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지님 프로젝트에 대한 사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868035
일단 정말 세상에 정말 좋은 사람이 많다는 생각이들고,
본인들의 재능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눈다는 점에서 너무 좋은 프로젝트라는 생각이들고 계속 응원하겠습니다.
글 전체 내용은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칼럼과 멘토링 같은것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2가지는 오류가 없는 정보를 전달과 꾸준히 학습할 열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꾸준히 학습하는 열정을 가진 사람은 많을 수 있겠지만 오류가 없는 정보 전달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특히나 국어나 과학탐구이런 부분이 심할 것 같습니다.
(수학이나 영어가 쉽다는것은 아닙니다. 상대적으로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국어랑 과학이 높다는것입니다.)
2022수능 대비 김동욱 선생님의 일클래스와 취취래스 수업 준비를 하시면서 자기가 아는 의사이웃에게 물어보았다라고 하는걸 보면서 느낀거지만, 국어 비문학 글에서 나오는 지식을 모두 가지고 있지는 않아도 이에 대한 어느정도 지식을 공부해서 수업을 하시는건 학생들에게 조금이라도 잘못된 배경지식을 심어주지 않기 위함입니다.
문제를 푸는 학생이 비문학 글의 전체적인 지식을 알 필요는 없지만 이를 설명하는 사람은 글에서 언급된 내용에 대해서는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만 합니다.
영재고 입시를 준비하면서 물화생지1,2 전과목을 다 공부했고 영재고 입학이후 일반물리 화학 생명과학 그리고 현대물리학 고전역학 유기화학 현재공부중인 분석화학까지 공부했지만, 제가 든 생각은 생각은 나 똑똑해! 가 아니였습니다
고등학교 수준의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은 고등학교 수준을 제 예상보다도 훨씬 넘어서는 수준인것 같았습니다.
화학2의 경우에는 이전 교육과정부터 명백한 오류가 있는데도 수정이 안되었는데 이걸 잘 모르고 공부하는 사람이 대부분일거구요(저도 학교 선생님께 듣고 그렇네? 하고 알았습니다..)
출제하시는 교수님들도 그래서 그런지 이에 대한 ㄱ,ㄴ,ㄷ 선지는 한번도 출제하지 않으시더라구요..
칼럼이나 멘토링 문항 제작 같은 활동은 생각보다 가벼운 활동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확실한 시간 투자와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지원을 했으면 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잘 가려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꼭 성공적으로 끝나서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이 가장 나은듯... 어떠십니까?
-
풀다가 머리 터질거같ㅌ유ㅠ
-
"웹소설 원작 말고, 옛 소설을 원작으로" "솔직히... 한 번쯤은 상상해 봤잖아"...
-
** 다지인 이미지가 생겨 새로 업로드합니다. ** 《2025 수능완성 국어 문학...
-
[유형 연습 ①] “문해력의 개념과 직업 문해력” #기초적문해력 #기능적문해력...
-
《2025 수능완성 국어 문학 작품 목록》 ** 유형편 (문학) ** 교목...
-
수능완성 표지보고 딱 든 생각
-
EBS 오피셜 : 수능완성 투표 잘한거지..? 자기들도 당황했나보네.. 대체 무슨...
-
수능완성 표지 떴다 32
나는 다 별로다….. 투표 ㄱㄱ
-
특히 사탐이랑 수학이 ㄹㅇ
-
[수I 수완 변형] 왠지 꼭 나올 것 같은 변형문항 3개 + 손풀이 6
안녕하세요, 수학대왕입니다! 벌써 금요일이네요 모고 푸시는 분들도 있고, 약점...
-
수완 지구과학1 실모 3회 8번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
그림만 보고 어떻게 남반구 북반구를 따질 수 있나요? 어딜봐도 남반구 북반구 구별할...
-
문제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사진은 17학번 머스크 님의 수완출 수1입니다.) ....
-
어제(6월 2일) 출간한 2024 수능 연계교재 수능완성 국어영역 문학 수록 작품...
-
시원하게
-
처음에 낭자야 이러는데 이거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봐도 되나요?
-
수능완성 91쪽 7번 문제 문제 상황을 보면 강철 용기에서 A, B, C의...
-
진짜 사설 실모급 혹은 그 이상이네 ㄷㄷ 킬캠에 나올만한 문제,호훈모애 나올 문제등...
-
67페이지 2번 문제 문제에서 의도한 상황 (가)~(다)에서 A와 B의 몰수,...
-
수특 수완 3
올해 수능치는 04 현역인데 수특이랑 수완 둘다 풀어야 하나요?? 굳이 따지면...
-
아직 베너를 눌러봐도 링크가 뜨지 않아서 모든 과목의 표지는 모르겠지만 추측상...
-
수특 수완 0
안녕하세요 올해 현역 미적 화학 생명 선택하는 이과 고3 입니다 수특 수완 꼭...
-
한수달 8호 후기 모음 37
한수달 8호는 EBS 수능완성 분석집입니다! EBS는 한수달로 뿌셔뿌셔! 이번 8호는 어떠셨나요~?
-
수완확통 0
이거 꼭 풀어야하나요? 기출이나 사설에선 별로 안힘들게 풀었는데 수완푸니까 문제도...
-
선거권의 차등부여는 평등선거 위반이 아닌 보통선거 위반 아닌가요?
-
[공지/재업] 수능완성 영어 거의 'free' '혜자' 현강 32
헬로 션티입니다. 저번주에 올린 수능완성 현강 글입니다. 이번주 일요일 개강이고,...
-
[Shean.T] 수능완성 영어 거의 'free' '혜자' 현강 122
헬로 Immature banana man, 내 이름은 션티입니다. EBS 수능완성...
-
http://u.ebsi.co.kr/ebsiapp/survey/surveyList.d...
-
수완 국어 3회 문제 질문드려요 ㅠㅠㅠ (중생구원부탁드립니다) 1
37번 에서 지문에는 "천제께서 나에게 명하시기를, '최치원이 천상에 있을 때 마침...
-
수능완성 수학 난이도 객관적으로 어떄요?
-
배경지식얻으려고 수능완성 실전편풀엇다가실컫 욕만하고, 책 집어 던졌습니다...
-
물리1 수능완성 112쪽 8번 유체역학 누가 문제 상황좀 이해시켜주세요.... 15
물리1 내용을 질문할 곳이 이곳밖에 없어서 질문 남겨요ㅠ 주어진 숫자로 수식을 세울...
-
이 수완에서 젤 어려운 거 같음; 문송... 근데 삽입 문제로 좋아서 빼지도 못하겠다. 주륵...
-
평이합니다. 공부한거 확인하실겸 가볍게 풀어보세요.간접 연계 문항도 2개...
-
아 이걸 어떻게 해야하려나 수능완성 적분 2번 같은건 모양이 한눈에 다들...
-
[수완 정정] 답답해서 직접 만든 생2 수완정오표 (캠벨) 6
수능완성 생명과학II 풀다가 하도 이상한 느낌이 드는 선지가 많은데 EBS에서는...
-
수완 실전 2회에 18
작년 ebs 너무 많이 보인다... ㅡㅡ
-
제가 혹시 "표본평균의 표준편차"와 "표본평균의 평균"을 잘못 이해하고 있나요? 0
안녕하세요, 인하대 기계과 3학년까지 마쳤는데.. 새로운 꿈이 생겨 공익하며 열심히...
-
국어 수완 실모 3
이번 수완 실모 비문학 저만 어렵나요ㅠㅠㅜㅜㅜㅜ6월때도 백분위 95는 나왔는데 막...
-
수특/수완 아직 공부 안했습니다. 기출 만 죽어라 파고 있는 상태 입니다. 이제...
-
그림에 그린대로 저는 그래프를 저렇게 그려서 그렸는데요(왼쪽 원함수 오른쪽 절대값...
-
그냥 폐기해달라고 했는데 택배아저씨께 죄송하게 됬네염 그 분 그렇게 받는다고 댓글...
-
한 챕터마다 있는 Let's check it out은 기출문제 아닌거같은데 이것도...
-
세계사 수능완성 0
어려워진것같지않나요... 마더텅 2005~2015 기출 분석 다 끝내고 푸는건데수...
-
직접 연계용 수능완성을 한 권 더 실수로 구매하는 바람에 갑작스럽게 이.벤.또.가...
-
9평앞두고 복습하는데 그것들만 안했더라구요연계되나요?
-
늦게시작한 반수생입니다,, 영어 ebs 질문드려요ㅠㅠ 1
6/30 부터 반수시작하고 열심히해서 현재 인수1,2 n제 수능완성 (실전2회남음)...
-
어렵다는 말을 많이 들어온지라 한번 궁금해서 풀어봤는데 확실히 난이도가 좀...
-
국어 영어 사탐은 예전에 다 풀고 계속 돌려보고있는데 수학 미통유형편이 정말 문제가...
-
주위에 한명도 업네요 ㅠㅠㅠㅋㅋㅋㅋ외로움 ㅋㅋㅋㅋㅋ 물투가 아닌게 다행이긴 하지만ㅋㅋㅋ
믿지님도 충분히 염려하고 있는 사항이니 잘 흘러가리라 생각됩니다.
저도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너무 좋은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지금 프로필들 중 전원이 그보다 압도적으로 검증된 편들도 많으셔서 오히려 지금 지원이 무의미한 건 아닌지 걱정될 수준입니다. 전 뉴비 유저들을 더 원하는데도...
전 새로 오신 분들 중의 능력자들과 현존 유저들이 협동하는 걸 원했는데 이대로면 그냥 아예 사설 모고 팀 수준이라서...
저는 검증된 분들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방향이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생각이나 지식을 전달하는게 쉬운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서요
새로운 분들을 받는건 나중에 천천히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분들 중심으로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는게 더 좋다고 생각하구요
사실 그래서 이미 성공한 1차 멤버들로 표본을 얻고, 그 후에 천천히 팀원들과 노하우 공유를 통해 대형 비싼 학원들에서나 볼 법한 자료들이나 팁들을 여기에 게시하는 게 목적입니다.
저도 확실하게 1차 멤버들을 중심으로 다른 분들에 대해서 확인하는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첫 해는 안정적으로 초석 다지는 게 맞다고 봐요. 저도 고민 중이니 관심 가져주신 거 감사드린다는 ㅠㅠ
저도 첫해는 일단 소수로 확실하신 분들만해서 진행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좋은 일 총대 메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