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트몬드리안 [623752]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21-03-27 10:44:33
조회수 12,866

20대 초반의 1년은 매우 소중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864964

오늘 오르비 글 보다가 20대의 청춘은 단순히 술 마시고 노는 건데 20대의 청춘을 이유로 n수를 막는 건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취지의 글을 봐서 내생각을 한 번 써보려고 하는데요 


20대의 청춘이 단순히 술 마시고 노는 걸 말하는 건 아닐 거에요 사람들이 말하는 20대 초반의 청춘은 도전(창업 등), 인맥 쌓기(술을 마시는 이유가 아닐까 하네요), 동아리, 예체능(악기/ 헬스), 취미생활, 재산 축적 등 고등학생 신분으로는 하기 힘들었을 수능 점수 이외의 자기계발을 말하는 거라 생각해요 저는 지금 4수 중이라 현역으로 대학 간 제 친구들은 3학년인데 학벌과는 상관없이 걔네들이 이미 이루어놓은 성과들을 볼 때면 그동안 수능 공부에만 갇혀있던 제 인생이 너무 하찮게 보일 때가 있어요 22살의 1억과 32살의 1억은 차원이 달라요 22살의 1억이 10년 뒤에도 그대로 1억일까요?


오르비가 장수 미화가 심해서 수능 공부에 몇 년 쓰는 걸 별 거 아니라 생각하는 것 같기도 한데 생각보다 인생 전체에서 타격이 커요 '인생 긴데 1년쯤이야 뭐'라고 생각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아까도 말했지만 1년 늦어지는 게 단순히 1년 돈을 늦게 벌기기작하는 게 아니에요 우리가 일할 수 있는 기간은 한정되어있어서 1년 늦게버는 게 아니라 1년을 덜 버는 거에요 그리고 1년 늦게 벌면 1년 간의 자산 증식 기회도 상실하는 거고요 1년은 그렇다 쳐도 그게 2년, 3년이 되면? 차이는 급속도로 벌어질 거에요


N수가 이러이러한 문제가 있으니 하지마!가 아니라 N수의 무게감을 좀 알고 했으면 좋겠다는 거에요 얼마나 소중한 1년을 소모하는 건지 알고 했으면 좋겠다는 거고 인생 긴데 1, 2년이 뭐 별거야? 라는 자세는 지양했으면 좋겠다는 거에요 어쨌든 꿈을 위해 다른 많은 것들을 포기하는 건 응원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오르비 N수생들 모두 원하는 목표 이루길 응원해요

0 XDK (+1,000)

  1. 1,000

  • 경희대 가고 싶은 브론 · 923195 · 21/03/27 10:46 · MS 2019

    그렇게 보셨다면 죄송
    완전 그런의도는 아니었는데 일부있었던거같음
    20대초의 1년이 소중하단건 공감합니다

  • 피에트몬드리안 · 623752 · 21/03/27 10:48 · MS 2015

    아 저격의 의도는 아니고 그냥 장수생의 신세한탄같은 글입니다ㅎ 다른 분들은 저처럼 후회하지 않았으면 해서요

  • 경희대 가고 싶은 브론 · 923195 · 21/03/27 10:50 · MS 2019

    저도 장수생입니다 ㅠ
    저격이라니요 제 부족한의견에 대한 피드백을 듣는 건 언제나 감사한일인거같아요

  • Orbi's Policeman · 834955 · 21/03/27 10:47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새봄추나죽어 · 962851 · 21/03/27 10:48 · MS 2020

    이 부분도 인생관에 따라 많이 갈림. 정답은 없다고 생각함..

  • viola' · 1047399 · 21/03/27 13:53 · MS 2021

    ㅇㅈ

  • 연세컴공19 · 811069 · 21/03/27 11:32 · MS 2018

    자기개발!!

  • 율라콰장인 · 1035270 · 21/03/27 12:11 · MS 2021

    계발이야..

  • 새봄추나죽어 · 962851 · 21/03/27 12:25 · MS 2020

    둘 다 될걸요

  • 빙수먹고싶어 · 987513 · 21/03/27 12:56 · MS 2020

    둘 다 되는걸로 아는데

  • 품삯 · 829548 · 21/03/27 15:26 · MS 2018

    A미묘하게 다른 단어임

  • 거북이가 어흥 · 977404 · 21/03/27 11:35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xkXu9Jj25mF3c · 605205 · 21/03/27 12:28 · MS 2015

    맞는말이긴한데, 20대 초반에 현실적으로 그렇게 이상적으로 인생 설계하고 확고한 가치관 가진 애가 정말 드물어서 지잡 96% 좋은대학 70% 정도는 어영부영 이도저도아닌채 세월 보내는애들이 대다수니 차라이 N수하는것도 나쁘진않다생각. 본인도 3수를했고 괜찮은대학부터 지방대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경험했지만 그렇게 막능동적이고 진취적으로 사는애들 많이없음.

    가장 베스트는 글에 적힌대로지만 어차피 그러긴 힘드니 그냥 술먹고 게임하고 말초적 쾌락과 오래보지도않을 사람하고 교류하며 이래저래 인생허비하는것보단 수능이 났다고생각.

  • 피에트몬드리안 · 623752 · 21/03/27 12:46 · MS 2015

    주변에 20대를 의미있게 보내는 친구들이 많아서 저와 너무 비교하게 되는 것 같기도 하네요

    인생허비하는 것보다는 n수가 낫다는 건 동의합니다!

  • sxkXu9Jj25mF3c · 605205 · 21/03/27 13:51 · MS 2015 (수정됨)

    근데 이게 슬픈게뭐냐면 세상물정모르고 인생 어떻게살지에 대해 생각도안해보니 큰생각없이 계속 수능만 파게되고 나이먹고보면 글쓴이처럼 생각들고 지난세월 후회하는게 자연스럽기도한듯. 수험에 올인하는 현실의 부작용이랄까. 어린나이에 그런 가치와 목적을 알고있는건 똑똑하기도하거니와 남보다 좀더 현명하게 살수있을듯.

  • 화학실험 · 968186 · 21/03/27 16:07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화학실험 · 968186 · 21/03/27 16:12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호리고기 · 1010230 · 21/03/27 12:39 · MS 2020

    음 20대초를 그렇게 의미있게 보낼 놈이면 n수하면서도 의미있게 보낼듯

  • 카이하베르츠 · 1049034 · 21/03/27 12:46 · MS 2021

    20대 초를 그렇게 다양한 활동들로 발산을 하느냐 아니면 N수라는 고독한 상황에서 스스로의 가능성과 나 자체에 대하여 수렴하느냐의 차이 같네요

    둘 다 필요하지만 요즘같은 노동의 가치가 퇴색된 피로사회에서는 후자의 중요성이 더 커지는거 같긴해요 위에서 말한 발산과 수렴은 동시에 하기에는 꽤 어려운거 같아서 뭐 자기 선택이라는 생각이 드네용

  • 피에트몬드리안 · 623752 · 21/03/27 12:47 · MS 2015

    오.. 좋은 관점이네요

  • 카이하베르츠 · 1049034 · 21/03/27 12:48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롱아아 · 1019347 · 21/03/27 13:25 · MS 2020

    정말 좋은말인데 이런관점에서 남자만 20대 초반에 군대로 1년 반을 버리는건 정말 아까운거같네요 ㅜ

  • 삼수생 율붕이 · 823663 · 21/03/27 13:29 · MS 2018

    동의함 나도 의치한 가보겠다고 삼수했고
    결국 서성한공대 왔는데 공대갈꺼였으면
    차라리 현역때 국숭 공대다닐껄 후회됨
    얻은것에 비해 잃은게 너무나도 많음

  • ---------- · 955613 · 21/03/27 13:31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 · 955613 · 21/03/27 13:35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삼수생 율붕이 · 823663 · 21/03/27 13:36 · MS 2018

    네 저도 삼반 걸고했어요 1학기 학점조지고 학고맞긴했지만 ㅜㅜ

  • 야부키 나코 · 679590 · 21/03/27 15:28 · MS 2016

    근데 뭐 이건 결과적인거니까 어쩔수없는듯

  • =저렙+노프사 · 1041425 · 21/03/27 13:32 · MS 2021

    뭐 열심히 사는사람만 있는것도 아니고 사람마다 다 달라서.. 근데 중요한 시기는 맞는듯 그 중요한 시기에 재수 경험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

  • 과외어케구함 · 903449 · 21/03/27 13:32 · MS 2019

    장수도 도전이긴한데 그냥 학벌 레벨업용으론 가성비가 많이 안 좋고 메디컬 입성이 그나마 성공인듯

  • 메이코패스 · 951140 · 21/03/27 13:47 · MS 2020

    진짜 제가 하고 싶은 말 다 나왔네요... 물론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고 좋은 대학교, 더 높은 대학교 가는 건 참 좋은데 저도 재수를 했고... 근데 너무 N이 크면 제발 학교 걸고 반수하셨으면 좋겠음

  • ---------- · 955613 · 21/03/27 13:48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메이코패스 · 951140 · 21/03/27 13:50 · MS 2020

    아직 응애 3학년입니다

  • 메이코패스 · 951140 · 21/03/27 14:29 · MS 2020

    추가로 본인 대학교에서 이것저것 여러 활동들을 해봤는데 활동마다 느낀 부분이 모두 달랐고 배운 점도 많았습니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힘들지만 대학 오셔서 많이 즐기세요ㅠㅠ

  • 어디서왔니? · 894371 · 21/03/27 14:03 · MS 2019 (수정됨)

    상황별로 많이 달라질거 같은데
    문과 남성: 개인적으로 max 재수입니다. 현역으로 가신 대학 그냥 가시는게... 삼수는 정말 서울대 아니면 안하시는걸 추천
    문과 여성: 군문제는 없지만 여기도 max 삼수.
    이과(메디컬 제외) 남성: 3수안에 가시는 것이 여러모로 좋다고 들었습니다. max는 3수
    이과(메디컬 제외) 여성: 삼수 이상을 해서 공대를 가는 여성분 거의 못봤습니다.(max재수)
    메디컬 남성: 이건 한도가 없다고는 생각하지만 20대 초반에는 그래도 대학을 들어가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메디컬 여성: 군문제가 없으므로 여긴 개인적으로 무한대라고 보지만 결혼 및 미래 생각하시면 여기도 삼-사수가 max인거 같습니다.

  • 삼국지'연의' 22 · 861218 · 21/03/27 16:40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춘 식 · 982359 · 21/03/27 16:45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가는 찬구 · 1042794 · 21/03/27 14:04 · MS 2021

    N수하면서 수능 끝나고 의미있는 활동을 섞어보는 것도 좋을듯

  • 올해수능볼까말까 · 900217 · 21/03/27 14:05 · MS 2019

    반수생 타이틀 안에서 여유롭게 공부하는 거 해보고싶었는데...
    쌩N수생 마인드로 공부해야겠네

  • 메론망고빙수 · 915659 · 21/03/27 14:08 · MS 2019

    와 인터넷에서 저렇게 화 안내고 자신들의 가치관으로 생각한걸 조리있게 말하면서 생각나누는거 존나 감동이다

  • 뒤샹의 샘 · 994070 · 21/03/27 14:13 · MS 2020

    오늘도 평화로운 오르비
  • Orbi's Policeman · 834955 · 21/03/27 18:57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아9창9ood · 998172 · 21/03/27 14:29 · MS 2020 (수정됨)

    나도 재수생이지만 오르비는 n수미화가 진짜 심함.. 가령 10수해서 의대간 사람 보면 현실에선 안쓰럽다는 반응이 대다수인 반면 오르비에서는 인생성공한 사람으로 보는 반응이 90% 이상임..(ex 저런 의지력이면 뭘해도 성공할 사람이다! 멋지다!) 걍 커뮤 말은 걸러서 듣고 주체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필요한듯

  • 부부한의원 · 607559 · 21/03/27 21:35 · MS 2015 (수정됨)

    10수면 29살 의대 입학. 35에 의사 돼있는데요? 인생 성공한거 맞음ㅇㅇ 29살까지 정말 속세단절하고 수능만 판게 아니라면 안 불쌍하고 존나 부러운데요ㅋㅋ 당장 고학력자 커뮤니티라고 하는 고파스 스랖에만 해도 의대 30대라도 가고 싶다는 사람 넘쳐나는데ㅋㅋ 하나 예를 들자면 베스트셀러작가 한과영 수석 졸업 후, 프린스턴 최우등 졸업까지 하고 28살의 나이로 서울대의전원 간 사람은 32살에 의사 돼있는건데 이게 인생 망한걸로 보임?
    10수해서 의대간거 안쓰럽다는 사람들은 신포도 or 세상물정 모르거나죠. 오르비는 도전이 가능한 나이대고, 다른 커뮤는 도전이 불가능한 나이니까 불쌍하다고 하는거. 아니면 의사 및 전문직이 대한민국에서 뭘 의미하는지 모르고 하루하루 행복하게 사는 개천의 개구리 가재 이실수도 있고. 부럽네요.

  • 아9창9ood · 998172 · 21/03/28 08:56 · MS 2020

    제가 말한 10수생=29살에 대학간사람이 아니라 10년 수험공부한 사람입니다. 10번 수능본 사람이요. 님이 예시든 사람은 좀 다른거같은데요.
    전 인생 망했다고 한적 없어요 다만 일반적으로 현실에서는 “그 힘든일을 10년동안... 안쓰럽다” 이 반응이 일반적이죠. 제가 오르비의 반응을 봤던 그사람도 뭐 중간에 군대가서도 공부하고 수능치고 학원비 벌려고 노가다도 뛰고 그러면서 진짜 10년 공부한 사람이에요. 사람마다 관점이 다 다르고 님 생각 존중합니다만, 결국 그 사람이 의대가서 돈 많이벌게 되더라도 20대의 10년은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잖아요.. 메디컬 전문직이 뭘 의미하는지 모르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월 2,3천씩 버는 직장인이 어딨어요.

  • Saint. · 617758 · 21/03/27 15:25 · MS 2015

    1년 늦는거의 기회비용을 다들 초봉 1년 늦는거로 착각하시는데 사실은 퇴직 전 마지막 연봉이 제일 큰 기회비용입니다. 정상적이면 최소한 억은 넘어갈 그 연봉

  • 피에트몬드리안 · 623752 · 21/03/27 15:31 · MS 2015

    하 그렇죠ㅜㅜ

  • 제 니 · 1017947 · 21/03/27 15:35 · MS 2020

    걍 k-교육이 대학 꼭 가야한다고 어렸을때부터 세뇌시켜서 다들 대학에 목숨걸고 n수 하는거지 저도 그렇고 ㅠ

  • 인아부경 · 957346 · 21/03/27 15:48 · MS 2020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국숭세단이상이면 n수는 안하는게 좋은듯..

  • 22한의 · 880901 · 21/03/27 16:26 · MS 2019

    내생각엔 몇년이 걸리든 성공만하면 장땡임 근데 대다수가 실패하면서 인생이 꼬이는거지

  • 김두루마리 · 806036 · 21/03/27 16:33 · MS 2018

    그냥 본인이 추구하는걸 하는게 가장 삶을 가치있게 사는거라 생각함
    사람마다 생각하는것은 다르니 본인의 기준을 남한테 적용시키는것이 모두한테 맞을수는 없죠

  • grandpond · 875737 · 21/03/27 16:58 · MS 2019

    뭐 개인차가 있겠으나 본인에게는 전혀 공감이 안가는 내용. N수생들에게는 20대초 1년이 뭐 대단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만 학벌이 인생살면서 계속 따라다니는 것 고려하면 그깟 1-2년쯤이야 그야말로 아무것도 아님. 버티며 공부하고 원하는 결과 얻으면 그냥 승자인거지. 뭐 공부하기 싫고 초조해하고 그 기간 버티지 못하면 그냥 만족하고 다니는거고. 개인선택 문제일뿐. 그리고 N수 실패한다고 인생 꼬이거나 하는 거에 동의하지 않고 나중에 시도해보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가 더 클 듯.

  • Sbs · 870199 · 21/03/27 17:24 · MS 2019

    막말로 20대 초반에는 대부분 그냥 다니고 있는 대학 학점 맞추고 술 마시고 다니는거죠
    그게 좋은거기도 하고

  • 숨은그림찾기 · 901022 · 21/03/27 17:35 · MS 2019

    맞말추

  • 미스터션샤인 · 1047258 · 21/03/27 18:41 · MS 2021

    여친있으면 ㄱㅊ던데..

  • Dfwaq · 1013072 · 21/03/27 19:04 · MS 2020

    글쓴분께서 언급하신건 N수 그 당시의 상황이고, N수를 하는건 대부분 학벌, 나아가 취업과 연봉, 그리고 30대 이후의 새로운 인간관계를 위해서인데.

    물론 무조건적인 N수 미화는 안좋지만, 20대 1년이 소중하다 해도 분명히 그게 대학 졸업 후의 삶과 비교 가능한지도 따져봐야하는거같아요

    본인이 4수하느라 자격지심이 강한거같은데, 주변 비교 대상인 친구들도 글쓴이분을 업신여기기보단 꿈을 위해 1년을 투자하는 친구라고 생각할 확률이 높을거같아요. 간혹 수능실패로 비웃는 아이가 몇 있을 수 있는데, 그런애는 진짜 본인 수준이 얼마나 낮은지 티내는거구요

  • 오렌지색 터널 · 921952 · 21/03/27 20:43 · MS 2019

    확고한 이유 없으면 ㄹㅇ 장수하지마셈. 여기 장수미화 때문에 무지성으로 장수하는 사람 있을까봐

  • N°5 · 890869 · 21/03/27 20:50 · MS 2019

    ㄹㅇ.. 인생에 한번밖에 없는 20대인데 10분의 1 깎아먹으면서 재수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공부를 안할수가 없음

  • 부부한의원 · 607559 · 21/03/27 21:28 · MS 2015 (수정됨)

    20대 1년도 중요하고 10대 1년도 중요하고 50대 1년도 중요하고.. 안 중요한 시간이 없고 모든 시간이 귀한데 어린 친구들이 재수하면서 현역대학 간 친구들 노는거 보고 부러워서 그런가.. 1년 2년 3년 더 해서 의치한 가면 인생이 달라지는건데.. 고시공부를 일찍 시작한다고 하면 좀 알려나? 인생 낭비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마시길..ㅠㅠ 차피 20대초 그렇게 열심히 노는거 생각없이 살면 누구나 가능함. 20대초에 놀 수 있는 걸 포기하고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게 멋있는거고 청춘임. 당장 우리 아버지세대에 20대 머리텅텅 쳐논 분이랑 공부 열심히 해서 의사 회계사 돼있는 분 비교해보셈. 공부하는게 청춘임. 아 쓰다보니 20대가 귀한 시간이긴 하네요. 이때 아니면 인생 거의 못 바꾸거든요

  • 삼수생 율붕이 · 823663 · 21/03/28 09:18 · MS 2018

    무휴학 사반수 중인데 힘이나네요 ㅠㅠ

  • 신촌별보는참새 · 1046498 · 21/03/27 21:44 · MS 2021

    소중한 1년....명심하겠습니다

  • Bateman · 930447 · 21/03/28 01:13 · MS 2019

    어차피 휴학때리고 2-3년 취업준비하던데