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업프로젝트 [726880] · MS 2017 · 쪽지

2021-12-21 23:26:23
조회수 3,600

경영학은 뭘 배우는 학문인가? -경영대 진학을 고민중인 분들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056130

문과생이든 교차러든 경영학에 대해서 잘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저도 잘 모릅니다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싶어 주제넘게 몇 줄 써봅니다. 틀린 내용이 있거나 더 추가해야 할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경영학은 학문이 아니지 않나요?' 이런 지적은 하셔도 제목에 쓸 말이 없어서 못 고칩니다)

이 주제로 올 초에 한 번, 이번 달에 한 번 글을 썼었는데 둘 다 부족한 점이 많아 다시 정리해 보았습니다.

제가 재학 중에 수강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고,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학사과정 꼭 찾아보세요.

전공필수과목 듣고 어느 분야를 중점적으로 들을 것인지 선택하면 되니까 대부분 전필 수준을 기준으로 서술하였습니다.


1. 재무

경제학에 가장 가까운 분야입니다. 다만 경제학처럼 무자비한 이과 수학은 안 나옵니다.

확통 고교과정 넘어가는 부분이 좀 있는데 경영통계학에서 다 설명하는 부분이고요.

전필 이상으로 가면 e하고 ln 나오고 할텐데 그것도 어차피 계산기 쓰지 증명하라고 하진 않아서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공식이란 걸 쓰고 계산도 하니까 수학에 친숙한 사람이 더 유리하긴 해요.

크게 기업가치분석과 투자(주식, 채권, 파생 등) 관련해서 배운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2. 회계

회계가 뭔지 설명하려면 이 글이 경영학 소개가 아니라 회계지식 강의가 될 것 같아서 패스하겠습니다. 궁금하시면 복식부기, 발생주의 검색해보세요. 부채가 증가하면 현금도 들어오니까 현금의 증가도 같이 기록하고(그래서 자산=자본+부채), 화폐의 현재가치 미래가치 계산도 하고...(현재가치/미래가치는 재무에서도 즐겁게 할 수 있습니다)

회계는 딱히 수학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숫자 감각이 있다면 좋겠지만 수학과는 방향의 차이가 있어요.


이거보다 중요한 건 CPA 관련 정보일 것 같네요. 다 아시는 내용이겠지만

KICPA 응시하려면 회계학(세무 포함) 12학점, 경영학 9학점, 경제학 3학점 이상을 수강해야 합니다.

나머지는 과 내에서 수강하면 돼서 문제없고 경제학은 과 내에서 경제학원론을 개설해놓는 경우가 있고, 후술한 것처럼 어차피 경제학 공부해야 하니까 경제학과 수업을 더 들어도 됩니다.

참고로 1차 시험 과목에 경제학이 포함되어 있고 재무는 2차에서 단독 과목으로 나오니까 회계 관심 있으시면 재무도 도 하셔야 됩니다.


3. 마케팅

이것도 설명하려면 마케팅 정보글이 될 것 같은데... 3C, STP, 4P, SWOT 뭐 이런 거 합니다.

단순히 광고를 배우는 게 아니라 나름 장점, 단점, 경쟁 상황, 고객 등을 분석하고 판매하는 행위가 다 마케팅입니다.

조별과제, 팀플 많이 합니다. 팀플 싫으면 전필 끝내고 재무나 회계만 하시면 돼요.


4. 인사관리

말 그대로 사람을 관리하는 법(동기부여 등)을 배웁니다.

그 외에 조직을 운영하는 법도 배웁니다. 행정학과 가셔도 인사행정론하고 내용 겹치는 부분이 있어요.

이것도 사람 관련된 과목이라 팀플 하는 편입니다.


5. 오퍼레이션

생산운영관리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유통망에 대해서 배웁니다.

최근에는 물류 외에도 서비스운영관리에 대한 내용도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전 Waiting Line Model이 너무 재밌었어요.

모델이라는 말에서 눈치채셨을 수도 있겠지만 수학 계속 씁니다. 여기도 어려운 수학은 아닌데 그래도 공식 계산이 기반이에요. 대신 당연히 팀플은 덜하겠죠.


6. 경영정보/정보시스템

정시템입니다. 경영대 안의 컴공이라고나 할까요.

정말 수업 들으면 경영학보다 컴퓨터 강의에 가깝습니다. 그래도 전필에선 코딩은 안 시켜요.

ERP처럼 경영 관련된 내용이긴 한데 경영학에서 가장 동떨어진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관심이 없어서 잘 모르겠는데 팀플 적지 않을까 싶습니다.


교차지원 생각하시는 분들은 재무/운영관리/경영정보 쪽이 적성에 맞을 확률이 높을 것 같네요.

재무 제외 두 분야는 공대 학부 출신 교수님들도 꽤 있으신 편입니다.


7. 국제경영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아니겠지만, 외대에서는 전필이라서 서술합니다.

다국적 기업의 해외 진출 관련해서 문화, 환율, 국제 투자 등을 배웁니다.

여기도 팀플 할 가능성이 있겠네요. 전 다행히 안했습니다.


겨우 이만큼 쓰는데 2시간 걸렸네요. 그것마저도 글 날려먹을 뻔 했고...

별로 영양가도 없어 보이지만 한 분에게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언제 쓸지는 모르겠지만 다음에는 전체적인 외대 학과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글로 돌아오겠습니다.

rare-Red Velvet rare-한외대 rare-윈터 rare-지구 공룡설 rare-수도권 전철 1호선 rare-Lufthansa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