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기능론 갈등론 너무헷갈리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96988
몇몇 기본적인 틀은 알겠습니다 근데 세부내용으로 들어가면 진짜 약간 변형해서 해석해야하는것도 많도 골치아퍼 죽겠네요 예를들어
갑은 기능론적 관점에서 다문화 사회의 갈등요인을 파악한다 . 갑은 다문화사회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요인은 이주민의 재사회화를 위한 교육체계가 미흡하였기때문이라고 본다
여기서 왜 재사회화를 위한 교육체계가 미흡한게 문제라는게 기능론적 관점인지 도저히 아무리생각해도 이해가안되네요 재사회화를 통해 개인을 사회에 적응 시키는건 기능론적 관점이맞다는건 알겠는데 교육체계가 미흡하단건 개인이 아니라 사회의 문제를 강조하는 갈등론적 관점에 가깝지않나요.. 너무머리아프네요 이문제 속시원한 풀이 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사회를 중시하는건 기능론과 갈등론이 거시적 관점에 속하기 때문에 모두 맞습니다.기능론은 사회의 각각의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잘 조화되고 역할에 따라 제대로 이행되는걸 중시하져 또한 그 사회의 구성요소는 개인 뿐만 아니라 교육 체계도 당연히 있는거구여 따라서 틀린 선지가 아닌거같네염
재사회화를 위한 교육체계가 미흡하였기 때문이라고 본다가 맞는 이유는요
윗분이 말씀하신대로 기능론은 사회의 요소이 제대로 작용할경우 사회문제등이 해결 될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니 교육체계가 올바르게 잡혀있다면 =사회적 장치들이 올바르게 작용한다면
갈등은 해결된다는 기능론적 입장이 맞는 것이지요
만약 갈등론적 입장이라면 다문화사회에서 갈등이 발생하는 요인은 교육체계가 이주민을 배제하는 정책이기 때문이다. 정도가 되겠네요 . 그러므로 아예 싹 바꿔버리자 라는 식의 지문일 경우 갈등론으로 해석할수 있겠지만 이런식으로 문제를 내면 골치가 아프므로 생각할 필요는 없겠네요
교육체계가 제 기능, 제 역할을 못한 걸 까니까 기능론이요. 그리고 기능론도 거시적인 관점을 가지기에 사회의 문제를 강조합니다.
아래 역할갈등 질문하셨던 거에 코멘트 달았는데 질문글도 따로 있었네요ㅎ
기능론을 미시적 관점으로 생각하셔서 자꾸 헷갈리시는 거 같은데.. 기능론/갈등론은 둘다 거시적 관점입니다.
둘의 중요한 차이점은 기능론은 현 체제를 지지하는 보수적 관점이고, 갈등론은 현 체제를 유지하는 룰 자체가 기득권에게 유리하게 짜여져있는 게 문제다(고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체제 자체를 갈아엎어야된다) 라는 점입니다. 사회문제를 강조하는게 갈등론인게 아니구요..
둘 다 사회 문제 강조해요 거시적 관점이라
기능론은 어느 부분이 잘못되어 그 부분만 고치면 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갈등론은 어느 부분이 잘못되긴 했는데 그건 기득권층이 자신의 권리 보장을 위해 수를 쓰다보니 잘못된거라 더 근본적인 사회 개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