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진영 [1049219]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2-01-02 02:03:38
조회수 10,249

서강대 전과, 부전공 및 복수전공과 관련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549780

제가 서강대 다닐 때에는 전과, 부전공, 복수전공 모두 있었어요. (아마 현재는 전과는 동일 학부내에서 1회만 가능하다고 함)

저의 하숙집 형들 중에 전과와 복수전공한 사례가 모두 있어 소개하려구요.

1. 전과 사례

. 입학시 A과 진학 à 3학년때 영문과로 전과 & 신문방송학 부전공 (그 당시 전과는 무척 힘들었다고 함)

. 졸업 후 제일기획 입사 (주전공인 영문보다는 부전공을 살려 광고회사로 취직한 case)

. 미국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 후 현재까지 Oklahoma 대학교 광고홍보학 교수

(서강대에서 당시 부전공 21 + a 학점(신문방송학) 수료 후 그것을 토대로 광고회사 입사도 하고 미국에서 교수가 된 사례임)

"미래의 광고는 눈부시게 바뀔 것...열정 있는 사람만 할 수 있어"

윤 도일 형입니다. 가수 이 문세를 많이 닮았었는데 지금은 머리가 조금 하얘졌네요.


2. 복수전공 비슷한 여러가지를 전공한 사례

. 경영학과 입학 + 영문학 부전공 또는 복전 + 심리학 과정도 수료

. 미국에서 문헌정보학을 전공 후 2004년까지 Florida State University 교수

. 현재는 성균관대에서 문헌정보학 교수로 재직 중

(서강대에서 영문학을 복수전공한 것을 토대로 미국에서 교수 생활을 하는데 밑바탕이 됨)

https://skb.skku.edu/_attach/professor/CeWQRXvGOlKsslcyEoXf.jpg

원식이 형은 제 인생의 멘토였고 성격이 무척 좋으신 분이셨습니다


3. 기타 사례 (원전공 경제에 부전공 경영(재무관리 분야) 공부해서 현재 증권회사와 투자자문 임원으로 활동 중인 경식이 형, 연석이 형)


[피플 in 마켓] 양경식 하나대투증권 포트폴리오솔루션 팀장[IB에 묻다]② 고연석 한투證 프로젝트금융2본부장 “해외시장 전력, 목표 40% 상향”


당시 저의 하숙집 학생이 총 12명이었는데,

교수 2명

금융회사 임원 5명 (은행, 보험사 등 포함)

대기업 임원 1명

회계사 1명

누나들 2명은 미국에서 외국인회사 본사 근무

저의 룸메이었던 형만 아직 대기업에서 임원승진이 안되고 부장인데 그 이유는?

(그 형은 경영학을 주전공하긴 했는데 회계와 재무쪽은 피하고 주로 인사, 마케팅 수업에만 치중하였고 인간관계도 별로 신경쓰지 않은 부분도 있음)


저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영학을 공부하고자 할 경우 (원전공, 복수전공 모두 해당)

학점을 36학점, 42학점 또는 51학점 이상 수료 등 양적인 학점 수보다는 질적으로 얼마나 심도있게 공부하였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 대기업에 취업하고자 할 경우 

경영학과 15학점 필수과목 이외에 중급회계 I II, 원가회계 등 조금 귀찮더라도 회계분야를 제대로 하고 가야지 무슨 부서로 가더라도 빨리 적응할 수 있고 승진의 기회도 높아집니다.


  • 금융기관에 취업하고자 할 경우

재무관리 분야 재무관리를 포함 투자론, 고급투자이론, 선물옵션 등 전문적인 분야에에 집중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리학교는 전통적으로 재무관리분야에 강점이 있어 졸업 후 금융기관에서 근무할 때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저의 하숙집 형들 초상권까지 침해(?)하면서 활짝 웃는 사진을 첨부한 것은 우리는 항상 긍정적이고 밝은 표정으로 열심히 살면 자기의 꿈을 실천할 수 있고 멋지게 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자녀진학 문제로 오르비를 보니까, 어떤 하위권대 훌리가 서강대의 복수전공을 무분별하게 비난하게 된 것에 대해 이 글을 씁니다. 또한 서강대는 판,검사를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곳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이 전공과 무관하게 각각 학생들의 학습능력, 사회성, 성실성, 바른 인간성 등을 키우는 데에도 역점을 두는 부분도 있습니다.

새해에는 활짝 웃으면서 자기가 무슨 공부나 업무를 하든 즐겁게 삽시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국밥 먹는 초밥 · 1096407 · 22/01/02 02:04 · MS 2021

    ㄷㄷ..

  • No.99 Aaron Judge · 919199 · 22/01/02 02:04 · MS 2019

    멋지십니다
  • 입시판탈출기원기도중 · 910893 · 22/01/02 02:05 · MS 2019

    서강대 가고 싶다...
  • Albatross · 1043855 · 22/01/02 02:18 · MS 2021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스까이캐술 · 867186 · 22/01/02 02:21 · MS 2019

    예전에는 서강대 문과하면 영문과, 상경계, 신방과, 사학과 등등이었는데
    요즘엔 웰케 서강대 영문이 홀대받는지
    심지어는 오늘 깜짝 놀란게 영문과를 서강대 하위권학과로 말하는 사람도 있고 ㅎㅎ

    사실 서강대는 전통적으로
    문이과 모두
    학과간 입결 차가 별로 나지 않고
    엎치락 뒷치락 하면서 촘촘한걸로 유명했고
    그래서 더욱
    개교 이후 이어져온 복수전공, 다전공 자유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대학으로
    정평이 나있었는데
    좀 희한하네요.

  • soolove · 1071910 · 22/01/02 10:37 · MS 2021 (수정됨)

    성적대가 촘촘해서 어디가 하위학과라고 말할 수 없어요.서강대 포함 상위권 대학들 지원자 표본을 보면 문과학과든 이과학과든 구별없이 이과 학생들이 많이 있어요.이런 경우 문과 학과를 지원해도 이과 학과 다전공 다 해낼거예요. 미적분,기하,확통,과학탐구 다 공부했으니까요.

  • 코엑스 · 1018217 · 22/01/02 08:25 · MS 2020

    하숙집이 명예의 전당이네요

  • 빈삼각 · 1031431 · 22/01/02 09:06 · MS 2020 (수정됨)

    서강대 복전의 팩트와 성공사례가 이렇게 많은데 "냐냐냥냐냐냥" 이라는 아이디쓰는 분은 자신의 이익 때문인지 감정때문인지 허위사실 유포하고 있으니 속지마시고 조심하세요.

  • 뫼동아재 · 1019227 · 22/01/02 09:50 · MS 2020

    역시 대단하신 선배들이 많네요.
    열심히 대학생활하신 것을 생각하니 새삼 존경스럽네요
    이렇게 복전으로 훌륭한 인생의 결과를 일구신 분들이 많은데 "냐냐냥냐냐냥"인가는 허위사실유포를 지속적으로하여 입시지원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어서 사과하시고 향후에는 허위사실을 유포하시지 마세요.

  • soolove · 1071910 · 22/01/02 10:25 · MS 2021 (수정됨)

    역시 명문 서강대...제가 선호하는 학교입니다. 수많은 고민끝에 잘한 결정일거라 믿습니다. 합격을 향한 기도메타.
  • 할말하는사람 · 1100142 · 22/01/02 11:22 · MS 2021

    이런글이 메인이면 서강 몰릴 수도 있어요...

  • 스테들러형광펜 · 1042319 · 22/01/02 11:38 · MS 2021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도미니크 · 874010 · 22/01/02 13:45 · MS 2019

    제가아는 서강의 모습도 이렇습니다. 성실힌고, 능력있고, 겸손하지요~

  • 뫼동아재 · 1019227 · 22/01/02 15:14 · MS 2020 (수정됨)

    젋고 활기차지만 조용하고 묵묵히 학교공부를 통해서 자신의 실력을 쌓아가는 서강인이 자랑스럽네요.

    학교모토인 청년서강
    "진리에 순종하라 "
    "그대 서강의 자랑이듯 서강 그대의 자랑이어라!"
    라는 문구가 가슴 깊이 남아 있습니다.

  • 서울대갈꺼야 · 1021058 · 22/01/03 11:21 · MS 2020 (수정됨)

    문구 정말 좋네요

  • Trequartista · 704110 · 22/01/02 15:25 · MS 2016

    서강대에 관해 개인적으로 질문 있습니다 쪽지 드려도 될까요?

  • 방송켜 김찬호 · 1011788 · 22/01/03 04:55 · MS 2020

    진짜 명문이네요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