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경영각 [1043932] · MS 2021 · 쪽지

2021-11-14 20:11:45
조회수 786

윤리와 사상 질문) 흄 - 이성적 관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544268

자연에 대한 이성적 관조를 통해 수동적인 감정의 속박에서 벗어나야 한다


스피노자, 흄 벤다이어그램인데 스피노자만 o라고 해서요

흄은 왜 부정인가요?


수동적인 감정이 관념인 건 알겠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구도도 · 1075979 · 21/11/14 20:21 · MS 2021

    흄은 무조건 감정>이성인데 감정의 속박에서 벗어나면 안되잖음

  • 22경영각 · 1043932 · 21/11/14 20:35 · MS 2021

    ㅇㅎ 그냥 그렇게만 생각하면 됨? 감정이 더 중요한 건 알겠는데 수동적인 감정 이러니까 뭔가 나쁜 축에 있는 건 버려야 하나 싶어서 고민했음

  • 구도도 · 1075979 · 21/11/14 20:36 · MS 2021

    흄은 이성이 무조검 감정의 노예라고 생각하니까
    걍 이성이 감정보다 더 낫다~ 싶게 나오는건 웬만하면 다 아니라고 저는 걍 생각하고 있음

  • 22경영각 · 1043932 · 21/11/14 20:38 · MS 2021

    그럼 [신의 은총에 의해 정념의 방해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본다] 이거 아우구스티누스 o 스피노자 x인데 이건 왜 스피x인 줄 앎? 둘 다 신의 은총 인정하고 정념 벗어나기 긍정이라 둘 다 o인 줄 알았는데 ㅠ

  • 구도도 · 1075979 · 21/11/14 20:42 · MS 2021

    스피노자는 인격신이 아니잖음 은총 내려주는건 무조건 인격신임

  • 22경영각 · 1043932 · 21/11/14 20:46 · MS 2021

    아 스피노자 지복 그거 이성적 관조로 신과 합일될 때 얻을 수 있는 정신적 만족이라 했으니까 신과의 합일이지 신의 은총은 아니라는 거고 은총은 신이 무언가를 주는 건데 스피노자 입장에서는 신은 그저 자연 그 자체에 기계고 자유 의지 없다고 보니까 내가 말한 지문은 중세 그리스도교, 인격신 입장만 되니 아우구스티누스만 된다는 말이지?? 너 윤사 1 받아라 ㅋㅋ 고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