repressor(억제 단백질)가 operator(작동부위, 작동자)에 붙는다, 이런 식으로 말하면 몰라요. 중합효소가 유전자에 붙는다? 한참 어리둥절했어요. 그래서 그 조절유전자가 lacI 유전자(젖당분해 억제 유전자)가 아니라 다른 건가 싶더라구요."
"저도 뭐 애들 가르치고 시험문제 만들고 하는 사람이지만, 아이들이 이해하고 있는지 테스트하는 시험문제는 딱 핵심만 명확하게 물어 보면 된다고 봐요. 이 오페론에서는 젖당이 있을 때와 없을 때 lac repressor(젖당 분해 억제 단백질)의 작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만 물어보면 되는 건데 싶네요."
"그 오타의 가능성은 제가 한참 전에 저 위에 써놓았던 것. ㅎㅎ 근데 뭐 추측일 뿐이니까요. 근데 오타를 가지고 아니라고 우기는 게 말이 될까요? 만일 그렇다면 참으로 어이없는 상황이죠. ㅎㅎ"
생명과학을 공부한지 꽤 오래된 저로서는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잘은 못옮겻습니다.ㅎㅎ
관심있으신 분들은 위 링크 가셔서 자세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결론은 출제자의 오타로 보이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크럭스 컨설팅 예약 필독 가이드 안녕하세요, 크럭스(CRUX) 컨설팅 입니다....
그게 더 한심
오타라니 ㅋㅋ학교내신인가 ㅋㅋ
딱 개인이 자작모의 만들면서 할만한 실수때문에 이런 사단이 난 건가욬ㅋㅋㅋㅋㅋ
설마 오타때문에 그랬겠어요 출제진 교수님들도 문제 한번쯤은 풀어봤을텐데 오타가 안걸러졌을리는 없을거같은데ㅋㅋ
오타로 보면 진짜 깔끔하게 잘 떨어지니까요ㅋㅋ..
어이없긴 해도 차라리 오타이면 출제위원들 실력은 인정해드릴 수 있어요
컴퓨터는 잘 못하나보다 하지만
진짜 문제 결함이면 출제위원 자질에 문제가 있다는 얘기니까요ㅠ 저도 오타였으면 좋겠습니다.
기승전병가원
"저도 뭐 애들 가르치고 시험문제 만들고 하는 사람이지만, 아이들이 이해하고 있는지 테스트하는 시험문제는 딱 핵심만 명확하게 물어 보면 된다고 봐요. 이 오페론에서는 젖당이 있을 때와 없을 때 lac repressor(젖당 분해 억제 단백질)의 작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만 물어보면 되는 건데 싶네요."
이게 진짜 출제자의 마음가짐아닐까요? 왜 저딴걸 내서 스스로 무덤을 파시는지...
진짜 이번 생2는 문제를 꼬으고 꼬으고 또 꼬은게 눈에 보였음 풀면서 헉소리 난 문제가 한두개가 아니였어요
님 대학생이신가요?
네 사회과학 분야 전공자입니다ㅎ
수험생인줄 알았네요ㄷㄷ 대학생이셨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