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칼럼] Ep.3 통사적VS비통사적 합성어 암기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924534
안녕하세요.
언어 암기법을 전승드릴 "옯대전"입니다.
오늘은 [국어 칼럼] Ep.2 장단과 미지칭VS부정칭 암기법 (클릭 시 이동)
에 이어서 [국어 칼럼] Ep.3 통사적VS비통사적 합성어 암기법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사적&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한 문제는 충분히 나올거라고 염두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7학년도 6월 평가원
2015 시행 7급 공무원
여러 시험에서 출제될 만큼 중요한 개념입니다.
자 그럼, 시작해보까요?
일단 통사적, 비통사적 합성어가 뭔지 노베분들을 위해 개념을 설명드릴게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통사적 합성어는 통용적(=일반적인=정상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는 비통용적(=특이한=비정상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합성어 입니다!!
들으시면서 엥 정말? 싶으실 수 있는데 그렇습니당ㅎㅎ
그럼 바로 스피드 있게 꿀팁 알려드립니다.
자 따라해보세요
어미 없는 부명이가 비통하다.
자 다시 따라해보세요
어미 없는 부명이가 비통하다.
자 마지막으로 한번 더
어미 없는 부명이가 비통하다.
이게 무슨 말이냐?
어미(관형사형 어미, 연결 어미 등등)가 없거나
부사가 명사를 꾸며주는 합성어는
비통사적 합성입니다.
바로 예시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x 1) 덮밥
'덮밥'은 덮+은(관형사형 어미)+밥에서 관형사형 어미 '은'을 생략한 비통사적 합성어입니다.
여기서 관형사형 어미가 궁금하실 수가 있어서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말 그대로 관형사 같은 역할을 하도록 붙는 어미입니다. (관형사로 만드는거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은는을던 이죠.
Ex 2) 밥을 먹을 것이다.
Ex 3) 먹어 버린 치킨 ==> '-ㄴ'도 가능합니다.
Ex 4) 내가 그리던 사람.
그렇다면 이거는 통사적일까요 비통사적일까요?
Ex 5) 검버섯
검+은+버섯에서 '은'이 생략된 비통사적 합성어입니다.
연습해보고 싶은 분은 댓글 달아주세요
앞에서 관형사형 어미에 대해 다뤘다면
이번엔 연결 어미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 어미 종류는 정말 많습니다.
뭐 예시를 들어보면
-게 -고 -며 -면 -니 -지 등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시험에 적용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연결 어미를 꼽는다면
'아어게지고'입니다.
자 읽어볼까요
아어게지고
다시 한번더
아어게지고
바로 적용하겠습니다.
Ex 6) 오르내리다
오르 (고) 내리다
Ex 7) 뛰놀다
뛰 (어) 놀다
Ex 8) 보살피다
보 (고) 살피다
거의 대부분의 예문들은 '아어게지고'로 풀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부사가 명사를 꾸며주는 합성어입니다.
여기서 헷갈리는 것이 있습니다.
부사를 어떻게 구별하는가?
산들, 뾰족은 부사일까요?
제 경험상 의성어나 의태어는 부사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예시로 풀어보도록 하죠.
Ex 9) 척척박사
척척(부사) + 박사
Ex 10) 산들바람
산들(부사) + 바람
Ex 11) 알뜰주부
알뜰(부사성 어근) + 주부
위에서 말했듯이 예문을 더 연습해보고 싶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용
그럼 이제 좀 더 지엽적인 내용을 배워볼까요?
우리말 어순이 아닌 것과 사이시옷도 비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합니다.
사이시옷은 내용이 심도있고 어려운 파트여서 나중에 따로 빼서 다뤄보도록 하죠.
그럼 우리말 어순에 맞지 않는 비통사적 합성어를 알려드릴게요.
여기서 우리말 어순이란 주어 + 목적어 +서술어 형태입니다.
Ex 12) 등산
등산은 오를 (등) + 뫼 (산) 이 합쳐진 단어입니다.
이 때 어순은 오르다(서술어) + 산을(목적어)으로
우리 말 어순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르다(서술어) + 산에(부사어)로 봐도 무방합니다.
제 경험상 통사, 비통사 구별법은 많은 예문을 알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Ex 13) 굶주리다
굶 (을) 주리다. (X)
굶 (어) 주리다. (O)
처럼 헷갈리는 합성어가 많습니다.
무조건 스킬로만 해결하지 마시고 많은 예문을 접해보세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시러들
헷갈리는 게 있으면 국립국어원 검색보다는 학교쌤한테 물어보세요
뭐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Ex 14) 열쇠
열 + ㄹ (ㄹ탈락) +쇠 (통사적)
열 + ㄹ (관형사형 어미 생략) +쇠 (비통사적)
으로 견해가 다양합니다. (참 어쩔수가 없네요)
따라서 국어 선생님께 물어보는 것을 1순위로 삼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국어칼럼] Ep.4 높임법 암기법
으로 만나뵙도록 하겠습니다.
좋아요 & 팔로우는 저에게 아주아주 큰 힘이 됩니다
ps. 이건 헷갈린다 하는거 있으면 답글이나, 쪽지 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당 (선정 될 시 덕코드림)
0 XDK (+1,000)
-
1,000
-
로망임.. 돈 열심히 벌어야징
-
바니가루 ~
-
궁금해요
-
걍 어삼쉬사 좀 풀고 촉촉수분감 스텝1 수준만 해도 낮2는뜰거같은데 라고 고난도기출...
-
맞팔구해요 0
제발 금테가자
-
아니 너네 못하는거고 자꾸 우리팀 끌어들이지 마세요 0
이 슈발것들아 왜 자꾸 우리팀을 느그쪽으로 끌어들이셈.;; 근데 그거랑 별개로...
-
최근에 택시 탔는데 기사님이 "학생 이명학 알아요?" 이러시는거임 그래서 아 네...
-
음음
-
학교에서 신택스처럼 수업해주면 좋갯어서…
-
안녕하세요.. 재수중이고 이번에 5덮 현장응시했습니다. 제목 그대로 시험결과때문에...
-
5덮 결과 2
화 82 미 84 물 40 지 34 어케될까요...
-
송형준 이진우 릴스에 떠서 보는데 넘 귀엽네..
-
미적만 3틀이네 하
-
이것도 법에 저촉되나
-
우걱우걱 12
우걱우걱우걱
-
5덮 점수.. 3
언매 87 미적 80 (4점 찍맞) 영어 100 물1 31... 생1 37 현역인데...
-
워드마스터 하이퍼면 수능준비로 다른거 볼필요 없나요??? 1
다른거 볼필요 없나요??? 이거 생각보다 수준이 있네요 외우고있는데 좀 당황ㅋㅋㅋㅡㅡ
-
바닥에 재우시나요 침대에 재우시나요 슈퍼 싱글이라 침대에서 같이 잘 때도 있고...
-
화작 100 미적 89 (6번 9번 30번) 영어 98 생1 38 지1 41 미적...
-
나 사실 5
바니걸이 되어보고싶엉 우웅~~
-
나쁜말 ㄴㄴ 0
ㄴㄴㄴㄴㄴ
-
내가 여자였으면 10
메이드복만 입고다닐거임 그러니까 입고다녀.
-
야자 끝 1
수련회 스토리 보기 싫어서 인스타 지움ㅜㅜ 기말 올 1 만들고 만다 진짜
-
브래지어 입음 15
괜찮네용
-
어라 격추당했네 0
그러게 간보면서 까야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덕배야 잘 가 0
그래그래
-
듀렉 ㄹㅈㄷ네 0
오늘 안딜은 개잘하는데 리치, 유칼은 개 ㅈ박고 있네 계속
-
누가 설명해주거나 답지보면 이해하는데 혼자서 생각을 못해서 오답노트를 작성하려는데...
-
진짜 이재명이랑 당 바꾸는게 맞지 않나
-
https://orbi.kr/00072750950 https://orbi.kr/00072740989
-
다음에 하겠습니다 ~
-
고3 3등급 10
고3 수학 모의고사 3등급 중반정도 되는데 학원에서 일주일 숙제로 모의고사 5회...
-
나도입고싶어
-
고2정시 2
원래 쌤들이 정시하지 말하고 다니고 다른 공부 하면 뭐라고 했었는데 이번 3모를...
-
잇올 등과 비교했을때 어떤가요? ㅠ
-
작수랑 비슷한 느낌이었어요(작수랑 점수는 많이 다르지만...ㅜㅜㅜㅜ)
-
(반모음)ㅣ + ㅡ 빠르게 발음해보세요 이으 이으 이으 머릿속에 계속 맴도는데...
-
파랑머리하고 남주 남사친 둘은 죽빵 마렵긴 한데 검정머리는 취향임.◕‿◕
-
바로 보러가야지
-
상당히 많네
-
학번 세탁 측면에선 의미가 있으려나 트리플링까지 가면 뭐 노답인거고..
-
뭐하는거냐 대체
-
한의대 오지마셈 2
ㅇㅇㅇ
-
왜이트 트레이닝
-
『웨요?』 9
모든것에 『웨요?』를 물으세요 웨냐하면,진리를 탐구할수 있으니까요!! 웨냐하면...
-
학생 한명이 질문 3개 만족도 연속4개 줌 3개도 받은적 있는데 아니 이해가 안되면...
-
2맞기는 빠르게 가능한데 1맞기는 가성비 극악이란 말이제..
-
시험보고 휴식
드가자~

감사합니당 ㅎㅎ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

...?전형태쌤이랑 비슷함

아.. 그렇군요.. 네..오오 이런 꿀팁이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이거 작년 재수할 때 학원 쌤한테 배웠던 기억이 새록새록… 기억하고 싶지 않은 추억이네요

ㅋㅋ 저도 기억하고 싶지 않은...울부짖다
드높이다
가 연상되는 칼럼 제목이규만

ㅋㅋ 인종저기 있는 문제 답이 몇번 몇번인가요??
1번 4번 일껄요...? 맞나요?
넵 부사성 어근은 부사가 아닙니다.. 부사 밑에 병치해놔서 오해하실 수 있겠네요;;
말그대로 어근인데 부사처럼 생긴(?) 어근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당

관형사형 어미입니당~!!
ㅎㅎ 열심히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오늘부터 화작에서 언매로 런했는데 이런 글 좋네요

그런 의미로 팔로우ㅎㅎ하트 뿅뿅

나도 뿅뿅그냥 문제한번 봤는데, 17학년도 6모평 15번문제 정답 1번인듯하고, 공무원 시험 문제는 4번이 정답 같습니다 ㅎㅎ.. 문법 좀 약해서 틀릴수도 있어요 ;;

맞는것 같습니당 ㅎㅎ 감사합니당잘 읽었습니다 ㅎㅎ 항상 좋은 글 감사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