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 [363131] · MS 2010 · 쪽지

2013-06-10 20:52:33
조회수 945

6월 모의고사 국어A형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04524

먼저 28번
1번선택지
근거가 어디 있나요?? 부담에 관한 내용은 3문단에 '한 쪽에 부담을 지워야 한다면, 쉬운 쪽에 지우는 것이 공평할 것이다.' 이것밖에 없지 않나요?? 딴게 없어서 1번으로 하긴 했는데 처음엔 '부담을 공평하게가 아니라 부담을 한쪽에 지워서 결과적으로 공평해지는 것 아니야?' 라는 생각으로 판단 못하고 넘어갔엇습니다
혹시 5문단에 '가해자인 피고는 인과 관계의 성립을 방해하는 증거를 제출하여 책임을 면해야 한다' 이것이나 글 전체적으로 봤을 때의 내용으로 상식적으로 알아야 하는 건가요??


그리고 28번 선택지2번에서는
처음에 '어떤 사실이 일어났을지도 모른다는 개연성' 이라는것이 '의심없이 확신' 이라는 말과 반대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나?  라는 생각에 이것도 확실히 결정을 못했습니다. 그런데 사전을 찾아보니 개연성이란 말의 뜻이 절대적으로 확실하지는 않으나 대개 그럴 것이라고 생각되는 성질 이더군요

어휘도 부족한것 같네요.ㅠ(글고 45번에서는 '회귀'라는 말을 정확히 몰라서 회상이라는 뜻도되나?라고 생각해서 헷갈렸습니다)


29번
2번선택지
'자연과학적 연결 고리가 존재 한다는 점을 인정했다'는 것이 보기의2)3)을 증명 안해도된다 라고 말 한 것이라는 것 맞나요?? 근거가 어디있지좀 알려주세요 아니면 어떻게 생각해서 추론해야 하는지??
그런데 이렇게 지문이나 보기에 나와있지 않은 표현들은 쉽게 와닿지가 않고 시험장에서 빠르게 판단하기가 힘드네요



36번
1번선택지
방삼복의 출세가 해방직후사회의 부정적 단면을 비판적으로 드러낸다는 이유가
친일 했었던 사람이 몰락하지않고 출세해서 인가요?? 아니면 미국에 붙으면 출세하는것 때문인가요?? 이 근거는 어디서 찾을 수 있죠??
(저는 지문에서 영어실력 덕에 출세했다는 것만 나와있어서 상황을 잘 파악하는 것과 자신의 실력으로 출세한것 아닌가? 라는 생각까지 해봤네요,..,)

3번선택지
현실에 대한 백주사의 부정적태도가 시대착오적 역사인식을 비판적으로 드러낸다는 이유가
나라가 광복했으면 자신이몰락해도 좋아해야 되는데 그렇지 않아서 그런 건가요?? 아니면 친일행위를 했으면 몰락하는 것이 당연한데 부정적태도를 보이니까 그런 건가요?? 근거가 없고 글전체적으로 그냥 생각해야되는 것 같은데 맞나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국어공부를 하면서 이런 의문들이 많이 발생하는데 제 생각의 논리에 대한 비판을 해주시고 어떻게 고칠 수 있는지좀 알려주세요ㅜㅜ
저를 국어의 늪에서 구해주시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연대가구퍼 · 338353 · 13/06/10 22:00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은 아닌데요... 국영수 영역에서 시험문제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A,B 형 구분해서 질문해주세요...

  • 리버 · 363131 · 13/06/10 23:41 · MS 2010

    수정했습니다^^

  • wawa109 · 427949 · 13/06/10 22:43 · MS 2012

    29번 문제는 보기에서 1)2)3)을 입증하면 그 인과관계를 인정해주겠다 라고 말하고 있는데, 그게 어려우니 1)만 해도 인정해주겠다 라고 하잖아요.
    그러니까 지문에 의하면 과학적 고리 뭐 그런걸 입증해야 하는게 원래 인데 그게 어려우니 조금만 입증해도 인정해주겠다라는 것이 나오잖아요.
    그걸 보기에 대입시키자면 1)2)3)이 과학적 고리이자 입증을 완벽하게 하는 그 과정인 거죠.
    따라서 판사(?) 기억이 않나는데, 어쨋든 "1)2)3)을 입증하라!!, (단 너는 1)만해도 인정)" 이 말 속에 이미 '자연과학적 연결 고리가 존재 한다는 점을 인정했다'라고 볼 수 ㅇㅆ죠.
    그러니까 사실 1)번만해도 인정한다는 것은 연결고리의 존재유무랑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봐야 할 것 같아요.

    시험지도 없고 말로 할려니 되게 이상하긴 한데..
    어쨋든 1)만 입증해도 되서 2번이 맞다고 추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아요.

  • 리버 · 363131 · 13/06/10 23:49 · MS 2010

    아 지문에 '하나하나의연결고리까지 자연과학적으로 증명하도록~~~ '이런말이 있군요ㅋ 그러니깐 하나하나모두증명하라는것이 아니고 그중의 몇개의 연결고리가 존재한다고 인정했다고 봐야겠군요
    감사합니다

  • 대학로폭격기 · 373260 · 13/06/10 23:42

    개연성의 뜻이 나와잇지 않나요?
    "그런일이 잇을지도 모른다는" 개연성
    그런일이 잇을지도가 아니라 확신을 해야하니 당연히 틀린거죠ㅎㅎ 개연성이라는 어휘가 중요한건 아니엇던 거 같아요

  • 리버 · 363131 · 13/06/10 23:56 · MS 2010

    아 그게 뜻을 써준 걸로 봐야하겠군요
    지금 잘 생각해보니 '어떤 사실이 일어났을지도 모른다는' 이 확신과 반대같네요
    근데 시험때는 어디까지 그런 언어적인 느낌을 사용해야 하는지 망설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