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샘 [441190] · MS 2013 · 쪽지

2013-12-15 10:11:37
조회수 1,005

안녕들 하십니까?(국어 문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79494


  국어의 '상대높임법'은 다른 높임법(주체높임법, 객체높임법)과는 달리 격식체 4등급, 비격식체 2등급 등의 등급으로 나누어지는데, 각 등급은 통상 ‘명령형’을 기준으로 ‘하십시오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이상 격식체), ‘해요체’, ‘해체’로 부릅니다. 국어 문법 영역에 출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출제된다에 100원 걸겠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익혀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 제시된 사례는 물음과 대답이 모두 동일한 등급으로 되어 있습니다.)


1. 격식체(아주높임-하십시오체)


물음 : 안녕들 하십니까?


대답 : 안녕하지 못합니다.


 


2. 격식체(예사높임-하오체)


물음 : 안녕들 하오?


대답 : 안녕하지 못하오.


 


3. 격식체(예사낮춤-하게체)


물음 : 안녕들 한가?


대답 : 안녕하지 못하네.


 


4. 격식체(아주낮춤-해라체)


물음 : 안녕들 하니?


대답 : 안녕하지 못하다.


 


5. 비격식체(두루높임-해요체)


물음 : 안녕들 해요?


대답 : 안녕하지 못해요.


 


6. 비격식체(두루낮춤-해체)


물음 : 안녕들 해?


대답 : 안녕하지 못해.


 


* 제시된 예문 가운데 ‘물음’에 포함된 ‘들’은 ‘그 문장의 주어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므로 제외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안녕하십니까?’는 생략된 주어가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지만 ‘안녕들 하십니까?’의 생략된 주어는 반드시 복수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