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공부법] 경우의수 어려워하는 분들에게 간단한 Tip 13
국어 - 영어 - 수학 각각 시험지 A와 B로 총 6개의 시험지를 제출해야합니다....
-
공부하기 좋은 계절이군요. 영어공부법, 영공쌤이랍니다. 제목이 조금...
[수학공부법] 경우의수 어려워하는 분들에게 간단한 Tip 13
국어 - 영어 - 수학 각각 시험지 A와 B로 총 6개의 시험지를 제출해야합니다....
공부하기 좋은 계절이군요. 영어공부법, 영공쌤이랍니다. 제목이 조금...
밋딧이 저정도 평가 받는구나..
문제 난이도는 수능보다 어렵죠.
상대평가라는게 문제지. ㅋㅋ
낮게 평가된단 의미인거 같은데
우리 아버지가 기술사셨는데 헐 저렇게 높은거였어?
사법고시는 여러개 틀려도 되지만 9급은 하나만 틀려도 당락이 결정됨 고로 9급 > 사시
그 짤방이 보고싶은데
자기 9급 합격했다고 의사 친구 콧대를 눌러버리겠다는 사람도 있었음ㅋㅋ
이거만든사람 개념이없네
건축사가 왜이렇게 낮아.아버지가 건축사 기술사 두개 있으신데 건축사가 훨씬 어려운거라고 그러셨는데
건축사가 70~80년대 따기 쉬웠다? 그냥 웃음밖에...지금이랑 비교해서 응시자격 훨씬 까다롭고 인원수도 엄청조금 뽑았는데..
YS이후로 엄청나게 인원수 늘리고 응시자격 제한 조금 풀어서 예전보다 그나마 쉬워진건데
이거 만든 사람 도대체 어떤사람인지...
건축기사랑 건축사랑 햇갈린건가
동의
걍 자기마음대로, 쓴글인듯.
건축사 응시자격은 아마 저기 적혀있는 시험중엔 가장 까다로울거에요
단순히 학점 몇점 채운다고 되는것도 아니고 5년제 건축과 졸업 + 5년 실무경력 ;;
교정직은 어느 정도인지 혹시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교원임용은 좀 어이없네요;
단순히 시험 난이도만 따진다고 했으니 뭐 그렇다쳐도(절대 만만한 시험은 아님)
to가 쥐꼬리만큼 나는 현실에서 시험난이도는 의미가 없음;
조금 예전에 만들어진거라 최근의 to는 고려되지 않은듯
저 많은 시험들을 다 경험해 본 사람이 아니고서야 어떻게 저렇게 수치화까지 해 가면서 상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는지 의문이네요.
저기서 몇개 깔짝거리고 공부해봤는데 얼추 맞는거 같기도 한데..
저기 난이도라는게 붙기 위한 난이도가 아니라 시험 내용의 난이도인듯하네요.
ㅋㅋ 고승덕의 위엄
무슨 기준으로 만든건지 ㅡㅡ; 그닥 신빙성있는 자료는 아닌듯하고
의사국가고시, 치과의사국가고시, 한의사국가고시는 다 어디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