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문T] 수능특강3강정리 및 비연계빈칸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79484
2014수능특강3강정리.pdf
오르비칼럼0224.pdf
오르비칼럼0224해설.pdf
안녕하세요.
CEE U @TOP의 필자 UNB ENGLISH 진양문(T)입니다.
지난 주 제가 임직하고 있는 재종반의 개강 관계로 제가 하는 일도 없이 마음만 바빠서 EBS수능특강 3강 정리본의 업로드를 해드리지 못한 점 사과드립니다. 앞으로는 가능한 빨리 업로드를 해드리겠습니다. 이제 곧 인터넷 수능 독해연습도 나올 때가 돼서 저도 마음이 급하네요.
오늘의 칼럼에는 영화 “변호인”의 내용과 관련된 spoiler가 있으므로, 혹시 변호인을 아직 보지 못하셨는데 꼭 보려고 생각중인 분들이라면 이 칼럼을 읽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오늘은 수능특강 3강 정리본과 함께 최근 “변호인”이라는 영화를 통해 다시 회자되고 있는 E. H. Carr의 The New Society에서 발췌한 부분을 통해 빈칸추론 한 문제를 만들어 봤습니다. 영화를 보면 고문피해자들을 공산주의 간첩이라며 긴급체포하는 근거로 바로 E. H. Carr의 What is history?를 돌려보고 있다는 점을 검찰 측이 제시합니다. 이에 주인공 송우석 변호사는 이 책을 밤 세워 읽고, 저자에 대한 신원증명을 주한 영국 대사관에 부탁합니다. 제가 발췌한 부분은 다른 책에서 가져 오긴 했지만, 이 부분만 읽어도 저자의 이데올로기가 한 쪽에 치우친 것처럼 보이질 않습니다. 그럼 문제를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Does not the admission that values held by the historian necessarily enter into the history that he writes deprive history of any objective character? Can history in these conditions be more than a reflection of the whim of the historian? Now it seems to me foolish and misleading to deny the subjective element in history. Anyone who believes in the divine right of kings - a belief beyond the scope of argument - is bound to regard the last 150 years as a period of retrogression; and, if he is a historian of that period, he will weave his facts into a pattern of decline. But this does not mean that history is purely subjective. Life rejects these logical dilemmas of choice between opposites. The question of whether man is free or determined, like the famous question about the hen and the egg, permits of two contradictory answers, both equally valid. Histo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he historian takes his raw material, the dry bones of fact, and, articulating them under the inspiration of his own sense of values, turns them into the framework of living history.
① is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② is a form of biased narrative
③ accumulates itself, not colored and distorted by historians
④ has no choice but to be affected by its contemporary circumstances
⑤ is akin to the seek-and-hide game, where we must uncover the familiar
정답 및 해설은 다음 EBS 수능특강 4강 정리본 업로드 시에 자세히 올리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직은 못 찾았어 장점이 없어 생길 수 있게 노력해봐야지
-
작년에 직업 있는 여자 만났는데 공부보다 연애에 얽매이게 됨 공부할때는 혼자가 좋은듯
-
글제목만 봐도 뭔가 우울한 분위기
-
왜 안자냐고요? 저도 자고싶었어요....
-
걍 기분이 엿같은거지 내 잘못이 아닌데 짜증나
-
와 꼴데신 0
감사합니다...
-
다음생엔 알파메일로
-
맨날 술집 가고 남사친/여사친 만나러 다니는 사람 vs 집돌이/순이 인데 오르비하고...
-
술 안 마신 지 18
38일 째
-
안녕하세요 2
-
살못빼는이유가 4
1. 먹는게 인생의 낙 술도 좋아하고2. 운동을 싫어함(땀이 싫어요)유지는 할만한데 빼는건 어려움
-
유류분 보다가 느낀거인데 부모님이 자식 마음에 안든다고 재산 무상기부 하면 어쩌지?...
-
고추 4
2개
-
내겐 그것도 허락되지 않았구나
-
진짜싸다
-
3-1에 3개 맞게생김 ㅋㅋ
-
오르비 사망 2
-
퀴즈! 과학상식 2
뾰롱이 꼬양이
-
쌩재수 하는걸로 아는 애는 주변에 한명있는데 얘는 별로 안친하고 반수는 몇명...
-
조금 피곤하긴 한데 나름 괜찮음
-
저번에 강원랜드 같이 간 뒤로 계속 가자하네 ㅅㅂㅋㅋ
-
거지라 덕코 주고가시면 안될까요
-
근데 막상 문디컬 작정하고 온분들은 많이 없는듯 대부분 이게되네? 해서 오신거같음
-
휴가 일지 3
금: 먹고 싶었던 치즈와퍼, 질릴정도로 롤하기, 혼코노 토: 목욕탕 가기,...
-
삼반수생입니다. 고2때까지 문과였다가 고3때 이과로 돌리고 과탐이 처참하게...
-
이제 기출 들어가는데.. 양은 적당히 많았으면 좋겠고 난이도는 중간4점 난이도...
-
저 어때보이시나요 딱 봤을때 위험해보인다거나 정신이 이상해보인다거나(자존감 낮은거...
-
Sky 1
문과이고 정시 엄청 잘 봐서 평균 백분의 98 뜨면 설대 갈 수 있을 텐데 내신이...
-
전신지방흡입 알아보다가 12
그냥 포기하기로 결정함 걍 생겨먹은대로 살다가 서른다섯즈음에 뒤져야지
-
그런 게 있음.. 보면 웃음이 나옴
-
이게 대체 뭐지 2
-
자나 3
-
인사해주세요 4
슬프네요,,, 안녕히 주무세요 선생님,,
-
댓글로 정신차리라고 욕해주세요
-
뭔가 아련하다…
-
왜ㅣ다들우울하늬 0
힘내
-
내일은 학원 가도 될 듯 D-200에 방구석에서 웹툰 본 것 외에 한 게 없다니 나새끼 ㄹㅈㄷ..
-
황그바!!!! 0
사랑행!!!!!
-
행복해라 3
는 문법적으로 틀렷군
-
영어 제대로 공부안해봐서;;;0
-
제발 수학 1 8
머리터지겠다 인제자러갑니다..
-
싹 다 매진ㅋㅋ
-
대체 난 기차에 몇백을 쓴거야
-
아무 걱정 없던 시기
-
그리 행복하지 않음 내얘기
-
맞팔 ㄱ 2
은테달고 프사 은발 한결 하고싶어짐
-
수험생활도 다 나를 위해서 하는건데 현재를 팔아다 미래의 행복을 갈구하고 있음
-
웃어바
감사합니다! 항상 기다리구있어요!
기다리게 해서 미안해요~ 담엔 빨리 올릴게요^^
5번???어렵네요!! ㅋㅋ 항상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요~~ 답과 해설은 수요일에 수능특강 4강과 함께 올릴께요^^
감사합니다!!!!!
이용 감사드립니다~~
12345154321..??
예 정답입니다 너무 쉬웠죠?
닭이 먼저냐.달걀이 먼저냐. 둘 다 타당하다. 보고 답 골랐네요 처음 does not 보고 해석 안되서 당황ㅎㅎ
예 단서 잘 찾으셨고요 빈칸 뒷문장도 빈칸하고 맞춰보세요 정말 좋은 표현입니다^^
23123112354 많이어렵진않네요
예 단서가 굉장히 많은 문제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풀어보고 가요^^
예~~ 수요일에 해설 올리겠습니다^^
영어 기출 10년도꺼부터 풀고있는데요
분석을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안와요. 수능특강 분석하듯이 해야할지 어떻게 할지
도움좀 주세요~
2010년도부터 푸시는 것은 좋습니다. 단. 수특분석하듯이 하면 너무 시간이 걸리니까요 오답정리 및 단어정리 위주로 하시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사람들이 평가원의 코드를 알아라 ..라고 하는데 이런말은 무슨말인가요?
수능문제의 유형이 매년 같아 보여도 사실 출제의 원리는 조금식 흐름을 타기도 하고 진화를 하기도 합니다. 가령 같은 빈칸추론 유형이라도 2008년 이전과 2009년 이후의 출제원리가 다르고, 또 2011년 이후에는 더 어렵게 진화하고 있으며, 작년 수능에는 소재/주제 면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죠. 그런 것들을 자기주도적으로 느끼라는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혼자서 스스로해보고 선생님자료랑비교해보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문제풀고 매기고 선생님자료 바로 보는게 좋을까요.?
저는 제 자료가 참고자료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직접 해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죠 시간만 과하게 소비되지 않는다면요~~ 그러는 과정에 영어를 보는 눈과 실력이 향상될 겁니다~~
감사합니다!!
12345154321~첫줄읽고 그런이야기일까 라고생각하고 봤더니 ㅋㅋ..
역시 이렇게 될거야 라고 생각하고 그 생각대로 글이 적혀있으면
읽기가 쉽네요 ㅋㅋ,,,,
예~ 하지만 그런게 지나치면 때론 비약이나 근거가 부족한 상황에서의 유추해석이 될 수도 있다는 점도 잘 알고 계실거라고 믿습니다~~감사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예~ 감사합니다~~
12345154321 인가요?
아 위에 있군요ㅋㅋ 너무 궁금해서
예~~ 잘 푸셨습니다.^^
이번지문은 처음문장에서 감을 잡을수있었던것같아요 사실 조금 헷갈리기도했지만..
정답을 찾고보니 제가 헷갈렸던 선지는 지문에 있지도 않은내용을다루고있었네요 하하....
매번 감사합니다!
너무 쉬웠죠~~ 감사합니다~~
먼저 댓글로 문제 해설부터 올리겠습니다. EBS 4강은 아무래도 내일 올라갈 것 같네요~~ (첨부파일로도 올렸습니다)
Does not the admission(S) //that values / held by the historian/ necessarily enter into the history /that he writes// deprive(V) history of any objective character?
=> 역사가가 가진 가치들이 그가 저술하는 역사 속에 반드시 개입할 수 밖에 없다고 인정하는 것은 역사의 객관적인 속성을 사라지게 하는 걸까요? (반어적 의문에 의한 소재의 도입)
Can history in these conditions be more than a reflection of the whim of the historian?
=> 이러한 상태의 역사는 단지 역사가의 변덕스러움을 반영하는 것이 아닐까? (위 문장의 역사서술에 개입한 역사가의 가치를 'whim of the historian(역사가의 변덕; 주관성)‘로 paraphrase하면서 같은 내용을 반어적으로 물음)
Now it seems to me foolish and misleading to deny the subjective element in history.
=> 역사에 있어 주관적인 요소를 부인하는 것인 내게는 어리석고 잘못된 일처럼 보인다.
(역시 paraphrase를 통해 역사(서술)는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고 재진술)
Anyone who believes in the divine right of kings - a belief beyond the scope of argument - is bound to regard the last 150 years as a period of retrogression; and, if he is a historian of that period, he will weave his facts into a pattern of decline.
=> 왕권신수설 - 논란의 범주를 넘어선(필자주; 논란의 가치도 없는) 신앙 -을 신봉하는 사람이라는 지난 150년을 퇴보의 가간으로 여길 수밖에 없으며; 그리고 그가 만약 그 시대의 역사가라면 그가 가진 모든 사실들을 가지고 하나의 패턴을 짜낼 것이다.
=> 민주주의적 가치가 지배하는 필자의 시대에서 볼 때, 왕권신수설이 사라진 것은 역사의 발전으로 보는 것이 당연하고 객관적이지만, 왕권신수설을 신봉하는 학자는 이 시기를 역사가 퇴보하는 시기로써 주관적인 판단을 하게 된다는 논리임. 즉, 왕권신수설의 예시를 통해 역사해석은 사가의 주관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 것을 뒷받침.
But this does not mean that history is purely subjective. Life rejects these logical dilemmas of choice between opposites.
=> 하지만 이것이 역사가 완전히 주관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삶은 완전히 상반된 것들 중에서의 선택이라는 논리적 딜레마를 거부한다. (반전의 등장: 꼭 주관적이지만은 않다!)
The question of whether man is free or determined, like the famous question about the hen and the egg, permits of two contradictory answers, both equally valid. History is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와 같은 유명한 의문점과 마찬가지로, “인간이 자유로울까 아님 (운명이) 결정된 존재인가?”의 의문점은 두 개의 모순되지만 똑같이 타당한 답을 허락한다. 역사는 주관적이면서도 객관적이다. (닭이냐 달걀이냐의 비유를 통해 주제를 뒷받침)
The historian takes his raw material, the dry bones of fact, and, articulating them under the inspiration of his own sense of values, turns them into the framework of living history.
역사가는 다듬어지지 않은 재료, 즉 사실이라는 건조한 뼈들을 가지다고는 그것을 자신의 가치의식으로 이뤄진 영감을 통해 조립하고는, 그것들을 살아있는 역사의 골격으로 바꾸는 것이다. (raw material=dry bones of fact => 객관성을 상징, inspiration of his own sense of values => 주관성을 상징)
기다리고 있었어요.. 매번 감사드립니다~
이용 감사해요^^
공부하다 모르는게 있어서 오르비 들어와 찾아본건데 어법 제가 궁금했던게 딱 있네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됐다니 기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