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이 [478692] · MS 2013 · 쪽지

2013-12-29 12:32:18
조회수 9,039

난 논술로 연세대 경영, 고려대 경영 갔다 -2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50784

   이번에는 제가 봤던 성대(불합격), 연대(합격), 고대(합격) 논술 시험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우선 성대는 파이널 수업 한번을 듣고 시험장에 갔음에도 불구하고 연고대 문제를 많이 풀어보고 간 덕분인지 논제의 요구사항 및 제시문등이 쉽게 느껴졌습니다. 딱 보면 뭘 써야 하는지 느낌이 와서 술술 쉽게 적고 나왔던거 같아요. 성대는 많이 쓸수록 유리하다라는 소문도 있었지만 주변 성대 논술로 합격한 선배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길게써서 합격했다는 선배는 없고 딱 쓸 말만 쓰고 간결히 작성하고 나왔더니 합격했다는 말들을 많이 들었고 수업때도 그렇게 들어서 쉽게 기분좋게 풀고 나왔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탈락이였어요. 성대논술을 하루 밖에 준비 못한 이유도 있겠지만 성대 논술 자체가 쉽다보니 더 변별력 있는 답안을 작성했어야 하는데 너무 안일하게 작성하고 나왔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성대 논술은 대부분 학생들이 쉽게 느끼는 논술인 것 같고 따라서 더 변별력 있고 구성력 있는 답안을 적어야지만 합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연대는 1번에서 제시문의 순서를 정하고 라는 논제의 요구사항부터 좀 낯설게 느껴졌어요. 같이 논술을 본 친구들은 유형파괴다라는 말들을 많이 했는데 저는 겉보기의 형식은 좀 낯설지만 연대 기출문제들을 풀면서 배웠던 연대의 특징 속의 문제라는 점을 느꼈고 거기에 맞게 답안을 작성했어요. 1번은 개인과 사회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어도 두 측면들을 모두 언급하면서 답안을 작성했고, 2번은 제시문들의 대안과 그 한계를 지적하면서 가장 타당해보이는 대안이 다른 제시문의 한계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과 그 대안이 가지는 한계들을 지적하면서 답안을 서술했어요. 낯설긴했지만 지금까지 연습했던 연대 기출문항들의 특징들을 떠올리면서 답안을 작성하려고 노력했어요, 연대는 주로 마지막 제시문으로 도표나 그래프가 많이 나와서 도표/그래프 분석하는 연습도 많이했는데 이번엔 나오지 않아서 아쉽긴 했지만, 이채린쌤이 도표 말고도 그림이랑(비너스 나오는거랑 산수화 등등), 시 등으로도 연습을 시켜주셔서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풀수 있었던 것 같아요. 논술을 준비하실거면 기출문제 중심으로 연습을 하되 여러 유형을 다 연습을 해두시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고대는 사실 수리논술을 일찍부터 시작했는데도 불구하고 고대 수리논술에 자신은 없었어요. 그래서 강현우 수리쌤이 알려주신대로 30분 안에 최대한 간략히 답안을 작성하고 1번 언어논술에 최대한 시간을 투자했는데, 안타깝게도 25분이 지나도 수리 2번을 다 해결못해서 3번을 거의 답만 적는 수준으로 적고 언어논술로 넘어갔어요. 복기 해보니 수리는 23번 모두 아예 틀린 답안을 적어내서 고대는 아예 마음을 접고 있었는데 고대도 합격을 했어요. 수리쌤이 “고대 논술은 수리 논술부터 채점하고 수리를 다 맞춘 학생만 1번 언어논술을 채점한다라는 말은 헛소문이고, 수리도 중요하지만 그래도 1번이 더 중요하다고 몇 번 이야기해주긴 했지만, 사실 2,3번 다 틀려서 포기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합격한 걸 보면 확실히 수리먼저 채점하는 것은 아닌게 확실한 것 같습니다. 물론 주변에 수리논술을 다 맞추고 잘 푼 친구들이 대부분 합격한 건 사실이지만 수리논술을 좀 망쳐도 1번에서 변별력 있는 답안이 작성되면 합격할 수 있는 것 같아요. 1번은 정말 종칠때까지 작성해서 정말 잘 적고 나온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전 서울대 정시 논술은 안봤지만 서울대 정시 논술 준비와 학원등을 여쭤보시는 분도 계셔서 같이 올리면요 전 정시논술은 어떻게 준비해야하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서울대 정시논술은 생각해본적이 없어서 ;; 근데 주변에 친구들이랑 선배들 이야기로는 서울대 정시논술은 박진규 선생님이 압도적으로 잘 가르치신다고 해요. 그래서 마감도 금방 된다고 합니다. 논술로 합격해서 그런지 논술학원 추천을 많이 받는데요 전 대치동에서 학원을 다녀서그런지 대치동에는 좋은 학원이 많은 것 같습니다. 서울대 정시논술은 프로세스 논술-박진규 선생님, 서울대 수시구술은 로고스 논술이랑 프로세스 논술(로고스는 구술이 좋고 프로세스는 논술이 좋다고 들었어요), 연고대 논술은 로고스 논술(아토즈 논술) 이채린,김윤환 선생님(저는 이채린 선생님 수업을 들었는데 지금은 로고스 말고 아토즈 논술학원에서 수업을 하셔요. 김윤환 선생님이랑 같이 학원을 옮기셨습니다. 로고스에서도 같이 강의하시는지는 잘 모르겠네요)이 합격생도 많고 가장 유명하신 것 같습니다.

   전 글쓰기 관련 상을 한번도 타본적이 없는데도 논술로 합격을 했고, 제 친구는 문학상 까지 여러번 받았는데도 논술전형은 다 떨어진 것을 봐도 알 듯이 논술은 단순한 글쓰기가 아니라 논제의 요구사항과 제시문 분석을 꼼꼼히 해서 대학에서 원하는 답안을 산출해내는 시험인 것같습니다. 내신과 수능도 열심히 하셔야겠지만 논술로 대학을 가시길 원한다면 좀더 시간을 투자해서 논술도 논술시험 공부를 해두시면 훨씬 합격에 가까워지실 것 같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