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 토나올 것 같은데 기출 또 봐야 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820706
이 시기가 되면 국어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죠.
전반적인 학습 매뉴얼은 위 글을 참고하시고,
오늘은 기출을 이미 n회독 이상 하여 '기출 토 나올 때까지 봤다. 또 봐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드는 분들을 위한 학습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 학습법은
"결국 기출이 올해 수능 시험지와 가장 닮은 시험지가 될 것이다."
라는 전제를 깔고가는 학습법인데요.
'이 기출문제가 만약 수능 문제로 출제된다면 나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에 대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써보는 겁니다.
가령
위와 같은 지문이 수능에 나왔다고 쳐봅시다.
어떻게 대응할 거죠?
3
2
1
바로 튀어나와야 합니다. 대응 방법이.
안 그러면 수능장에서도 절 거예요. 어... 어... 어떡하지.. 이렇게 읽어야 하나ㅏ...?
이러면서 시간을 낭비하게 되겠죠.
저는 아마 다음과 같은 대응을 떠올릴 것 같습니다.
1) bis 비율에 네모 박스가 쳐져 있다. 아마도 문제에서 물어볼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다. BIS 비율이 무엇인지는 대략적으로라도 확실하게 머릿속에 박으면서 가야 문제 푸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2) 수식과 그 수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이어져있다. 이해가 잘 가는 수식이라면 모르겠지만 일단은 이해가 잘 안 가는 수식이므로 옆에다 자세하게 메모해두는 게 좋을 듯 하다. 지문을 읽을 때나 문제를 풀 때나 돌아와 보기 편하도록.
3) 기본자본, 보완자본, 단기후순위 채무, 위험 가중치. 이런 개념어는 내가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 아니다. 혹시라도 뒤에 이 단어들의 설명이 이어지면 잘 붙여 읽어줘야 할 것이다.
이렇게 기출이 기억에서 사라졌다 가정하고, 대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계해두면
실전에서도 비슷한 부류의 지문이나 문제가 나올 때 쉽게 대응이 가능할 겁니다.
'아... 어떻게 하지..?'라는 고민 없이 가게 되겠죠.
이렇게 3개년(많으면 7개년)만 확실하게 분석해보세요. 큰 도움이 될 겁니다.
3줄 요약
1. 기출이 올해 수능 시험지와 가장 닮은 시험지가 될 것이다.
2. 그러니 기출이 수능 문제로 출제되면 어떻게 대응할지 시나리오 짜보자.
3. 3~7개년만 분석해도 수능장에서 절 확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끝나다
-
사탐은 존나 쉽게 나오고 과탐은 존나 어렵게 나오겠네…
-
찍맞 없어짐 + 실수 = 컷 내려감 따라서 문제 난이도 좀 낮춰도 괜찮을 거 같은ㄷㅣ
-
캐스트처럼 보게
-
오네쇼타 1
요망한 년
-
50 50 만들어야겠다
-
일단 나부터ㅋㅋ 미적 폐강시키고 스터디윗미 찍어주세요?? 강의 준비하는 범바오가 보고싶음
-
미적분도 확통런 영향 많이 큰가요
-
팔로우 돼 있는데 누가 닉변한거지
-
내가 저능한건지 원래 그런건지
-
범바오도 가버렸네…
-
이정도 잡고풀면 되나요 보통 30-35분 사이로 들어오던데 더 줄일 필요는 없을꺼요
-
화1 선택하는 재수생인데 김준 문풀 따라가려면 개념 강의부터 들어야하나요..?...
-
프사 테두리 2
똥색됐네
-
네!
-
국어 때문에 삶을 포기하고 싶습니다
-
3월도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생명 고정 만점 받고싶다..
-
수능을 빡공해서 논술을 쌀먹하자(2025 성균관의) 2
문제 2-ii의 경우 깡계산을 하면 미친 계산량에 압도당한다. 하지만...
-
베이비슈
-
이번 3모도 그렇고 꼭 한끗이 어긋나서 시간을 와장창 쓰거나 틀려버림ㅠ 미치겠다...
-
국어만 어케하면 0
될것 같은데.. 국어가 항상 높1이 안나옴 ㅋㅋ
-
2028학년도 경희대 자연계열 이수 권장 과목(의예, 치의예, 한의예, 약학 포함) 0
https://blog.naver.com/analysis_81/223816650762
-
강남하이퍼 본관 1
강하 다녔거나 다니는 사람들 중에 장/단점 얘기해줄 분 계신가요?? 교재나...
-
작년 강k 수학 모고 구해서 심심할때마다 모의고사나 n제 느낌으로다가 풀라는데 시중...
-
뉴런말고요 벽느껴서 수열은 도저히 못해먹겠는데..
-
"f(x)=f(1)"은 0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이러고는 다른...
-
서초 메가스터디 재종 다니려 하는데 다녔거나 다니는 사람들 중에 장/단점 얘기해줄...
-
양보단 질 4
-
배민 2만원 쿠폰 줄 사람 있냐
-
갤럭시 북 프로 5 16인치 사려고 하는데 공대생이 쓰기에 어떤 것 같나요,,?
-
뭔가 수2보다 피지컬을 더 요구하는 느낌 이번 3모 수1다 맞았으면 커하였는데...
-
뭐가 더 좋나요? 둘중 하나만 할 생각인데
-
왜 음료가 남은거야 이건 좀 아니거덩거덩스
-
정말열심히하겠습니다 5모때 달라진 모습 보여드릴게요.
-
오늘 첫 오르비 6
.
-
지투러분들 5
지1에서 지2로 갈아타는거 어떤가요 ,, 갭차이 심한가요?
-
맛있음?
-
뭔가 더 정교해지고 싶은데 2년째 글씨체가 늘질 않네요 왜지..
-
으흐흐 퇴근함 0
놀아주세요
-
3모 국어 문학 1틀 화작 1틀 독서10틀입니다 문독화 각각 25 35 20분 잡도...
-
해 민초 좋아하는사람 볼뽀뽀해주고싶음 이 맛난걸 왜 안먹노
-
레어 잔뜻 사기 2
네
-
하
-
기구하다
-
ㅋㅋ 치타는 달린다
-
실모 풀 실력이 되면 얼마나 더 재밋을지 상상이 안 가네
-
그냥 궁금합니다

개추를 벅벅지금 n제 및 실모 풀다가 수능 20일 전부터 다시 기출로 돌아가려하는데 어떤가요??
병행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낯선 문제를 대하는 감각과 평가원 코드를 대하는 감각 모두 수능때까지 계속 유지하셔야 해요.
감사합니다

다시 돌아가서"처움봤다생각하고"한문장읽고 이해하고
한문장읽고 이해하고 축자적의미 활용하고
추론하고 ... 하고있네요
심멘..

심멘...문학에서 새롭고 어려운 지문을 보고 싶은데 어떤 컨텐츠 추천하시나요?
문학 고난도만 모아놓은 컨텐츠로 떠오르는 건 없고, 평가원 기출 중에서 오답률 높았던 문제들 모아보시는 거 추천드려요. 여기에 실모나 EBS 얹어가구요. 문학은 사설 고난도에 몰입하면 기준이 흐려질 수 있어서 조심스럽네요ㅜㅜ
감사합니다!
유성업!
3개년 기출, 릿밋딧,사관,교육청 선별, 약한 유형 간쓸개, 문학 연계 +2일1실모 하려는데 어떤가요??
다른 건 다 괜찮은데 저는 릿밋딧 사관은 지금 시기에는 막 추천드리지는 않아요! 하고 싶으시면 플러스 알파정도로 얹어가는 느낌? 지금은 계속해서 최대한 수능과 겉모습이 '닮은' 문제를 푸는 게 좋다고 생각해서요.
질문있습니다.
예를 주신 bis 비율 지문 의 기본자본. 보완자본. 단기후순위 채무 이런 용어들의 뜻들을 지문을 읽지 않고 바로 알수 있을정도로 암기? 파악? 하고 있어야 할까요?
기본적으로 알고있어야 할 단어들은 당연히 아니라 생각합니다. 저 지문 다 맞힌 학생 중에서도 저 단어들의 정확한 뜻을 이미 알고 있는 학생은 거의 없지 않을까요?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이게 시험보는데 최적화된 대비 자세인 듯 하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역시 모든거의 기본은 기출이군요..
이원준 현강 다니는데 주간지가 기출2회분+리트1회 인데 이정도면 기출+N제 비율 적당한가요? 실모2개도 풀어요
네 적당해 보입니다. 등급별 학습비율은 제 최근게시글 보시면 자세하게 참고하실 수 있을 거예요!
지금 시점에서 하루에 비문학 지문 비율은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기출 2지문 + 리트나 간쓸개 1지문 하고 있는데 조정이 필요할까요? 실모는 일주일에 두개 풀고있습니다
제 최근 게시글 중 '파이널 국어 학습 매뉴얼' 이라는 글이 답변이 될 것 같습니다!
맞아요. 여기에 더해서 당해년도 평가원에 나오는 주제를 좀 더 유심히 살펴보세요. 살짝 변형해서 나오더라구요.
기출에 특훈n제 그 리트 수능형변형지문 실모 병행하려는데 괜찮을까요?? 기출을 우기분할지 혼자할지도 고민입니다.. 6모9모 언매 둘 다 1등급이고 독재학원에서 보는 학평도 1이긴하나 막 높은1 이런건 아님니당 ㅠ
넵 괜찮아보입니다. 본문 게시글의 분석법+인강 병행하시지요!
쪽지로 질문드렸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