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만하자 [331670] · MS 2010 · 쪽지

2014-03-25 22:18:58
조회수 1,256

제 친구가 이과를 무시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47335

사회탐구에서 세계사나 법과정치 경제같은건 바로 실생활에서 써먹을수있는


유용한 배경지식인데 과탐은 도대체 실생활에서 어따써먹냐고 자꾸 장난식으로까는데


자꾸까니까 기분이상합니다. 근데 생각해보니 확실히 상식이나 교양같은건 사회쪽인거같아요 특히 역사말이죠


강의듣다보면 역사에 관련이없는 강의여도 교수님이 역사얘기를 할때가많은데


상식이나 교양으로 과학지식이 나오는상황은 잘 없었던거같아요.


생1,2배우는데 생물학자를 하거나 그쪽전공으로 나갈거아니면 정말 살아가는데 대부분 쓸데없는지식같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상식,교양면에서는 사탐>>넘사>>과탐?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losetoU · 439486 · 14/03/25 22:21 · MS 2019

    사탐이나 과탐이나 둘 다 유용하죠 부등호를 쓸 필요가 있을까요

  • 민지 와쪄염 · 243365 · 14/03/25 22:21

    컴터랑 스마트폰 쓰지 말라 하세요
    애초에 실용성으로 싸우면 법 상경 제외하고 문과가 쳐발림

  • 꾸준히만하자 · 331670 · 14/03/25 22:31 · MS 2010

    그런게아니라...
    우리가 편하게사는건 과학의발전덕분은맞는데
    정작 이과들이 실생활에서 과학지식을 써먹을곳이있냐는거죠ㅋ
    문과는 어느정도 실용성이있는데말이죠
    저만공감가나요 ㅜ과학지식배우고 전공강의말곤써먹는곳이없네요

  • 래인 · 415048 · 14/03/25 22:23 · MS 2012

    지구과학 배워서 써먹고 화학생물 배워서 써먹고 하시면 될듯...물리도요!

  • ✨VENU · 448229 · 14/03/25 22: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프풋 · 425306 · 14/03/25 22:25 · MS 2018

    보통 반대아님?
    수학땜에 맨날 놀림받는데 ㅠㅠ

  • jaehunny · 416276 · 14/03/25 22:33 · MS 2012

    문과 까는 이과는 많이 봤는데 ㅋ

  • 무거운눈꺼풀 · 483422 · 14/03/25 22:33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parksocool · 474313 · 14/03/25 22:35 · MS 2013

    ㅋㅋ 그런거 배워서 실생활에 써먹어보라고하세요 어디까지 쓸수있을지 궁금하넹ᆢ

  • 하야로비. · 467127 · 14/03/25 22:35 · MS 2013

    뭐 논제 자체가 이상하긴 하지만
    보통 이과가 문과 까는게 더 많지 않나요?

  • asos · 478820 · 14/03/25 22:38 · MS 2013

    생12 물12 화12 교양인이라면 당연히 알아야할 지식들입니다 ㅎㅎ

  • 시발점 · 418219 · 14/03/26 00:35 · MS 2012

    지구과학 ㅠㅠㅠ

  • 2474797s · 496757 · 14/03/25 22:43 · MS 2014

    사탐이나 과탐이나 실생활에서 써먹긴 둘다 도토리 키재기 아닐까요.

  • parksocool · 474313 · 14/03/25 22:45 · MS 2013

    물1하시면 작용반작용이라면서 무한대로 때려주세요 ㅋㅋ

  • 노력의천재77 · 480125 · 14/03/25 23:0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닭고기 · 477078 · 14/03/25 23:18

    ㅋㅋㅋ앜 ㅠㅠㅠ ㅋㅋㅋ

  • 싸우자 · 489222 · 14/03/25 22:45

    취업ㅂㅅ이라하세용

  • Izayoi Aki · 304134 · 14/03/25 22:47 · MS 200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yksa · 480852 · 14/03/25 22:47

    경제하지만경제도솔까말노쓸모ㅋㅋㅋ고용율구하고잇고환율계산하고잇을거도아니고국제수지계산할거도아니고ㅋㅋㅋㅋ어짜피그분야전문가만쓰지실생활엔노필요

  • 독특한파이딴 · 450198 · 14/03/25 23:00 · MS 2013

    다른 학문, 분야 무시하는 사람은 무시가 답임(문이과 상관없이)
    자기의 좁은 세계관에서 살아갈 따름이죠

  • 시발점 · 418219 · 14/03/26 00:56 · MS 2012

    인생의 진뤼

  • ☆미스코리아 · 407777 · 14/03/25 23:00

    문과 이과 편가르는사람이 제일 싫음 꼭 어중간한애들이 그러지않나요..

  • 독특한파이딴 · 450198 · 14/03/25 23:02 · MS 2013

    수리 B형 고정백 맞는 친구들은 막상 이과부심 안부림 ㅇㅅㅇ

  • 락커사슴 · 304382 · 14/03/25 23:43

    무의미한 논쟁입니다. 인간은 자신의 선택에 확신이없을때 다른선택지를 근거없이 평가절하하곤하죠.

  • 고요의바다 · 415599 · 14/03/26 00:02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qjsj · 480752 · 14/03/26 00:06 · MS 2013

    보통 그반대로 놀리지않나요?ㅋㅋㅋ근데 이런거 다 따지면 무엇을 배우냐에 대해서 다 의문이 아닌가요.. 하물며 tv보는것도 왜보나요? 모든게 실리주의에 근거하는건 아닐텐데..

  • 갬빗 · 478530 · 14/03/26 00:17

    탐구과목이 실생활에 쓰려고 배우는건 아니죠...
    친구분이 생각이 짧으신듯

  • 시발점 · 418219 · 14/03/26 00:39 · MS 2012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넘사까지는 모르겠는데, 님이 지금 부등호 때리시는 게 맞죠...

    언제 본 글인지는 모르겠는데 국어 교과서에 지식인들이 과학 지식은 모를 때, 모르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취급하는 경향을 격렬하게 까는 글이 있었어요. 갑자기 그 글이 생각나네요.
    사르트르는 교양이 될 수 있지만, 왜 M이론은 교양이 될 수 없는 것인가? 갑자기 의문이 생깁니다ㅋㅋ

  • 칠판수업 · 444628 · 14/03/26 01:12

    애초에 문과와 이과를 나눈다는거 자체가...문과나 이과나 서로 무시해선 안된다고 봅니다

  • 민지 와쪄염 · 243365 · 14/03/26 14:58

    예를 들어 생태 환경 이런 건 굳이 따지면 이과적 지식이겠죠. 모기한테 물리면 왜 가려운가, 모기한테 어떻게 하면 덜 물리나, 바이타인D를 섭취하면 뭐가 좋고 검은콩을 먹으면 뭐가 좋은가 등등 실생활이랑 직접적으로 관련된 게 얼마나 많은데요.

    그리고 교양은 굳이 실용성으로 따지자면 실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교양인 겁니다. 베토벤 모른다고 안 죽어요. 귀족들이 배불러서 지적 허영 부리던 게 교양이고요. 실용성이라는 잣대를 들이대는 순간 그 사람이 무식하고 교양 없는 사람이 되는데, 이 말을 잘 생각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