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03-09 16:27:35
조회수 388

교과서 공부하다가 미분파트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09363

기업이 최대 이익을 위해서 미분을 이용한다는데


그 원리에 대해서 갑자기 궁금해져서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데 아시는 분 있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이이엉 · 464726 · 14/03/09 16:40 · MS 2017

    아니겠지만 이익의 함수를 미분해서 극값을 찾는다?

  • 게크로맨서 · 467420 · 14/03/09 16:58 · MS 2013

    저 그거 숨마쿰라우데에서 봤는데 기억이 안나네요...

  • 2474797s · 496757 · 14/03/09 17:27 · MS 2014

    혹시 변곡점? 너무 단순한가..

  • 욱이이 · 477747 · 14/03/09 20:00 · MS 2013

    수입변화량을 함숫값으로 변환해서
    극대값찾는거아닐까요??

  • jerrytwo · 480154 · 14/03/09 20:50 · MS 2013

    아 미분을 이용한다는 게 극값 얘기였군요 이익함수 비용함수 가 나오면 자연히 이윤함수가 나오고 그거의 극값을 찾는다라는 간단한 얘기였네요ㅋ

  • 라마누잔 · 459231 · 14/03/09 21:54 · MS 2013

    쬐금 다른데 ^^;;
    이윤함수라는걸 도출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순수한 이익에 관한 함수를 찾는 일은 매우 어려운일이죠.게다가 이윤함수라는걸 찾아서 미분하여 극값을 구한다라고 생각해도 그건 이미 지나버린 일에 대해서만 가능하지 앞의 일을 예상해서 극값을 찾는다...?? 는 엄청 어려운 일입니다. 오히려 그 방식보다는 이윤에 영향을 주는 여러 단순한 변수들을 찾아서 그것에 관한 연립 부등식을 세워서 최적해를 찾는 방식으로 최적의 이윤을 내는 방법을 찾구요! (물론 분야에 따라서 여러분이 말한 방식을 쓰기도 할거에요!)
    실제로는 화폐나 어떤 경제적 지수들의 변화양상에 대한 함수들은 꽤나 구해져 있는데 그 함수들은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함수와는 달리 변수가 두개 세개 정도 되는 함수들입니다. 그런 함수들에서 편미분이라는걸 이용하면 복합적이었던 변화양상중 단 한가지 변수의 변화양상만 볼 수 있고 그래요~ 물론 미분을 이용해서 바로 결과치를 구하고 할 수 도 있겠지만 미분의 본래 그 이름(영어식 이름요!)에 걸맞게 변화를 관찰하는데 경제학에서 주로 쓰이는걸로 알아요!

  • jerrytwo · 480154 · 14/03/09 22:08 · MS 2013

    아! 이렇게 어려운 얘기였는데 다 이해한 것처럼 얘기했다니 제가 우스워 보였겠어요ㅋㅋ 그렇군요 나중에 대학에서 더 공부해보고 싶네요 역시 제가 배우고 있는 내용은 극히 고딩 수준이라는 걸 다시 느끼게 되기도 하네요 현실은 역시 워낙 많은 변수가 있으니..ㅋ 댓글 감사합니다

  • 라마누잔 · 459231 · 14/03/09 22:11 · MS 2013

    아니에요~ 저도 전공이 수학인지라 경제부분은 진짜 책에 예제로 나오는 정도밖에 몰라요! 여러분이 말한 방법이 실제로 쓰일지도 모르구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