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삭] #3 연세대학교 논술첨삭 3호 (文돌이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836049
文돌이님 #2.pdf
文돌이님 논술 첨삭 #2.pdf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증해주세요 0
으흐흐
-
뭔 포경잦이랑 노포잦이 느낌이 어쩌니저쩌니 노포라서 섻으할때 팍식었다느니 난리가...
-
ㅇㅈ 0
배고파지는 짤
-
매월승리 0
저만 이렇게 왔나요..
-
unh줍느라 돈없는데
-
ㅇㅈ메타임!!? 4
오
-
문돌이 보는거
-
6천원떨어짐
-
ㅇㅈ 4
ㅋㅋ
-
테슬라는 오늘도 0
흘러내리는구나
-
윗배는 엄청 아프고 그와중에 속도 갑자기 안좋아져서 아무것도 못하고 있었는데 마침...
-
프본이에요 8
반가워요
-
배고파요 3
어떡하지 잠 못자겟어
-
과외 마지막 수업이라 잘 해야함 다시 연습하고 가야지
-
하 내일 병원 데려가보긴 할건데 너무 늦게 알아서 미안함…
-
오르비에 ㅇㅈ하면 일단 도용인가? 의심부터 하게됨 저런 사람이 왜 여길...?...
-
ㅇㅈ 10
학원에 이거 가져가서 풀엇음
-
옆자리는 항상 공석입니다.
-
고1인데 수특으로 독서하는거 어때요?
-
미치겠네 2
이제 3만원이 1시간으로 보이는경지에 다다랐다 과외가 날망쳤어
-
잘자고 3
난 안 자고
-
수학잘하고싶다 1
경제학개론 A+인데 경제통계학 C+인 사람이 있다?
-
근데 본인 여미새인거 15
티 남..?
-
ㅇㅈ 6
셋다 저에요.
-
난 지우려고 했는데 너무 많아서 못 지움 귀찮아져서 딱히 찾아 보지는 않음 인생네컷...
-
몰려오는 그 공허함이 좀 힘든 듯요 쉬는게 아니라 약간 현타 비슷하게 옴
-
수능 다 맞으면 7
오르비 여러분들을 잊지 않을게용 와하하
-
생2 1
이서준t 피셜 기숙까지 합치면 시대재종에 400명정도 예상된다던데 올해는 생2까지...
-
혼자갈건데 풍족하게쓸거면 30?
-
성불한사람들 재미로 수능보는건 정시러들한테는 호재네 2
어차피 정시는 등급 안보잖음 그사람들이 실제로 지원만 안하면 수시이월 많아져서...
-
나도 수능에 물들엇구나..
-
답답하다 2
기출푸는건 노잼인데 실모풀기엔 실력이 딸려 뭐해야하지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맞팔하실분? 4
a moo na
-
나도 ㅇㅈ하고 9
싶은데 특징이 뚜렷해서 특정각임 오르비에선 못할 듯
-
근데 사실 11일임
-
아으 무서운 사람들
-
좋게좋게 생각하기
-
전적대 아쉬움 한풀이 Let's go 이제 군대 갔다오면 진짜로 20대 중반인데...
-
반수의지가 불타오르는중
-
국빱빠워로 힘차게 수학 기출 풀기
-
일단 전 정시충이고요 덧니랑 3급 부정교합 조금 있어서 교정 생각중임 비발치까지는...
-
역시 난 개찐따야
-
30분동안 점유소유한 동생은 #~#.
-
학교 선배한테 연락옴요…. 다들 새터오티 안가도 아무도 존재모른다고해서 걍...
-
지금까지 한 일 술마시고 전화해서 울기 그러고 다음 날 또 전화해서 맨정신으로...
-
비용 수백 수천 들고 시간 수백시간 필요하고 건강도 안 좋아짐 웬만한 고급취미 저리가라 할 정도임
-
저도 듣고싶어요
-
갱상도 남자처럼 살짝 무뚝뚝함 그렇지만 사투리 때문에 애교가 많아보임 나한테 싫은...
-
그 전에 나한테 먼저 공격하라 날 없애야 오르비를 공격할수있다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4831581
이 글에 의해 첨삭 신청을 받아, 무료로 첨삭된 글들입니다.
9월 모평을 보신 여러분들 너무 수고 많으셨고 남은 한달가량 논술준비하시면서
첨삭을 통한 평가가 필요하시면 쪽지로 신청 받고 있습니다.
위의 기출문제를 풀어보신 분들은 다른 사람의 글을 보면서 자신의 글과 비교하고,
제가 첨삭한 부분들을 자신은 잘못하지 않았나 확인해보시면서 공부하시면 큰 도움이 될겁니다.
2번씩이나..! ㅋㅋ 감사합니당 ♡
또 필요하시면 말씀하세욥 ㅎㅎ
제가 2번 첨삭 맡기면서 매번 대응쪽에서 약점이 보이는것 같은데..
대응을 잘 하기위한 일종의 팁??같은거라도 있을까요??
논술을 체계적으로 배웠던 적이 없어서그런지 방법론 같은게 안 세워져 있는것같아요 ㅠㅠ
대응이라는 발문자체의 이미지를 머리속에 그려보세요.
항상 A라는 관점에서 B를 바라보는게 대응의 이미지입니다.
지금 글을보면서, 대응 자체는 되는데 문제는 근거서술에서 부족한 부분이 나타나거든요. 단순하게 일치 불일치 뿐만이 아니라 왜 서로 다른 제시문 끼리를 바라보는것을 출제자가 의도했을지를 생각해보시면서 풀면 됩니다. 그러면 공통된 관점이라는 하나의 기준이 나올거에요. 이 기준에 맞춰서 대응하는 느낌을 가져보세요.
1. 근거서술은 제시문 안에서 그대로뽑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제시문보고 추론해서 쓰는게 나을까요?
2. 공통된 관점이라함은..? 발문에서 '새로움을 받아들이는 다수의 역할'이라고 나와있는거면 그게 기준인건가요?
1. 제시문에서 뽑아야되요 지나친추론은 비약으로 이어집니다.
2. 네 그런셈이죠 ㅎㅎ
아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