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공통질량중심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0235619


행성과 중심별의 질량이 일정할 때,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이 늘어나면(행성과 중심별간의 거리가 늘어나면)
행성의 공전 주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별의 편이량은 감소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공통 질량 중심이 행성쪽으로 이동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라고 배웠는데
보기 ㄷ이 왜 맞는건지 이해가 안됩니다ㅜ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단 EBS 본교재는 1번씩 풀기만했어요 EBS 변형교재를 풀려는데 제 생각에는...
반지름 커지니까 비율은 그대로지만 절대적 길이는 늘어나요
감사합니다 그런데
행성과 중심별의 질량이 일정할 때,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이 늘어나면(행성과 중심별간의 거리가 늘어나면)
행성의 공전 주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별의 편이량은 감소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공통 질량 중심이 행성쪽으로 이동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라는 말과 모순 아닌가요?
공통질량 중심이 내분점이니까 행성 궤도가 커지면 항성 공전 궤도도 커짐
감사합니다 그런데
행성과 중심별의 질량이 일정할 때,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이 늘어나면(행성과 중심별간의 거리가 늘어나면)
행성의 공전 주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별의 편이량은 감소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공통 질량 중심이 행성쪽으로 이동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라는 거랑 모순되는 거 아니에요?
공통질량중심은 항성계 중앙에 그대로 있으니 이동한다고 말할 수 없는게 맞고
항성의 공전궤도가 커지면 공전속도가 줄어 편이량이 줄어드니 정합적인 명제입니다.
계속 항성을 항상이라고 쓰네
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