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법-서론, 언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45134
2011수능, 2012수능을 치뤄봤던 경험을 살려 써봤던 글입니다. 지금하고는 좀 다를수도 있는데 혹시 참고하실분 있으면 보시라고 올려봅니다. 글 내용 대부분이 제 주관적인 견해임을 미리 밝힙니다. ㅎㅎ
대한민국 사회가 상당히 학벌을 중시하는 사회라는 사실에 이견을 제시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대학입시를 위한 공부를 잘한다는 것은 상당히 유용한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수능과 관련된 시장이 굉장히 활성화 되어있고 크다는 것은 이러한 사실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다. 지금부터 많은 사람들이 알고 싶어 하는 공부를 잘하는 법에 대해서 나름의 방법론을 제시하려한다.
공부를 잘한다는 것, 그것은 무언가를 잘한다는 측면에서 다른 많은 능력, 기술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다. 선천적인 재능의 차이도 물론 존재하겠지만 노력에 의해 어느 정도 수준까지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잘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익숙하다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수능시험을 위한 공부에 있어서 공부를 잘한다는 것은 머리로 아는 것을 손도 아는 정도인 것이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생각해 보자. 자전거를 타는 법을 아무리 책에서 보고 이론을 안다한들 직접 탈 수 없다면 의미가 없는 것이다. 자전거는 타보면서 탈 수 있게 된다. 당구는 어떠한가? 당구는 수학적으로 그 경로를 계산할 수 있고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단지 계산을 잘 한다는 것이 당구를 잘 친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보통의 경우 당구 역시 많이 쳐본 사람이 잘 친다. 즉 무언가를 잘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필자가 남들보다 조금 오랜 수험생활을 거치면서 깨닫게 된 일종의 깨달음이다. 이를 바탕으로 각 영역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한 방법론을 소개하고자한다.
언어
언어는 필자에게 가장 자신 있는 과목이지만 공부법을 설명하기 가장 까다로운 과목이기도 하다. 사실 말하자면 처음부터 잘했고 그래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잘해진 과목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어 역시 어떻게 하면 확실히 잘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많이 했었기 때문에 일종의 방법론을 제시할 순 있다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꾸준히 잘해왔기에 별다른 고민이 없었던 언어영역조차도 수능이 가까워질수록 불안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오히려 딱히 공부법을 생각해본 적도 없었고 어떠한 스킬 같은 것이 있는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내가 하는 방식이 정말 맞는지, 정작 수능시험장에서는 성적이 잘 나올 수 있을지 불안했던 것이다. 결론을 말하자면 두 번의 수능에서 각각 99%, 100%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것이 내가 틀리지 않았다는 증거가 된다면 언어영역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언어에서 중요한 것은 그것이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지문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인 것이다. 이에 대해 말하기에 앞서 EBS교재에 있던 지문을 하나 보겠다.
The process of reading is a process of meaning-creation by integrating one`s own need,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s with a written text. Each student will have a different need,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 so each student will derive a slightly distinctive message from reading a particular book or poem. But the text itself will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onventions which may or may not be directly accessible to the student, and some of these conventions will, if misinterpreted, so distort the meaning that the text will be perceived as incomprehensible, or irrelevant. There is no point in leaving students to grope their way towards understanding without direct intervention to clarify what might remain unaccessible for so long that they will abandon literature in frustration if they are not helped.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문학공부란 문학적 관습을 익히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문학적 관습을 모른다면 문학작품을 자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고 결국 그 의미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능시험은 규모 상으로 국내최대의 시험이며 따라서 평가의 객관성은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문학문제의 경우 어떻게 해석해야할지 그 방향을 [보기]를 통해 제시해 주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문학문제에 해석의 준거가 되는 [보기]가 존재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문학적 관습이 상당히 보편적이기 때문에 문학적 관습을 잘 익히고 있다면 당연히 나와야 하는 정해진 해석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문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문학적 관습을 익히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문학적 관습을 익히는 방법으로는 앞으로 제시할 방법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필자가 시도해보지 않았던 방법들에 대해선 뭐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따로 언급하진 않겠다. 물론 개인적으로 다양한 스킬을 중시하는 방법론들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방법론과 관련된 서적이나 인강에서 도움을 받았다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그러한 서적이나 인강을 보지 말라고는 할 수 없겠다. 다만 필자는 가장 기본적인 접근법이 상당히 유효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그저 지극히 평범한 수업을 많이 듣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은 것이다. 지극히 평범한 수업이란 예를 들어 시를 수업할 때 시어에 밑줄치고 무슨 의미인지 색 있는 펜으로 적어가는, 그리고 시의 주제, 대상, 상황 이런 것들을 시 옆에 적는 수업을 말하는 것이다. 중학교 때부터, 아니 초등학교 때부터인지 시작해서 고등학교 때까지 계속되는 그런 수업 말이다. 이러한 수업을 많이 듣고 스스로 문학작품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문학적 관습을 익힐 수 있는 것이다.
특정한 방법론이나 스킬로 문학을 해석하는 틀을 어느 정도는 제시할 수는 있겠지만 그 틀이 완벽하기도 어렵고 더욱이 시험장에서 그런 것을 생각하면서 문제를 풀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그리고 틀이 완벽하면 완벽할수록 그 틀은 복잡한 틀이 되어서 익히기가 어려워질 것이다. 수학에서의 통계적 추정 파트의 신뢰구간을 생각해 보자. 신뢰구간이 넓어질수록 신뢰도는 높아지지만 신뢰구간이 너무 길면 그 추정은 가치가 없어진다. 반대로 신뢰구간이 짧으면 신뢰도가 낮아져 추정의 의미가 없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해석틀이 간단하면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좁아지고 해석틀이 복잡하면 적용 범위는 넓어질 것이다. 하지만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좁은 해석틀과 너무 복잡해서 익히기 어려운 해석틀 둘 다 별다른 의미는 없을 것이다. 다시 수학으로 돌아와서 신뢰구간을 짧게 하면서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그것은 바로 표본을 늘리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문학작품들을 접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즉 많은 문학 작품들을 접해보고 스스로 감상도 해보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해보며 언어 선생님의 정확한 해석을 듣고 자신의 해석과 비교해보고 의문도 가져보고 자신이 자의적 해석이 의미를 왜곡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고 질문도 해보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문학적 관습들을 익혀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 자체가 바로 문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정도라고 생각한다.
비문학에 대해서도 역시 같은 논리가 적용된다. 글의 종류와 구성방식과 같은 이론들을 공부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지만 어떠한 종류의 글을 읽는데 어떠한 방식이 있다는 것을 외우는 것은 너무나도 피곤하고 비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냥 많은 비문학 지문들을 읽어보고 그 내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통해서 글을 이해하는 능력을 쌓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산점 이도저도 아니게 쳐받고 따지고 보면 불이익만 있네
-
라면끓여줄사람 2
배고픔
-
수능 평백이면 얼마나 좋을까??헤헤헤
-
진짜 내가 2
아이큐 2로 수능수학 다 맞는거 가능하다는거 보여줘야겟네
-
시@발 암만 생각해도 기분나쁜데 굽히고 들어가야되면 5
굽히고 들어가야라나 진짜 뭐같네
-
바위에서 떨어지셧다네요… 조의금은 여기로…
-
불편해요 더워....
-
당장 나도 영어빼고 모든수업 다 드랍하고 풀자습때렸는데 뭐
-
음
-
떳다 3
내
-
진짜임
-
존나 괘씸하네
-
어디부터 시작해야할지 막막하군
-
? 5
-
주인 잃은 레어 3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정시파이터"저는 "고3...
-
좀 드러나는 옷 입고 19금 방송했었는데 당시에 보면서 뭔가 존나 웃겼음
-
단과에서면 몰라도 재종인데
-
눕자마자 자고싶은데 참 쉽지않구먼
-
언어이해 3
이건 뭐 언어 읽고 잘 이해하는 거겟지 이건 어느정도 잘 나오려나 지각추론 이게 먼...
-
하나 과탐 틀어서 공대 가산점+ 고점으로 의대까지 노려볼지 걍 투사탐으로 무난하게...
-
아는누나 라이브켯길래 보는데 개귀여움....... 06갓성인인데 ㅈㄴ취함...
-
거기서 더 동그래질수가잇나 이제아주 작도가 가능함 수학시간에 나 엎어놓고따라그려도됨
-
아이큐테스트 2
뭐 뭐 측정함..??
-
지로함이 이게 4
진짜 와다 와
-
아 썅 1
아이큐 테스트 ㅈㄴ 정성스럽게 했는데 결과를 보려면 수수료 이지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왜 4등급임? 에이씨
-
서울대 수시 면접에서 떨어진 과에 정시 넣으면 aa 못받나요? 0
제가 수시 면접떨하고 다른과 정시로 넣어서 붙었는데 문득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오르비에서도 틀어주나??
-
이 ㅅ3ㄲ 족쳐야해
-
알바끝 6
헤으응 힘들어 낼 11시까지 어디 가야해서 얼마못잠
-
나만 알겟음
-
여자만 임신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정지었다는 것은 먼 옛날 남자한테도 시도해보았단 뜻인가
-
근데 옯스타 2
에 뭐 올림…? 난 지금 공부 안하는뎅
-
걍 차라리 맘 편하게 과탐하는게 나았을지도
-
라면 요즘엔 4
진매보다 열라면이 더 맛있는 듯
-
근데 아이큐검사 0
좀 재밌지 않냐
-
계속공급이 들어와!!!!!!
-
300원~500원
-
잘나가던 서울대 출신 증권맨…서부지법 난입 구속돼 '강제퇴사' 1
(서울=뉴스1) 신건웅 김민수 기자 = 서울대 출신 여의도 증권맨이 서울서부지법...
-
의미를 찾지 마시길 바랍니다
-
일단 팔짱 허용에 자습허용 시켜서 좀 여론 좀 누그러트리자
-
말하면 이미지타격이 상당해서 안할래
-
국어 ㅈㄴ 0
유기했는데 ㅈㄴ 그냥 글읽고 십장인마냥 슥삭슥삭 뚝딱 다 풀어버리고 싶은데 어떻게...
-
1. 윤성훈 2. 임정환 3. 이기상 4. 돌고래
-
22수능으로끝내기
-
하 ㅠㅠㅠ 오지훈과 함께한 내 추억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