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r [1050201]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1-05-11 16:31:30
조회수 1,504

2017 리트 우주의 크기 지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560931

"밤하늘에 은하수가 관찰되는 이유는 우리 은하가 원반 모양이기 때문이다." 이 선지(4번선지)가 이거랑 무슨 상관일까요??


[우주의 별들은 우주 공간에 납작한 원반 모양이지만 가운데가 위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며 모여 있고 때문에 원반 내부에 위치한 지구에서 원반의 납작한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는 별이 많이 관찰되고, 납작한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는 별이 적게 관찰된다. 그리고 이는 밤하늘에 보이는 '은하수'의 특징과 일치한다.]


Q&A에 올리니 이 문장을 근거로 말씀하시던데(지문에 '은하수'에 대한 내용이 여기말곤 더 안나오긴 합니다) 글쎄.. 그냥 우리은하가 은하수의 특징과 일치하는 거지 은하수가 관찰되는 것과는 상관이 없는 것 같아서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복권희망 · 1060345 · 21/05/11 16:33 · MS 2021

    우리은하가 원반형으로 생기지 않았다면 은하수의 모양과 일치하지 않아서 우리가 아는 은하수르 볼 수 없었겠죠

  • 코이r · 1050201 · 21/05/11 16:36 · MS 2021

    아.. 그렇게 해석되는 거에요? 은하수=우리은하의 모습이구 우리은하가 원형이면 역시나 은하수도 원형으로 보일테니깐 '은하수가 관찰되는 이유'랑 원반형인 거는 관계가 없는 거 아니에요?

  • 복권희망 · 1060345 · 21/05/11 17:00 · MS 2021

    여기서는 '은하수' 자체를 지금 모양을 가진 거라고 보고 쓴 거 같아요
    은하수 어원 자체가 띠 모양, 강 모양이라 은'하'기도 하고요

  • 코이r · 1050201 · 21/05/11 21:46 · MS 2021

    오오 바로 와닿네요 감사합니다!!
  • 인생말림 · 948138 · 21/05/11 16:47 · MS 2020

    별이 많이보이는 부분과 적게보이는 부분이 양분되어 나타나 보이는 밤하늘을 은하수로 볼수있겠고 이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은하가 원반모양이기때문이죠
    즉 A로인해B의 결과가 나타나고 B=C이면
    A로인해 C가 나타난다는 동일명제에 입각한 인과적 논리를 쓴것같네요

  • 코이r · 1050201 · 21/05/11 21:47 · MS 2021

    답변 감사합니다!

  • 고란니 · 892098 · 21/05/11 16:52 · MS 2019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코이r · 1050201 · 21/05/11 21:48 · MS 2021

    오오 그럼 [원반모양 은하=은하수]라고 보시는 거죠??

  • 연의생 예지 · 1042991 · 21/05/11 16:53 · MS 2021

    전체적으로 납작한 원반모양의 은하 내부에서 주변을 살피면 관찰자 입장에서 은하의 별들이 선 형태로 몰려 보이겠죠? 이게 은하수

  • 연의생 예지 · 1042991 · 21/05/11 16:55 · MS 2021

    납작하다는 것에 집중해보세요. 0을 옆에서 보면 |처럼 보이는 것과 비슷한 원리라 볼 수 있겠습니다.

  • 코이r · 1050201 · 21/05/11 21:49 · MS 2021

    오.. 잘 와닿네요 감사합니다!!

  • 물리싫증주의자 · 928694 · 21/05/11 18:29 · MS 2019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코이r · 1050201 · 21/05/11 21:46 · MS 2021

    그렇긴 하네요ㅋㅋ 감사합니당

  • 빅나태보이 · 1019090 · 21/05/13 19:32 · MS 2020

    위 문장을 요약하면 '만약 원반구조면 A하는데 실제로 관측한 별들 (은하수)가 A이다. '
    -> '관측한 별들(은하수)= 원반구조이다'이고
    4번이 '밤하늘에 은하수(관측한 별들)이 관찰되는 이유= 우리 은하가 원반 구조로 되어있다' 라고 해석되면 맞는 것 같아요

  • 코이r · 1050201 · 21/05/13 20:00 · MS 2021

    오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