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샘 [441190] · MS 2013 · 쪽지

2013-06-11 19:23:57
조회수 2,099

6평으로 살펴본 국어B형 고전시가에서의 고어 표기 노출 가능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05575

6평 연계된 고전시가 ‘시집살이 노래’는 구전되던 민요를 현대에 와서 채록한 것이므로 당연히 고어 표기가 있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고전 시가 지문인 시집살이 노래에 고어 표기가 없다는 것으로 수능에서의 고어 표기 가능성을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EBS 교재에도 ‘시집살이 노래’에는 고어 표기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33번 문항(AB형 공통문항임)의 <보기>로 사용된 ‘속미인곡’의 표기 방식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비 시행의 방식을 따르자면, ‘속미인곡’은 A형에서는 현대어로 B형에서는 ‘고어’로 표기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6평에서는 B형에서도 현대어로 표기하여 A형과 차이를 두지 않았습니다. ‘고어 표기’ 가능성을 과대 포장하여 사교육 수요를 부풀리려 하는 일부 세력의 농간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평가원의 의지 표명으로 보입니다. ‘고어 표기’ 자체가 문제 풀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형태로 출제하지는 않겠다는 의도를 표명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실제 수능에서는 고어 노출이 있더라도 그것은 아주 기본적인 수준에서의 최소한도에 그칠 것이며 EBS 연계 교재의 고어 노출은 과도하다는 혐의를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6 평 이후에 EBS 연계 교재가 만들어졌다면 EBS 교재에서의 고어 노출도 대폭 줄어들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수능완성을 포함한 연계 교재는 모두 6평 이전에 만들어졌습니다.)


관련된 평가원의 답변을 하나 부기합니다. 참고로 기존 수능에서 고어가 노출된 적은 없습니다.


 


‘국어 B형은 기존 수능의 고전 작품 제시 방식과 유사한 수준에서 출제되며 국어 A형은 기존 수능보다 좀 더 현대어역을 많이 사용하는 수준에서 출제됩니다. 따라서 기존 수능의 대비 방식으로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호빵송해 · 396814 · 13/06/11 23:38 · MS 2017

    그렇다면 따로 고전시가를 정리하지 않아도 되나요?(고어로 쓰여진 고전시가로요)
    그냥 현대어로 쓰인 고전시가로 공부하며 고전시가의 주제같은거 공부하면 된다는 말씀인가요?

  • jaeza · 360802 · 13/06/13 00:29 · MS 2010

    하나 간과하고 계시는 게 있군요 ,,, 수능 출제 메뉴얼에 보면 보기에 있는 고전 시가는 무조건 현대어로 표현하게 되어 있습니다.

  • 흔들리며 · 196295 · 13/06/13 19:40 · MS 2007

    그건 개정전까지입니다

  • 학샘 · 441190 · 13/06/13 18:03 · MS 2013

    평가원에서 만든 수능 출제 매뉴얼은 2005 수능 체제(2013학년도까지 적용)를 위해서 개발한 것이며, 2014학년도 수능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2014학년도 수능을 위해 평가원이 공식적으로 개발한 출제메뉴얼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