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적 철학연구자 소개 및 창조 경제 시대에 걸맞은 교육 개혁안(학생의 인권 보호를 통해 창의성과 열정 살리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17784
[이 글을 올리는 이유]
1.현행 대입제도는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고 개인의 열정과 창의성을 파괴하고 있음을 논증.
이는 대입제도 비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권 보호를 통해 인간의 창의성과 열정 살리기에 근본적 의의가 있습니다.
개인의 존엄을 알리고 창조 경제 시대에 걸맞은 교육을 제시한 글
http://blog.naver.com/wholesavior/220113540259
다소 거친 내용도 있으나 저는 교육부, 대학 입학처와 원수가 되고 싶지 않습니다. 그동안 한국은 '제조 국가'의 역할을 해왔기에 대입제도 역시 이에 합당한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이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창조 국가'로 도약해야 할 시기가 왔으며, 이 글이 새로운 정책 형성에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2.전문성에 기반을 둔 혁신적 철학 소개 및 실력에 합당한 연구 환경 찾기.
자기소개서 : https://www.dropbox.com/s/dwvwq8b3zwj86d0/%EC%9E%90%EA%B8%B0%EC%86%8C%EA%B0%9C%EC%84%9C.hwp?dl=0
(현재 원서 접수를 마친 상황입니다.)
극히 제약된 자소서 양식에 철학 탐구 이력을 적다 보니 다
소 밀도 있는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여러 커뮤니티에 올려보니 철학에 큰 관심을 지녀온 분들 중에는 제 자소서를 굉장히
감명 깊게 읽으신 분이 많았던 반면, 철학을 별로 공부하지 않은 분들 중엔 이런 글을 입학사정관이 이해할 수 있을지, 이런 글을
읽어보기나 할지 의문이라는 비판을 한 경우도 있습니다. 제 선에서 이 비극을 방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최대한 이
글을 널리 퍼트리는 것 정도일 것입니다.
다소 밀도 있는 글을 쓸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기를 들 권리를 박탈 당했기 때문입니다. 본인은 비고교생이라 내신이 없으니 소논문을 학력 입증 자료로 제출하려 했으나 이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는 학교생활기록부라는 창과 내신이라는 방패를 든 병사들과 맨손으로 싸우라는 격이며, 이 글과 자소서는 절권도에 해당합니다.
p.s1 : 아직은 입시생의 다수가 주어진 룰에 순종하는 '제조형 인간'이라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파괴적 혁신의 길은 아직 소수자의 길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소수자 인권을 위한 창의 전형', '맞춤형 대입제도'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소수의 창의적 인재에게 특권을 주라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최소한의 생존권을 주라는 것입니다. 이 말이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 역시 '소수'라는 점이 안타깝습니다. 이런 주장은 배부른 소리거나 성격적 문제로 비춰지기 쉬운데, 실제론 타당하고 절실한 근거가 있습니다. 창의적 인간에겐 자신이 강렬히 원하는 공부가 있기 때문에, 그것이 아닌 독재자가 강제하는 공부를 하는 것에서 엄청난 심리적, 정신적 타격을 입으며(사랑하는 연인이 있는데 다른 사람과 사귀라는 요구가 폭력인 것과 같습니다.), 자기가 원하는 공부를 할 때 천재적인 재능을 발휘하는 유형입니다. 제가 그간 살펴본 바에 의하면 영성적(예술적) 성향이 있는 창의적 인간이 이런 유형입니다. 스티브 잡스, 아인슈타인, 이소룡 등이 이 유형에 해당하며 이
들은 우주와의 합일 체험을 논하거나 명상 수행을 실천한 인물입니다. 반면에 영성적(예술적) 성향을 느끼기 힘든 빌 게이츠, 마크
주커버그, 엘론 머스크의 생애를 보면 비교적 시스템에 잘 적응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 철학자 중에는 들뢰즈가 영성적(예술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에 속하며, 그는 대입제도가 완전한 창의성을 지닌 프랑스에서 자라났기에 대입제도로 인한 부조리를 느끼지 않아도 되는
축복을 누리며 원하는 학문 연구에 전념하여 최고의 철학 혁신가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모바일에선 vimeo.com/106627209 로 재생하세요.)
글을 상당 부분 수정하여 재업로드 합니다. 메시지는 wholesavior@naver.com이나 블로그, 페북으로 남겨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제 아이 두 명 낳고 키워야지
-
난 30살 때 뭐할까 10
전공의라는 나쁜말은 ㄴㄴ
-
?ㅡ?
-
수능 준비하실때 평소 카페인관리 어떻게 하셨나요,,, 현역이인데 너무 졸려서 카페인...
-
수학인데 학습지 수준이 교과서 기본문제 수준임 제일 어려운거가 학평 준킬러보다 살짝...
-
112 타고 그냥~
-
20살 N수생, 뒤늦게 정시 시작했습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안녕하세요. 올해 자퇴하고 이제서야 제대로 정시를 준비하게 된 20살입니다. 사정상...
-
두분 부부시다
-
전 94년생이에요 22
와 디지몬!
-
유리한데이 국어 0
유리쌤한테 과외받고 싶다
-
저는 96년생이에요 12
그리고 저는 사실 의대생이 아니에요
-
97이면 4
현역으로 갔으면 16학번이라는 건데 06들 그때 초4잖아 ㅅㅂ
-
시대인재 강사컨 0
양치기 느낌으로 강의 안듣고 강사컨만 풀어도 괜찮나요?? 김현우t나 장재원t 공통 생각중입니다
-
긴장해라 “시대인재”
-
굳이 인스타로 저러고 있는건 좀 의심해봐야하긴 함
-
1년 더하면 잘할수 잇을 거 같은 생각이
-
자꾸 옆에서 아이패드로 롤 유튜브봄 ㅈㄴ 신경쓰임 그 사람의 청춘이 아깝다는 생각을 했어
-
아까 자각몽 꿨음 26
꿈인 걸 알았는데 내 마음대로 움직여지고 안 깨더라
-
콧물 계속 나오네 16
민폐여서 잇올 나왔어
-
몫의 미분법까지 들어가는데 뭘 풀어봐야되지 걍 무등비 삼도극 벅벅 풀어야되나
-
공부안해 5
공부그런거몰라
-
바지를 안 입어서 그런가
-
[신춘문예] N수생들을 위한 시 (단, N ≥ 2) 9
벚나무 꽃잎 세상에 노래해도 귓가에 맴도는 겨울은 이명 만발하는 장미꽃 장맛비에 푹...
-
열에 아홉은 순하게 생겼다고 하는데 가끔가다 한명이 무섭게 생겼다고함 (무섭게...
-
그리고
-
읭??
-
생윤사문 걍 너무재밌네 진작에할걸
-
저메추받음 4
부탁함다들
-
서울대 가려고 투과목했다가 떨어진거임???
-
으악
-
검을테면 철저히 검어라 단 한개의 깃털도 남기지 말고
-
아니근데너무졸림 3
어캄
-
1학기때 3.0은 나와야 되는데 그래야 2학기때 수능 공부하면서 1점대 맞고 딱 2...
-
쪽지 주세요 ! 현우진 뉴런 김범준 대성마이맥 메가스터디 메가패스 강민철
-
잘잤다 6
나 집까지 어케 온거지 기억도 안나네
-
진짜 뭐지
-
킬링캠프 2
현우진 킬링캠프 3모기준으로 몇점정도부터 풀면 도움될까요?
-
시작 전에 제 개인적인 생각임을 미리 밝힙니다. 사전을 찾아봐도, 국립국어원 답변을...
-
2일 연속 떡볶이 먹어서 그런가 걍 웬만하면 당분간 굶어야겠음
-
맞팔구 1
한명이 팔취함 80은 유지해야됨
-
일단 병인양요랑 유럽짱깨 있는데 유럽짱깨는 걍 인터넷발 억지여론이고 잘 모르겠네...
-
파키케팔로사우르스임
-
식곤증 안오게 샐러드 마려운데 걍 백양누리갈지 고민되내
-
각잡고반수하기 0
슈웃
-
프랑스도 한국 안좋아하겠지만..... 뉴스 댓글보니까 부정적으로 보네 하긴...
-
ㅇㅂㄱ 0
기상
-
기파급 영어 1
서점에 파나요? 상하 둘다 사야하나요?
-
누굴 뽑아야하나 1
이미 글러쳐먹었지만 출산율 문제 해소 할만한 정책 구상 가능한 인간 뽑고 싶은데
-
본인의 눈치로는 쭉 보면 3사 다 쓰고있는거같은데 직원한테만 주나
12년간 수능에 매진한 학생보다 재능과 가치가 있는 인재는 대학에서 대려가지 않을까요?
국민이 인정할 정도의 천재들이 고등학교기록 없이 대학에 들어간 전례는 있습니다.
그 분야에 재능이 있고 의미있는 활동을 한다면 학회에서 교수들이 앞서서 도움을 줍니다. 그 도움에는, 교육과 연구참여 그리고 대학입학 추천서도 예외는 아닙니다.
한때 어린나이로 학회에 있었고 지금은 더 재밌는 일을 하고자 다른 길을 걷는 사람으로서 하는말입니다.
아는 교수님들께 도움을 구해보시기바랍니다.
철학하는데 서울대가, 해외 명문대가 필요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