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 Roman. [69422] · MS 2004 · 쪽지

2013-12-27 16:55:44
조회수 2,064

Snu Roman.과 함께 하는 전공탐방! <2nd object: 영어영문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44576



。안녕하세요. 본인이 문과인지라, 전공탐방이 당분간은 '문과'에 치우침을 이해해 주시구요. 이 '전공탐방'에 소개되는 '전공'관련 지식이 전공자분들에겐 다 아는 사실일 지는 몰라도 본인 역시 이 수많은 전공 중
단 하나만을 전공하는 입장에서 조금은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Snu roman Research Corp. in Yonsei Office.










Editor(편집자) : Arsmeia Orsias Skeouller  (스컬러)

                       Augustinos Mulder (멀더)


각색 - Snu Roman.








Real Staple file of major reporting.













-본 파일은 연세대 지망 수험생들 및 수험생에게 대한 전공 관련 지식, 전공에 대한 다양한 진로 모색, 세부 전공 및 영역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그 전공에 대한 이해와 목표 설정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꿈꾸는 이상이 실현되기를 










전공 탐방 두번째 시리즈  영어영문학과.




1 . 영어영문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흔히들, 영문과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그리고 영문과와 영어과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둘은 엄연히 다르다. 전자가 '문학'을 중심으로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에 초점을
두는 반면, 영어과는 '통역, 번역'에 집중된 것으로써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외대 영어학부가
있다고 하겠다. 한 마디로 실생활에 필요한 언어를 배우고 싶다면 후자 전공이 맞다.

따라서 영어영문학과는 다음의 두 가지를 포함한다.




1) 영어학 영역
영어의 소리와 특성의 체계, 어휘 및 문장 구조와 의미를 비롯, 과거와 현재의 영어의 모습 및 사용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학문이다. 영어 문법의 이해나 영어학습에 도움을 주는 방안 등 실용적 응용 분야 이외에도, 영어를 주 대상으로 하여 언어의 본질과 보편성을 밝힌다. 따라서 영어학은 문학, 철학, 커뮤니케이션 이론, 사회학, 심리학, 인지과학 등 여러 다른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적 토대가 되고 있거나 연계해서 연구되고 있다.



2) 영문학 영역
영문학 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학생들에게 영문학 작품들을 여러 시대와 장르에 걸쳐서 다양하게 읽게 함으로써 인문학적 교양과 시각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영국과 미국의 문학작품 속에서 문학의 보편적 가치와 의미를 경험하고 문학작품의 다양한 해석과 비평을 배운다.


3) 기타

영문학 커리큘럼은 미국문화와 영국문화, 영미사상, 대중매체의 문화영역, 현대 문예 비평
과목들을 포함한다. 고전문학에의 관심도 중요하게 다뤄진다. 영어학 분야에서는 응용언어학
분야인 영어교수법, 사회언어학에의 관심도 증가되는 추세이다.




2 . 교과과정은 어떻게 짜여지는가?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눠서 짜 볼 수 있다.

1 ) 영어학 영역

학생들이 영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며, 다양한 언어 자료의 분석을 통해 논리적이며
체계적인 사고를 하도록 한다.

- 전공탐색 과목 : 영어학입문 - 영문학을 전공하는 모든 학생들이 반드시 수강하여야 함.

- 일반전공 과목 : 영어학개론 - 영어의 현상과 이론을 광범위하게 다룸으로써, 학생들이 영어학의
                         전반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 심화전공 과목 : 영어음성학 (굉장히 난해하다) 영어낱말분석, 영어문법론, 영어구조론
                         영어담화분석 (언어학적인 지식이 요구) 영어교육, 응용언어학









2 ) 영문학 영역

영문학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과 동시에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전공탐색 과목 <영어학 입문> : 영문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위한 기초 과목, 시, 소설, 
                                           희곡 작품을 폭넓게 감상하며, 비평적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전공 과목 <영국문학개관> <미국문학 개관> : 영미문학의 역사적 맥락과 흐름을 문학으로 파악.

심화전공 과목들은 시대, 장르, 작가별로 세분화되어 3,4학년을 위하여 개설된다.

실용영어교육 또한 SG 원어민 강사에 의해 읽고 쓰고 말하는 능력을 끌어 올려 준다.



                       고전문학                                                   현대비평
                                     ↘                                           ↙
                                            영미문학 (작가, 시대, 텍스트)

                       문화지역학↗                                             ↖영화와 연극










3 . 졸업 요건



단일전공

1 ) 최소이수학점

   기초    일반 또는 심화     계 
18 학점        30 학점       48 학점



2 ) 필수과목명 기초 

1. 영어글쓰기(1)
2. 영어글쓰기(2)
3. 영어학입문
4. 영문학입문
5. 영어학개론, 영어변천사, 영문학개관(1), 영문학개관(2),
    미국문학개관 중 2과목


이중전공

1 ) 최소이수학점


   기초    일반      심화     계 
12 학점 12 학점 15 학점 39 학점 



2 ) 필수과목명 기초 

1. 영어글쓰기(1)
2. 영어글쓰기(2)
3. 영어학입문, 영문학입문 중 1과목
4. 영어학개론, 영어변천사, 영문학개관(1), 영문학개관(2), 
    미국문학개관 중 1과목







4 . 졸업 후 전망과 진로





현재까지의 졸업생은 영문과 졸업생이 3천 8백여명이며, 인문학부를 포함하면 4천 5백여명에
이른다. 이 중 약 500여명을 대상으로 졸업생 취업 및 활동 상황을 조사한 결과, 교수 및 교사
200명, 회사 경영인 및 직원 300명, 언론방송인 20명, 작가 10명, 목사 10명, 외교관 3~4명 
정도로 파악된다.

영어영문학은 학생들이 진출하는 모든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기본적 소양을 제공하며,
미래를 여는데 가장 탁월한 바탕학문으로 봉사해 왔다. 현재 중국의 위상 급상으로 인하여
도전을 받고 있으나 가장 널리 쓰이는 영어에 대한 중요성은 여전할 것이며 그에 따른
영어교육, 번역학, 인지과학 등과 관련, 그 실용성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학생들의
취업이나 진로선택에 절대적인 도움이 있을 것이다.

본 영어영문과에서는 이러한 점을 들어 Snu roman.이 개설해 준 이 자리를 빌어
당당히 말하며 좀 더 궁금한 사항은 동문회 홈페이지 http://www.yonseienglish.net
으로 들려주길 바란다.

보다 실질적으로 얘기해주면, 영문과는 취업에 있어 타 전공 대비 상당부분 유리하다.
사실 어딜 가든, 영어는 필수이지만 아직 영어로 유창하게 회화하고 통번역할 수 있는 이는
여전히 드물다. 토익, 텝스로 나 좀 영어한다며 어깨를 으스대던 자도 인도 사람의 무지막지한
발음을 한 번 듣고 나면 손을 덜덜 떨며 지난 날을 후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영어능력자'의
수요는 아직도 많으며 공급은 그것을 초과하지 못한 상황이기에 상당히 시장성이 있다. 영어영문학과가
타 전공 대비 취업에 유리한 이유이다.







5 . 영어영문학의 매력


영어영문학은 타전공과의 연계성이 상당하여,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걸맞게 유용학
학문 분야이다. 지역학을 비롯한 여타의 관련프로그램과 연계한다면, 외국어 구사력과 동시에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미 문화와 영어에 대한 이해는 매우 현실적인 요구이다.

이런 점에서도 다시 한 번 영어영문학은 학술적 자율성과 현실적 효율성이 잘 조화된
확문이라 감히 단언한다.









6 . 전공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가

과 사무실 : 2123-2300

-과 사무실에서 개설과목과 교수님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학회 -  한국영어영문학회 http://www.ellak.or.kr/
          근대영미소설학회 http://www.baf1900.or.kr/
          영미문학연구회    http://www.sesk.com/
          안과밖                http://sesk.superboard.com/










7 . Snu roman.'s Comment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영어영문학과에 진학하려는 많은 학생들이 영문과를
'어학'을 배우는 곳으로 오인하고 있다. 영문과는 '어학'보다는 '문학'에 중점을
두고 공부한다. 정말 나는 정부 통번역사 정도로 일해보고 싶다면 통번역대학원이 있는데
한국외대, 이화여대 등에 개설돼 있다.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에 들어가기 위해선 굉장히
높은 수준의 영어가 필요하다. 그러니 영문과 진학하며 통번역 실력이 늘 거라 기대하는 것은
호텔경영학과에 진학해 힐튼, 쉐라톤 정도 되는 호텔을 경영하는 드라마 속 현빈을 상상하는 것만큼이나
안타까운 일이라 하겠다.

(2004학년도 언어 오답시비 문제 최초 문제제기자인 서울대교수 역시 불어불문학과 교수였다. 프랑스어 능통자 입장이 아닌 문학 전공자 입장에서 문제를 제기했기에 사회는 귀기울였다. 이번 세계지리 문제는 개인적으로 명백하게 잘못된 문제이지만 학원 강사 몇만 문제를 제기했을 뿐 서울대 교수 정도의 지적 권위를 담보한 사람들이 침묵했던 게 가장 큰 요인이라고 보인다.)

전공에 대해 이러한 기본적 요건 조차 알지 못 하고 간다는 사실은 필자 입장에서도
상당히 안타까운 일이며, 부디 본 Staple file of Major reporting을 통해 설명 전공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다양한 탐색을 할 수 있다면 이 늦은 밤에 키보드로 적지만은 않은
타자를 치고 있는 필자 입장에서도 더 바랄 것이 없다 하겠다.







※ 본 자료는 오직 www.orbi.com 내 일부 게시판에서만 독점 게재되는 것으로

    무단 게재는 가능합니다. 

※ 부족한 자료에 성원해주시는 분들, 감사합니다.
    
※ 다음 전공탐방은 가장 매력적인 학과? 낚시과?  논란의 주인공 <신문방송학과(언론홍보영상학부)>입니다. 2000년대 수많은 고득점자들을 낚으며 문과 최고과로 등극했던 이 과에 대해 파헤쳐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 혹시 알고 싶은 학과가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참고하겠습니다.

Best Regards,
Snu Roman.(에쎈유 로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